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PC/게임/디지털 카메라 > 게임
· ISBN : 979119048685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09-26
책 소개
목차
1장 게임 콘텐츠 기획
수업목표
좋은 포트폴리오란?
시스템 기획과 콘텐츠 기획
어떤 장르가 포트폴리오로 적합한가?
레벨디자인 기본 설정
2장 게임개요
게임개요
플레이 개요 및 개발방향
타겟
과제와 주의사항
3장 시나리오 작법
시나리오(시놉시스)
시나리오 작성법
조셉 켐벨의 서사구조
크리스토퍼 보글러의12단계
조셉 켐벨의 출발 Departure
입문 Initiation
회귀 Return
4장 월드와 레벨디자인 지역 정의와 관계도
월드와 레벨디자인 지역 정의
시놉시스 작성법 개요
시놉시스 작성하기
지역별 시놉시스 작성
시놉시스 작성의 유의사항
시나리오의 참고 자료
관계도
관계도 예시
월드맵 디자인
월드 디자인 핵심설정
월드 디자인의 표시 요소
월드맵 디자인
월드 디자인의 추가 표시 요소
월드맵 기본 표기 정보
과제
5장 레벨디자인이란?
학습내용
레벨디자인의 정의
레벨디자인 밸런싱
몰입이론(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환경 시스템(규격) 설정
과제
레벨디자인 작성 중요도 요점 정리
6장 레벨디자인 규격과 엑셀 작업
레벨디자인 지역 크기
레벨디자인 기본설정
레벨디자인 엑셀 작업방식 설명
과제
7장 레벨디자인 보완
맵 테이블 설정(환경 시스템)
환경 속성 설정
몬스터 배치의 당위성과 개연성
높낮이
과제
8장 레벨디자인 작성 높낮이 표현(3D표현)
높낮이 표현(3D표현)
오브젝트의 높낮이 표현
등고선
높낮이 컨셉 설정
복층 레벨디자인
과제
9장 레벨디자인 심화
서론(유저심리)
레벨디자인 심화
결론
커뮤니티 유도 레벨디자인 방법
10장 환경 밸런싱 심화
환경 밸런싱
휴식 밸런싱
환경 시스템과 난이도
환경 난이도의 정량화
기타 난이도 요소
레벨디자인 작업 방법
과제
환경 밸런싱 작업 예시
11장 퀘스트 설정
퀘스트 설정
메인 퀘스트 설정
퀘스트 설정
퀘스트 설정 심화버전
과제: 퀘스트 작성
12장 마을과 사냥터 심화
마을
레벨디자인_사냥터
Npc 표시
레벨디자인 의도 추가
13장 레벨디자인 방법론 심화 & 퀘스트 레벨디자인
다음 내용을 학습기전 필수 작성 내용
동선
퀘스트
14장 레벨디자인 포트폴리오 예시
취업자 포트폴리오 예시1
취업자 포트폴리오 예시2
저자소개
책속에서
> 맵 방식 (게임개요에 목차 추가)
게임에서 사용하는 맵 방식은 심리스, 존, 룸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게임 장르 및 게임의 설정 방식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 심리스(오픈월드) 포트폴리오 및 학습을 위해서 심리스 선택
심리스(Seamless)란 사전적 의미로 '끊긴 데 없는' 이란 뜻으로, 게임에서는 한 개의 큰 맵을 만들어 이동 시에 맵로딩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식을 말한다.
자세히 설명한다면 유저가 캐릭터를 움직일 때 마다 그만큼 새지역을 로딩하는 구역 로딩 방식이기 때문에 심리스 방식은 로딩이 없는 것처럼 유저가 느끼게 된다.
넓은 존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로 기본 필드의 이동방식의 설명이기 때문에 인던, 투기장과 같은 별도 콘텐츠로 이동하는 방식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 존(로딩)방식
존(Zone) 방식은 일정 크기의 지역을 존으로 지정하여 존과 존사이를 이동할 때 로딩으로 불러오는 방식이다.
즉 포탈을 통해 맵을 이동하기 때문에 포탈맵 방식이라고도 한다.
> 룸(ROOM)방식
룸(Room) 방식은 서버에 같은 맵을 여러 개 만든 후에 유저가 그 중 하나를 골라 해당 맵에 들어가서 플레이를 하는 방식으로, 채널 방식이라고도 하며 존방식 중 하나의 형태이다.
룸(Room) 방식의 특징으로는 첫번째 인원수 제한이 있어 정해진 인원만 들어올 수 있다. 둘째는 설정과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특정 유저가 들어오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고, 특정 유저만 들어올 수 있다. 셋째는 유저가 진입할 때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룸(Room) 방식의 대표적인 예는 서든어택이 있다.
<1장 게임 콘텐츠 기획> – 레벨디자인 기본 설정
플레이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초기의 게임들은 레벨 디자이너라는 직군이 없고, 아무나 작업했기 때문에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게임의 복잡도가 늘어나고 유저에게 여러가지 플레이 경험을 주기위해 레벨디자인이라는 개념과 직업이 정립되었다. 레벨디자인의 플레이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은 결국 유저가 플레이할 공간에서 어떤 경험(콘텐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며 해당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길로 유도된다. 결국 루트(동선)을 디자인하는 작업이 레벨디자인의 핵심적이고 중요한 요소이다. 동선을 통하여 콘텐츠를 접하는 순서를 정하거나 특정 콘텐츠를 접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을 결정한다.
레벨디자인 기획 핵심 진행 단계
- 레벨디자인을 진행하기 앞서 환경 시스템(규격) 작업을 선행
- 환경 시스템 설정을 기반으로 레벨디자인(콘텐츠)을 제작
- 레벨디자인 기본이론(시나리오와 밸런싱(환경, 콘텐츠)을 통하여 기본 동선 설계)으로 루트설계
- 몰입 설정을 통하여 설계한 동선으로 플레이어를 유도하고, 유도된 플레이어의 몰입도를 증가시킨다.
- 몰입시킨 유저를 장시간 붙잡아 두기 위해 휴식 밸런싱을 한다. (심화 과정)
<5장 레벨 디자인> – 레벨디자인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