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일반
· ISBN : 9791190499118
· 쪽수 : 174쪽
· 출판일 : 2020-09-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국어라는 들꽃밭
1 ?‘은유법’과 ‘직유법’을 이해하기
_ 비유하는 표현 (초등 국어 6-1)
2 ‘이야기의 구조’를 이해하기
_ 이야기를 간추려요 (초등 국어 6-1)
3 여러 자료를 활용하여 ‘발표 준비’하기
_ 짜임새 있게 구성해요 (초등 국어 6-1)
4 ??‘논설문’의 구성과 표현법을 이해하기
_ 주장과 근거를 판단해요 (초등 국어 6-1)
5 ‘속담’의 뜻을 이해하여 말과 글로 활용하기
_ 속담을 활용해요 (초등 국어 6-1)
6 글에서 드러나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기
_ 내용을 추론해요 (초등 국어 6-1)
7 ‘우리말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언어생활 점검하기
_ 우리말을 가꾸어요 (초등 국어 6-1)
8 이야기 속 인물의 ‘가치관’을 알아차리기
_ 인물의 삶을 찾아서 (초등 국어 6-1)
9 ‘마음을 나누는 글’을 쓰는 방법과 과정
_ 마음을 나누는 글을 써요 (초등 국어 6-1)
10 작품 속 인물의 삶과 나의 삶을 비교하며 작품 읽기
_ 작품 속 인물과 나 (초등 국어 6-2)
11 ‘관용 표현’의 속뜻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_ 관용 표현을 활용해요 (초등 국어 6-2)
12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논설문’ 쓰기
_ 타당한 근거로 글을 써요 (초등 국어 6-2)
13 매체를 활용하여 ‘발표 자료’ 만들기
_ 효과적으로 발표해요 (초등 국어 6-2)
14 글에 담긴 ‘글쓴이의 생각’을 알아차리기
_ 글에 담긴 생각과 비교해요 (초등 국어 6-2)
15 ‘광고’와 ‘뉴스’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_ 정보와 표현 판단하기 (초등 국어 6-2)
16 쓴 글을 살펴 읽고 ‘고쳐 쓰기’
_ 글 고쳐 쓰기 (초등 국어 6-2)
17 내 생각과 느낌으로 ‘영화 감상문’ 쓰기
_ 작품으로 경험하기 (초등 국어 6-2)
찾아보기
책속에서

동화와 소설에는 있어요.
드러난 이야기가 있어요.
동시와 시와 시조에는 있어요.
숨은 이야기가 있어요.
드러난 이야기에는 있어요.
작가의 생각이 있어요.
숨은 이야기에는 있어요.
시인의 마음이 있어요.
작가의 생각에는 있어요.
등장인물의 가치관이 있어요.
시인의 마음에는 있어요.
시인의 가치관이 있어요.
등장인물의 가치관과 시인의 가치관은
지은이의 옳다고 믿는 생각이에요.
지은이의 옳다고 믿는 생각에는 있어요.
작품의 주제가 있어요.
작품의 주제에는 있어요.
지은이가 추구하는 삶이 있어요.
독자가 문학 작품을 읽어요.
독자의 생각이 지은이의 생각을 만나요.
지은이의 생각이 연필을 깎아요.
독자의 마음 연필을 말끔히 깎아요.
독자의 연필이 독서 감상문을 써요.
(8장의 동시 <지은이와 독자>)
예컨대, ‘발길이 끊겼다.’라는 말은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졌다.’라는 뜻으로 쓰는 관용 표현이에요. ‘발길’의 본뜻이 ‘앞으로 움직여 걸어 나가는 발’이니, 관용 표현에서의 ‘발길’과는 달라요. 이처럼, 관용 표현은 ‘둘 이상의 낱말이 합쳐져 원래의 뜻과는 다른 새로운 뜻으로 굳어져 쓰이는 표현’이에요. 관용(慣用)은 한자로 ‘버릇 관(慣)’, ‘쓸 용(用)’이에요. 그래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말’을 관용어(慣用語)라고 해요. 그러므로 ‘관용어’와 ‘속담’은 관용 표현이에요.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아요. 관용 표현으로 쓰는 낱말들이 그 본뜻과 동떨어져 있지는 않아요. ‘발길이 끊겼다.’라는 표현을 다시 보아요. 어떤 장소에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으니, 찾아오는 사람도 없을 수밖에요. ‘걱정이 태산이다.’라는 표현도 그래요. 이 말뜻은 ‘걱정은 태산이다.’가 아니에요. ‘할 일이 너무 많거나 생각이 복잡해서 걱정이 태산처럼 크다.’예요. 이 표현을 읽거나 듣는 사람은 ‘걱정’의 뜻과 ‘태산’의 뜻을 엮어 생각하여 그 속뜻을 짐작할 수 있어요. ‘태산이라고 표현할 만큼 걱정이 크구나.’ 하고 생각할 수 있어요. 이런 모든 ‘관용 표현’은 애초에는 누군가가 재미있게 말하려고 표현했을 거예요. 그 표현이 재미있어서 사람들이 자주 사용했을 거예요. 그래서 습관적으로 쓰이는 말이 된 거예요.
(11장의 수필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