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동물 일반
· ISBN : 979119035750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0-11-18
책 소개
목차
감수자의 말
들어가는 말
기린 목의 골격도
제1장 기린 해부란?
해부는 언제나 갑자기
해부에 필요한 도구
1단계: 사체 반입
2단계: 해부
3단계: 골격 표본 제작
재밌는 읽을거리_ 기린이라는 이름의 유래
제2장 기린 연구자의 길로 들어서다
기린을 좋아하던 소녀
기린 연구자를 꿈꾸며
해부학 교수님을 만나다
동물 사체와의 첫 만남
드디어 기린 해부의 기회를 잡다
첫 기린 ‘나쓰코’
기린의 ‘해체’하다
‘해부’와 ‘해체’의 차이
재밌는 읽을거리_ 나보다 연상인 동물을 만날 때
제3장 드디어 기린을 ‘해부’하다
나의 첫 해부 기린 ‘니나’
‘해체’에서 ‘해부’로
첫 해부에 도전하다
눈앞에 펼쳐진 기린의 목 근육
무력감만 남긴 첫 해부
두 번째 해부 기회
근육 이름은 그냥 이름일 뿐
노미나를 잊어라
뛰어난 관찰자가 되어라
마침내, 해부를 완료하다
재밌는 읽을거리_ 동물원에서 기린 종을 나누는 법
제4장 본격적인 기린 목뼈 연구
기린의 경추는 몇 개일까?
엇갈린 운명의 논문
기린이라면 설날도 없다
노이로제의 끝에서
기린의 놀라운 목 구조
어둠에 묻힌 ‘기린의 경추 8개설’
제1흉추가 혹시 움직일까?
재밌는 읽을거리_ 운명 같은 인연, 운명 같은 연구
재밌는 읽을거리_ 논문은 타임머신
제5장 제1흉추를 움직이는 근육을 찾아서
목의 기저부를 상하지 않게
위기를 기회로 바꾸다
기린과 오카피가 죽으면 연락주세요
냉동고에 잠든 오카피 표본
목과 몸통이 절단되지 않은 첫 기린
나흘간의 분투
제1흉추를 움직이는 근육을 찾아서
여전히 보이지 않는 근육
재밌는 읽을거리_ 기린의 뿔은 몇 개일까요?
제6장 흉추인데 움직일까?
갈비뼈가 있어도 움직일까?
기증받은 새끼 기린
CT 스캐너로 움직임을 확인하다
실제 움직임을 확인한 순간
재밌는 읽을거리_ 수컷 기린의 머리가 더 무거운 이유
제7장 기린의 8번째 ‘목뼈’의 발견
오카피의 해부에서 힌트를 얻다
제1흉추를 움직이는 구조
손상이 없는 완벽한 사체 ‘키리고로’
자연 속 해부대
해부의 집대성
혼자서 마무리
기린의 특수한 제1흉추의 기능
‘기린의 8번째 목뼈설’의 제창
마침내 논문 발표
재밌는 읽을거리_ 가장 혈압이 높은 동물, 기린
제8장 새로운 연구를 향해
목이란 뭘까?
졸업과 수상
초심을 잊지 말자
멸종 위기의 기린
다음 연구를 준비하며
재밌는 읽을거리_ 엄마에게서 학문의 즐거움을 배우다
나가는 말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처음으로 기린을 해부한 것은 열아홉 살의 겨울이었다. 그로부터 대략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30마리의 기린을 해부해 왔다. 북쪽으로는 센다이(仙台)부터 남쪽으로는 가고시마(鹿?島)까지 전국 각지의 동물원에서 기증한 기린 사체 덕분에 수많은 해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 이 책은 철이 들 무렵부터 기린을 좋아했던 내가 열여덟 살에 기린 연구자가 되기로 결심하고 은사를 만나 해부를 배우고 수많은 기린을 해부하며 기린의 ‘8번째 목뼈’를 발견하여 기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기까지, 약 9년 동안의 이야기다. 나 자신의 이야기이며, 동물원에서 수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은 기린들의 사후 이야기이기도 하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
기린의 해부는 동물원 직원이 보내온 부고로 시작한다. 나에게 도착하는 기린의 사인은 수명이 다했거나 질병에 걸려서 또는 사고를 당해서 등 다양하다. 때로는 “오늘 밤이 고비일지도 모릅니다…….”라는 연락을 받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언제 죽을지 예상할 수 없다. 그래서 해부는 언제나 갑자기 시작된다. 사전에 일정을 짜 둘 수는 없다.
다 자란 기린의 신장은 암컷이 4미터, 수컷은 5미터나 된다. 일반적인 아파트 2층에 달하는 높이다. 다리 하나만의 길이가 2.5미터나 되기도 한다. 이렇게 큰 동물은 사체를 포르말린이나 알코올에 담가 방부 처리하거나 냉동고에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어렵다. 그래서 사체가 도착하면 곧바로 해부를 시작해 끝날 때까지 한 번에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 ‘제1장 기린 해부란?’ 중에서
첫 기린 해체는 한마디로 자극적이었다. 작업 당일은 휴일이라 대학 안은 한산했다. 연락받은 시간에 맞춰 박물관을 향하니, 뿔 하나와 뿔뿔이 흩어진 기린 사체가 파란 시트에 덮여 가만히 누워 있었다. “그럼, 군지 학생이 뒷다리의 피부와 근육을 벗겨 줄래요?” 엔도 교수님 연구실의 대학원생 지시에 따라 땅에 누워 있는 내 키보다 큰 다리로 다가갔다. 어디선가 주워 온 듯한 낡은 사물함과 칠판을 이용해 작업하기 쉽도록 즉석 해부대를 만들고 그 위에 기린의 뒷다리를 놓았다. 다리 하나를 들어 올리는 데에도 많은 사람이 덤벼들어야 할 만큼 큰일이었다.
- ‘제2장 기린 연구자의 길로 들어서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