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90341943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8-04
책 소개
목차
I 로마서 1장 5절, ‘믿음의 순종’이란?
1. 성경 주해를 위한 방법들
2. 로마서의 배경: 1세기 당시의 유대교와 율법주의
1) 전통적 견해
2) 새 관점 학파의 견해
3) 현재의 흐름
3. 로마서 1장 5절, “… 믿어 순종케 하나니” 의미 해석
1) 주해 방법에 의한 조사
2) 5절의 ‘믿음의 순종’ 해석
Ⅱ 로마서 2장 13절, “율법을 행하는 자라야 의롭다 하심을 얻으리니”는 무슨 뜻인가?
1. 문맥 안에서의 위치
2. 2장 13절에 관한 두 가지 견해
1) 가상적인(이론적인) 권고
2) 실제적인 권고
3. 2장 문맥에서 가상적 관점에 대한 반박
1) 1-5절 단락의 회개의 메시지
2) 6-11절 단락에서 선을 행하는 자의 정체
3) 12-16절 단락에서 율법을 행하는 자들
4) 17-29절의 의미
5) 3장의 논의 전환 설명
Ⅲ 로마서 3장 31절, “믿음으로 율법을 폐하는 것이 아니라 세운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1. 31절에서 말한 ‘율법’의 정체는 무엇인가?
2. 믿음이 율법을 세운다는 의미에 관해 가능한 해석들
1) 율법의 정죄하는 기능으로서
2) 율법(구약성경)의 성취로서
3) 모세의 율법의 본질로서
3. 31절 주해
Ⅳ 로마서 6장 6절, ‘죄의 몸’은 무엇이고 ‘죄의 몸’의 멸망은 무슨 의미인가?
1. 6절 문맥 안에서 ‘죄의 몸’에 대한 묘사
1) 6절 안에서 ‘죄의 몸’은 ‘옛 사람’의 죽음과 연관성을 가집니다.
2) ‘죄의 몸’이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으로 멸해졌습니다.
3) ‘죄의 몸’은 죄에게 종노릇하던 상태를 의미합니다.
2. 더 넓은 문맥에서의 점검
1) 문맥의 범위를 넓혀 살펴본다면, 6장의 ‘죄의 몸’과 동일하게 7장에서 죄와 관련된 비유적, 상징적 표현인 24절의 ‘사망의 몸’과 연관성을 갖는가?
2) ‘죄의 몸’이 멸해진 것은 8:3에서 예수님의 몸을 통해 정죄된 것으로 설명됩니다.
Ⅴ 로마서 6장 11-13절, ‘죄에 대해 죽은 자가 어떻게 죄를 지을 수 있는가?’
1. 죽은 것의 정체는 무엇인가? (죄에 대하여 죽은 자이고 하나님께 대하여 산 자라는 의미)
2. 객관적인 법과 법의 주관적인 적용의 차이
3. ‘이미’와 ‘아직’의 구조
Ⅵ 로마서 7장 1-4절, ‘죽은 남편’의 정체가 무엇인가?
1. 먼저 밝혀야 하는 것은 죽은 남편이 율법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2. 죽은 남편의 정체가 죄의 세력인 것은 7장의 전 남편과 새 남편의 대조는 7장과 연결된 6장 문맥에서 죄와 의, 또는 죄와 하나님의 대조의 또 다른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3. 죽은 남편의 정체가 죄의 세력인 것은 7장 문맥에서 남편과 남편의 법의 관계는 죄와 율법의 관계로 설명되기 때문입니다.
Ⅶ 로마서 7장 25절, ‘과연 거듭난 자의 경험인가?’
1. 문맥 안에서의 위치
2. 24-25절 해석
Ⅷ 로마서 8장 1-4절, ‘생명의 성령의 법으로 율법의 요구를 성취하는 삶’이란 무엇인가?
1. 문맥 안에서의 위치
2. 본문 해석
1) 죄와 사망의 법
2) 생명의 성령의 법
Ⅸ 로마서 8장 19절, ‘피조물들이 고대하는 하나님의 아들들의 나타남’의 의미는 무엇인가?
1. 문맥 안에서의 위치
2. 본문 해석
1) ‘피조물’의 정체
2) ‘하나님의 아들들’의 정체와 그들이 나타나는 때
3) 성도가 얻게 될 종말론적인 영광의 의미
(1) 여기서 ‘영광’의 상속은 ‘하나님 나라’와 ‘영생’을 내포합니다.
(2) 여기서 ‘영광’의 상속은 그리스도의 왕권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3) 여기서 ‘영광’의 상속은 예수님처럼 부활의 몸을 입는 것입니다.
(4) ‘피조물’이 ‘하나님이 아들들’의 나타나는 때를 고대하는 이유
Ⅹ 로마서 10장 6-10절,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란?
1. 문맥 안에서의 위치
2. 본문 해석
ⅩⅠ 로마서 11장 1-6절, ‘미리 아신 자기 백성’, 즉 ‘택하심을 따라 남은 자’란 무슨 의미인가?
1. 문맥 안에서의 위치
2. 본문 해석
1) ‘미리 알다’의 의미
2) 예정과 선택의 근거는 인간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1) 이처럼 예정과 선택은 인간의 행위를 근거로 삼지 않습니다.
(2) 이처럼 예정과 선택은 하나님의 은혜가 그 근거입니다.
3) 하나님의 예정과 선택의 은혜가 선별적인 이유
(1) 먼저 예정과 선택의 은혜는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것입니다.
(2) 예정과 선택의 은혜가 선별적인 것은 인간의 반응에 따른 것입니다.
4) 예정과 선택의 선별성을 가져오는 인간 편의 근거로서 반응
(1) 예정과 선택의 선별성을 가져오는 인간 편의 반응은 마음입니다.
(2) 예정과 선택의 선별성을 가져오는 인간 편의 반응은 가난한 마음입니다.
ⅩⅡ 로마서 14장, 음식과 날에 대한 분쟁
1. 문맥 안에서의 위치
2. 본문 해석
1) 이들은 특정한 음식만을 선별해서 먹고 특정한 날을 의미 있게 지키는 자들입니다.
2) ‘속된’(koino,j, 14절)과 ‘깨끗한’(kaqaro,j, 20절)의 용어들은 유대의 정결법을 암시합니다.
3) 14장 연결된 문맥인 15:7-13에서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하나 됨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들의 정체를 밝히는 중요한 열쇠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