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90301107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0-11-1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책을 내면서
1장 공안으로 세상 읽기
1. 잘린 손가락으로 도를 세우려니
01 가짜 부처들은 가라
02 흉내 내기서 벗어나기
03 이미 넉넉함을 알아야!
04 처음도 좋고 끝도 좋게
05 가슴으로 말하기
2. 그물을 벗어난 금빛 물고기
01 성철 스님 열반 27주년을 맞이하는 소회
02 배포 있게 앞장서 나아가라
03 혀로 말하지 말라
04 세계화 시대, 시야를 넓게
05 속지 않기
06 궁해야 통하는 길을 볼 수 있다
3. 네가 있었다면 고양이 새끼는 죽지 않았을 것을!
01 남 탓하지 말라
02 안주하지 않는 삶
03 꾸밈이 없어야 바로 선다
04 지켜주지 못해 미안합니다
05 사람에 의지 말고 뜻에 따라야!
06 낙오하지 않는 인생
2장 법고를 두드리며
1. 부처님께 다가서기
01 주술(呪術)에서 합리로
02 불자로 산다는 걸 자랑으로 삼도록
03 설날 단상(斷想)- 순일함을 유지하는 것으로
05 세상을 바꾸는 힘 ‘용서’
06 수행자의 향기가 그립다
2. 세상에 던지는 화두
01 원숭이, 도도새 그리고 한국불교
02 종단 골칫거리로 떠오른 도박승 문제
03 ‘연기설’과 ‘신의 존재’
04 매체의 힘은 콘텐츠 개발에 있다
05 웃음을 잃지 않는 사회
06 초심이 던져주는 교훈
3장 기복 불교란 무엇인가
1. 기복 불교 옹호론의 문제점
01 기복과 작복의 혼동
02 방편론은 자기를 기만하는 변명
03 일부 사례를 들어 기복 불교를 옹호하는 논리의 문제점
2. 기복신앙 극복을 위한 제언
01 교리에 따른 신행 활동
02 사찰재정의 투명화와 보시의 공덕
03 정법의 불교를 하자
부록; 인권문제 불교적 대안
01 개인과 사회, 그리고 중생요익(衆生饒益)
02 불교에서 말하는 인간은 무엇인가?
03 당면한 인권문제 무엇이 있는가?
04 불교계의 향후 대응방안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존재로 우뚝 서려면 시작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여러 번의 시작을 통해 시행착오도 경험하고 실패도 경험해야만 성공률이 높아진다. 우리 속담에 ‘베 한 자를 짜나, 열 필을 짜나 베틀은 제대로 차려야 한다’라고 했다. 베틀은 시작과 중간과 끝을 잇는 절대 필요한 수단이다. 입으로만 차린 진수성찬으로 주린 배를 채울 수 없다. 언제나 어디에서든 일을 시작하고 훌륭한 열매를 맺을 수 있는 실력자가 되려면 늘 준비된 사람이어야 한다.
인간적으로 존중과 존경을 받기 위하여 남다른 인품과 도덕성을 겸비해야 한다. 자신부터 잘 다스릴 줄 아는 인격을 가진 사람이 실력까지 인정받을 때 진정으로 주위의 박수를 받는다. 이런 사람은 시작과 중간과 끝이 일정하다.
초지일관이란 처음 시작한 뜻을 마지막까지 지킬 때 쓰는 말이다. 중간에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초심을 지키자’는 다짐도 처음 뜻이 어긋나면 마지막 또한 크게 어긋나기 때문이다.
- 04 처음도 좋고 끝도 좋게, 중에서
화려한 수식어로 능변(能辯)을 자랑하는 혀가 있는가 하면 거친 말과 욕설로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혀도 있다. 아첨에 뛰어난 특기를 가진 혀가 있는가 하면 이간질에 능하고 두말하기를 아무렇지도 않게 해내는 혀가 있다. 반대로 사실이 아니면 절대로 말하지 않고 설령 상대방이 상처를 입는다 해도 쓴 충고를 마다치 않는 혀가 있다.
분명한 것은 어떤 말이든 한 번 입 밖에 나오면 다시 주워 담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 때문에 성인일수록 또는 사회의 지도층일수록 말에 대한 책임감이 강조된다. 사람은 누구나 혀에 ‘도끼’를 품고 태어난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의 혀 속엔 사람을 상처 내고 인격을 살해하는 살상의 무기가 숨어있다. - 03 혀로 말하지 말라, 중에서
시대를 앞지르는 혜안(慧眼)과 현실적 모순을 질타하고 바로 잡으려는 의기(義氣)는 삼성이 말하는 금빛 물고기에 비유할 수 있다. 어느 시대에든 인간을 옥죄고 속박하는 그물은 있게 마련이다. 그 그물 속에서 안주하는 삶을 산다면 물고기와 다를 바 없다. 인간이 물고기와 다른 점은 형태가 없는 그물마저 걷어내고 진정한 자유를 구가하는 삶이 즐겁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세계 인류의 행복과 평화는 국제화 시대에 지향하는 공통의 과제다. 이를 위해 지구촌은 지금 인종과 종교와 혈연 등의 차별을 없애기 위해 노력 중이며 나아가 다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때 나의 존재는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나의 존재를 키우는 일이야말로 그물을 찢고 금빛 물고기로 우뚝 서는 방안임을 눈치채야 할 것이다.
- 04 세계화 시대 시야를 넓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