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시대의 미디어와 사회

디지털시대의 미디어와 사회

김영석, 권상희, 김관규, 김도연, 나은영, 문상현, 문재완, 송종길, 양승찬, 이상식, 이상우, 이준웅, 전범수, 조성호, 황용석 (지은이)
나남출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290원
28,710원 >
29,000원 -0% 0원
0원
2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시대의 미디어와 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시대의 미디어와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30088954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17-01-05

책 소개

최근의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 환경에서 기존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에 대해 대강이나마 윤곽을 그려보고자 했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사회로의 중간 지점에서 앞과 뒤를 동시에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목차

머리말 5


1부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 진화
01 미디어 기술과 사회 21
02 종이신문과 인터넷 저널리즘 55
03 방송 101
04 인터넷 미디어 131
05 소셜미디어 161


2부 디지털미디어 콘텐츠.산업
06 영화 191
07 음악 209
08 게임 엔터테인먼트 231
09 다채널 유료방송 245
10 스마트미디어 271
11 광고와 PR 289
12 글로벌 미디어 329


3부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이론과 정책
13 미디어 이론 349
14 미디어 법제 373
15 미디어 정책 401
16 미디어 리터러시 413


참고문헌 435
찾아보기 445
저자약력 452

저자소개

문재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휴직)이며, 국제방송교류재단 사장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 학사,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로스쿨 석사(LL.M.) 및 박사(S.J.D.)를 졸업했다. 매일경제신문 사회부 기자로 일하면서 일반인의 판결 읽기에 주력해서『순진한 상식, 매정한 판결』(1995)을 출간했다. 주된 연구 영역은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로, 학교에서는 헌법, 언론법, 정보법을 강의하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와 한국언론법학회의 학회장을 맡았다. 저서로는『잊혀질 권리: 이상과 실현』(2016),『디지털시대의 미디어와 사회』(공저, 2016), Law Crossing Eurasia: From Korea To The Czech Republic(공저, 2015),『스마트미디어: 테크놀로지·시장·인간』(공저, 2015),『정치적 소통과 SNS』(공저, 2012),『언론법: 한국의 현실과 이론』(2008),『변호사와 한국 사회 변화』(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양승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재단에 재직했으며,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연구이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회 회장, 감사, 연구기획위원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저널리즘>(공저), <인터넷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공저), 미디어와 유권자(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는 <미디어 효과이론>(공역),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공역), <미디어 정치 효과: 비개인적 영향력>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 미디어와 여론 현상 분석,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 환경에서의 저널리즘 진단, 미디어 수용자 조사 분석이다.
펼치기
황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1999)를 취득한 이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면서 데이터저널리즘, 온라인저널리즘 정책 연구 등을 수행했다. 건국대학교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 AI 및 데이터 기반 정책연구와 이용자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데이터저널리즘 코리아 컨퍼런스와 어워드, 뉴스테크 이니셔티브 등의 행사를 조직 및 운영하고 있다. 현재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위원, 디지털플랫폼민간자율기구 위원, 디지털플랫폼정책포럼 위원,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민간협의회 위원, 법무부 인권정책자문 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 언론중재 위원,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위원회 위원, 미디어 다양성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대통령 표창(2019), 기획재정부장관 표창(2024), 교육부장관 표창(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2023),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표창(2015), 건국대학교에서 학술상(2014), 연구공로상(2015) 그리고 강의 우수상(2008), 리서치프론티어 상(2014, 2015, 2016, 2017, 2018) 등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디지털 플랫폼 정책 및 자율규제, 디지털미디어 이용자 행동연구,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설계와 구축, 추천 알고리즘 공정성 및 효과측정, AI 리터러시와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계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band connection, smartphone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Telematics and Informatics)” 등 80 여 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데이터시대 언론학연구>(커뮤니케이션북스, 공저) 등 50 여 권 이상을 발간했다.
펼치기
이준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대인소통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의 애넨버그 학교에서 정치소통을 연구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말과 권력》(한길사, 2011)이 있고, 한국 언론에 대한 논문으로《비판적 담론 공중의 등장과 언론에 대한 공정성 요구》, 《한국 언론의 경향성과 이른바 ‘사실과 의견의 분리’》, 《소통은 진리를 위한 것인가》, 《디지털 뉴스 시대의 언론윤리》,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나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교수다.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심리학과 석사 취득 후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사회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서울대학교 이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와 한국도로교통공단 비상임 이사, 서강대학교 대외협력처장, 지식융합미디어학부 학장, 언론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 ㆍ 역서로 한국언론학회 희관언론상을 수상한 『감정과 미디어』(2021), 한국방송학회 저술상을 수상한 『미디어심리학』(2010),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정신, 자아, 사회』(2010),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인간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2002) 등이 있다. 한국언론학회 학술상 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미디어 공간 인식과 프레즌스: 심리적 공간 이동의 단계 모델”(2015) 등 120여 편의 논문을 주요 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다.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의 이해, ICT·미디어·콘텐츠 산업론, 뉴미디어 세미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방송 산업과 방송통신 융합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이사,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디어 다양성』(공저, 2011),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소셜미디어』(공저, 2012),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2014) 등이 있고, Journal of Media Econo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이상우의 다른 책 >
김도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언론학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옛 신문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미국 텍사스대학 방문교수를 역임하였고,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정보학회의 연구이사, 한국방송학보·정보통신정책학보 편집위원 등을 지냈다. 보편적시청권보장위원회, 방송통신규제심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논문으로 “시청자 접근 및 채널 경영 면에서 본 공익채널 제도의 성과”(2014), “텔레비전 포맷을 통해 본 콘텐츠의 글로벌화와 현지화”(공저, 2013)가 있다.
펼치기
김영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석사 및 박사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연구위원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장 역임 연세대학교 부총장 역임 한국언론학회 회장 역임 현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대표 저서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사회조사방법론》 《멀티미디어와 정보사회》 《여론과 현대사회》(편)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와 사회》(공저) 《스마트 미디어: 테크놀로지?시장?인간》(공저) 등 yseok@yonsei.ac.kr
펼치기
권상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텍스트 분석, 메시지와 뇌의 연관성, 메시지 감성 분석, 커뮤니케이션 이론 등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영화 석사 학위를, 그리고 서던일리노이대학교(SIUC)에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아트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아칸소 주립대학교 언론방송학과 조교수와 삼성전자 홍보실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방문 교수로 연구 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 또한 한국소통학회, 인터넷융합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공지능연구 및 AI와 미디어 포럼을 진행한다.
펼치기
이상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계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교수 · 한국외대 학사 · 연세대학교 석사, 박사과정 수료 · 영국 셰필드대학교 박사학위 ·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연구위원 역임 · 한국경제TV 사외이사 역임 ·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 역임 · KBS, MBC, TBC, 티브로드 시청자위원 역임 · 방송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등 정책 자문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역임 · 대구선거방송토론위원 역임 · 한국언론학보, 한국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위원장 역임 ·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역임 · 대경언론학회장 역임 저서 [한국케이블TV산업정책론] 외 다수 논문 “The Evolution of Cable Regulatory Policies and Their Impact” 외 다수
펼치기
문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방송통신연구≫ 편집위원장과 한국언론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플랫폼 사회』(2022), 『글로벌 문화생산과 자본주의』(2017), 『저널리즘 모포시스』(공저, 2020), 『디지털시대의 미디어와 사회』(공저, 2017), 『스마트미디어』(공저, 2015), 『소셜미디어 시대를 읽다』(공저, 2014) 등이 있고, 논문으로 “자동추천서비스 이용자의 데이터화에 대한 인식”(2022), “사물 인터넷과 미디어 기업의 혁신”(2019), “미디어생태계의 변화와 글로벌 미디어기업의 대응전략”(2015), “문화산업전문회사제도가 지상파방송의 드라마제작시스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2014) 외 다수가 있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산업, 비판적 데이터 연구, 커뮤니케이션의 정치경제학이 주요 연구 분야다.
펼치기
조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욕주립대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 경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