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사이버커뮤니케이션

권상희 (지은이)
컴원미디어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이버커뮤니케이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이버커뮤니케이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90444347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4-09-20

책 소개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기술·설명하고 예측하는 연구 과정에서 정리한 연구 논문과 그동안 발표했던 강의 저서를 강의용으로 재구성한 책이다. 사이버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양식은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춰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효과와 이론에 관한 연구를 엮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사이버와 커뮤니케이션 생태학
1. 들어가기
1) 스마트와 소셜 미디어
2. 맥루한의 소셜 정의 및 관련 개념
3. 소셜 맥루한과 소셜 미디어 효과
4. 과잉관계 미디어 생태계
5. 스마트와 인간의 인지능력의 진화
6. 인터넷 발달과 미디어 이론
1) 온라인 기술의 진화
2) 온라인과 AI 통합에 대한 학문적 관점
․ 참고 문헌

제2장 융합(Convergence)
1. 소셜 미디어의 진화와 미디어 생태환경
1) 전통 미디어와의 융합
2) 융합이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론
3) 소셜 미디어와 컨버전스
2. 소셜 미디어의 소통 생태: SNS로 변해가는 사람들의 소통 생태의 틀
1) 스마트와 SNS에 의한 미디어 패키지화
2) 소셜 미디어의 융합 특성
3) 소셜 미디어와 기존 미디어의 공진화
4) 소셜 미디어의 진화
3. 소셜 미디어 출현에 의한 행동의 지도
1) 감정과 신체의 신(新)융합
4.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융합
1) 소셜 미디어와 포스트 모던 온라인 자본 생태
2) 인간관계 생태자본의 변화
5. 소셜 미디어로 인한 생태환경 특성
1) SNS로 인한 시(時)・공간(空間)의 변화와 경험
2) SNS를 통한 사회적 삶의 과정의 이동
3) SNS를 통한 감정공유의 행위 등장
4) 새로운 형태의 소셜 콘텐츠 소비
5) 소셜 미디어로 인한 새로운 충돌
6. 소셜 미디어의 진화와 미디어 생태환경 정리
1) 본 장의 정리
2) 생각해 볼 문제
․ 참고 문헌

제3장 상호작용(Interactivity)
제1절. 인터넷 미디어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차원 연구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논의
1) 상호작용성 개념
2) 상호작용의 다차원성
3) 인터넷 미디어의 장르 분류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1) 인터넷 장르별 이용 기간 및 이용 시간
2) 인터넷 장르별 상호작용성
3) 사용행위 상호작용성, 체험효용 상호작용성, 이용 기간, 이용 시간의 상관관계
5. 결론 및 연구 함의
․ 참고 문헌

제4장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Action)
제1절. 미디어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차원과 수용자의 시공간성(spatio- temporal) 인식 비교 연구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논의
1) 상호작용성과 미디어 인식
2) 상호작용과 시공간성 인식
3. 미디어와 시간
1) 시간 인식
4. 미디어 상호작용과 공간성 인식
1) 청각적인(소리) 공간 인식
2) 감정 자극공간으로서 메시지로서 음악
3) 시각적 공간 인식
4) 연구 변인에 따른 분류
5.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6. 연구 결과
1) 플랫폼별 1일 이용 빈도 및 이용 시간
2) 플랫폼별 시간성 / 공간성 인식의 평균
7. 연구 결과 및 함의
․ 참고 문헌

제5장 텍스트/하이퍼텍스트(Text Analytics)
제1절. RACOI DB 이용과 적용
1. RACOI 들어가기
2. RACOI의 데이터 구성
1) 인터넷 반응지표
2) 종합 DB지표
3) 해외반응 DB지표
3. 연구에 활용하기
1) 시청률 보조수단으로 인터넷 반응지표 연구
2) 소셜TV 시청 연구
3) 시청률과 반응 지표로 프로그램 분류 연구
4. 방송과 소셜 미디어 간 의제설정(Intermedia Agenda-setting) 연구
5. 연구를 위한 RACOI 개선 제언
․ 참고 문헌

제6장 소셜 미디어와 뉴스(Network Analytics)
제1절. 네트워크 의제 설정 분석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논의
1) 창조경제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2) 1차 의제설정 이론(agenda setting theory)
3) 의미연결망 분석과 중심성 연구
3. 연구방법
1) 분석대상과 자료수집
2) 분석방법
4. 연구 결과
1) 보도 시기별 주요 단어 비교 분석
2) 보도 시기별 주요 단어 의미연결망
5. 결론
1) 연구 결과
2) 연구 함의
․ 참고 문헌

제7장 소셜 미디어와 방송(Twitter buzz)
제1절. 빅(big)데이터를 통한 TV수용자 반응 연구
1.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1) 소셜 미디어 시대의 TV 시청 행태의 변화
2) 소셜 데이터와 시청률의 진화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2) 주요 변인
3) 분석방법
5.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에 대한 분석 결과
2) [연구문제 2]에 대한 분석 결과
6.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제8장 광고/온라인 상호작용(Advertising)
1. 들어가기
2. 연구 목적
3.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1) 인터넷 광고와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2) 매체 맥락(Media Context)과 프라이밍 효과(Priming Effects)
4.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5. 연구방법
1) 실험설계 및 실험도구
2) 척도 개발
3) 실험의 진행
4) 실험대상자의 특성
6. 연구 결과
1) 인터넷 광고에서 상호작용성의 효과: [연구문제 1]의 [연구가설 1]에 대한 검증
2) 인터넷 광고에서 맥락의 효과: [연구문제 1]의 [연구가설 2]에 대한 검증
3) 인터넷 광고에서 상호작용성과 맥락의 상호 효과: [연구문제 1]의 [연구가설 3]에 대한 검증
4) 인터넷 광고에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문제 2]의 해결
7. 결론 및 함의
․ 참고 문헌

제9장 미디어 간 의제설정(Intermedia Agenda Setting)
제1절. 레트로(Retro) 패션에 나타난 미디어 간 네트워크 의제설정(intermedia agenda setting) 연구
1. 들어가기
2. 이론적 배경
1) 레트로의 개념과 레트로 패션의 출현 배경
2) 언론 뉴스 보도와 패션 전문 잡지의 패션 저널리즘
3) 프레임 분석 연구
4) 네트워크 의제설정과 의미연결망 분석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2) 분석방법 및 절차
5. 연구 결과
1) 시기별 언론 뉴스 보도와 패션 전문 잡지의 주요 단어 비교 분석
2) 시기별 레트로 패션 관련 언론 뉴스 보도 분석
3) 시기별 레트로 관련 패션 전문 잡지 기사 분석
4) QAP 분석에 의한 미디어 간 의제설정 분석
6. 연구 결과 및 연구 함의
1) 연구 결과
2) 연구 함의
․ 참고 문헌

제10장 하이퍼링크(HyperLink)
1. 들어가기
2. 서론: 문제 제기
3. 이론적 논의
1) 웹계랑학적 분석
2) 네트워크 분석 기법
3) 웹사이트의 유형 분류
4.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과정
5. 연구 결과
1) ABC, BBC, NHK, KBS 방송사 공식 홈페이지의 하이퍼링크 구조 분석 결과
2) ABC, BBC, NHK, KBS 방송사 공식 홈페이지에 하이퍼링크된 웹사이트들의 유형 차이 분석 결과
6. 결론 및 논의
1) 연구 결론
2) 연구 논의 및 함의
․ 참고 문헌

제11장 지상파 유튜브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 들어가기
2. 방송사의 유튜브 진출
1) 미디어 생태환경의 변화
2) 방송사의 유튜브 콘텐츠
3) 유튜브 이용자 수 측정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방송사 유튜브 채널 분석데이터 변인 정의
4. 분석 과정
5. 분석 결과
1) 기초 데이터에 대한 결과
2) 채널 개설 시기
3) 방송사의 유튜브 콘텐츠
4) 구독자 수 분류
5) 구독자와 프로그램 장르
6) 수용자 반응
7) 프로그램 유형과 구독자 수와 영상 조회 수
8) 이용자 수와 이용자 반응 예측 모델
6. 연구 결과 및 함의
1) 연구 결과
2) 함의로서 빅데이터로서 추가 변인
․ 참고 문헌

제12장 이미지 영상-인스타그램/유튜브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1) 인스타그램의 특성
2) 역사적 질병 이미지
3) 메르스
4) 텍스트 프레임과 이미지 프레임
5) 명도와 채도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분석기간
3) 분석대상
4) 분석방법
4. 분석 결과
1) 인스타그램 메르스 주요 텍스트와 이미지
2) 메르스 텍스트 프레임과 이미지 프레임
5. 결론 및 함의
․ 참고 문헌

제13장 사이버 미디어텔링(Media Telling)
제1절. 미디어텔링(Media-telling)의 인식 연구
1. 들어가기
1) 뉴스 기술의 제작 방식
2) 뉴스 소비 방식
3) 콘텐츠로서 스토리텔링에서 미디어텔링으로 변화
2. 사회적 장치(appratus)로서 미디어텔링과 알고리즘텔링
1) 콘텐츠형의 미디어텔링
2) 빅데이터
3) 드론 저널리즘
4) 디바이스와 단말기의 미디어텔링
5) 융합형 미디어텔링
3. 과잉인지로서 가상현실, 증강현실
4.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5. 연구 결과
․ 참고 문헌

제14장 네트워크 아젠다 세팅(Network Agenda Setting)
제1절. 기계학습(AI)을 통한 방송 콘텐츠와 수용자 감성의제(sentimental agenda) 상관 모형 및 분류 자동화 예측연구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범위
3. 분석 결과
4. 인공지능 모델
1) 모델 개요
2) 모델 구조
5.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권상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텍스트 분석, 메시지와 뇌의 연관성, 메시지 감성 분석, 커뮤니케이션 이론 등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영화 석사 학위를, 그리고 서던일리노이대학교(SIUC)에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아트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아칸소 주립대학교 언론방송학과 조교수와 삼성전자 홍보실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방문 교수로 연구 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 또한 한국소통학회, 인터넷융합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공지능연구 및 AI와 미디어 포럼을 진행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