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배창호의 영화의 길

배창호의 영화의 길

배창호 (지은이), 안재석 (대담)
작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9,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000원 -10% 900원 15,300원 >

책 이미지

배창호의 영화의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배창호의 영화의 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감독/배우
· ISBN : 979119056649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8-10

책 소개

올해로 데뷔 40주년을 맞은 ‘한국의 스필버그’ 배창호 감독의 대담집. 안재석 감독과 대담 형식으로 구성한 이 책은 배창호 감독의 유년시절부터 데뷔작 '꼬방동네 사람들'을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는 그의 폭넓은 영화 체험과 한국 영화계의 역사에 대한 기록이다.

목차

04 책머리에
제1장
시작의 길, 11 유년 시절
1953~1981 26 중·고등학교 시절
33 대학 시절
42 직장 시절
51 충무로 아웃사이더 시절
58 조감독 시절

제2장
성공의 길, 77 <꼬방동네 사람들>
1982~1985 96 <철인들>
110 <적도의 꽃>
123 <고래사냥>
141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153 <깊고 푸른 밤>
167 <고래사냥 2>

제3장
가지 않은 길, 180 <황진이>
1986~1992 193 <기쁜 우리 젊은 날>
206 <안녕하세요 하나님>
222 <꿈>
237 <천국의 계단>

제4장
새로운 길, 251 <젊은 남자>
1993~2001 264 <러브스토리>
279 <정>

제5장
아직도 가야 할 길, 311 <길>
2002~ 328 <여행>

저자소개

배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현대종합상사 케냐 지사에서 근무하다 <바람 불어 좋은 날>(이장호, 1980)의 조감독으로 영화계에 입문했다. <꼬방동네 사람들>(1982)로 감독으로 데뷔해 <적도의 꽃>(1983), <고래사냥>(1984), <깊고 푸른 밤>(1985) 등 일련의 흥행작들을 내놓으며 최고의 흥행 감독으로 입지를 다졌고, <황진이>(1986)를 기점으로 <기쁜 우리 젊은 날>(1987), <안녕하세요 하나님>(1987), <꿈>(1990) 등 자신이 추구하는 테마와 자신만의 독창적인 영상 스타일을 심화시켜 나갔다. 1994년 배창호프로덕션을 설립해 <젊은남자>(1994), <러브스토리>(1996), <정>(2000)을 직접 제작하기도 했고, <흑수선>(2001), <길>(2006), <여행>(2010)을 거쳐 그의 영화를 향한 길 찾기 여정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산호세주립대학교 방송영화학과 석좌교수, 건국대학교 영화예술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대종상 신인감독상(<꼬방동네 사람들>), 감독상(<깊고 푸른 밤>),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꼬방동네 사람들>), 감독상(<깊고 푸른 밤>, <천국의 계단>),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꼬방동네 사람들>, <고래사냥>), 각본상(<기쁜 우리 젊은 날>, <러브스토리>), 황금촬영상 감독상(<안녕하세요 하나님>), 아시아태평양영화제 감독상(<적도의 꽃>), 최우수작품상(<깊고 푸른 밤>), 프랑스 낭트3대륙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언급(<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프랑스 베노데국제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최우수관객상(<정>), 이탈리아 우디네극동영화제 최우수관객상(<정>), 미국 필라델피아영화제 최우수작품상(<길>)을 비롯해 기독교문화상(1985), 서울시문화상(1985), 대한민국문화예술상(2003), 한국영화문화상(2004)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기쁜 우리 젊은 날: 배창호 스크린 에세이』(우석, 1992), 『창호야 인나 그만 인나: 배창호 감독의 영화 이야기』(여백미디어, 2003) 등이 있으며, 2018년부터 2022년 7월까지 울주세계산악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했다.
펼치기
안재석 (대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영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인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전공 겸임교수,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객원연구원,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학과 박사후Post-Doc 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는 한국영상대학교 영화영상과 겸임교수, 강원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학과, 홍익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부 강사로 재직하며 강의하고 연구하고 있다. 석사학위 취득 후 현장 활동을 병행하며 <YMCA 야구단>(김현석, 2002)에서 제2조감독을, <슈퍼스타 감사용>(김종현, 2004)에서 조감독과 시나리오 각색을 담당했으며, 감독 데뷔작 <마차 타고 고래고래>(2016)로 제38회 황금촬영상영화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화 예술의 길을 개척한 여러 감독들-장 르누아르, 비토리오 데 시카, 존 포드, 윌리엄 와일러, 프랭크 카프라, 데이비드 린, 미조구치 겐지, 스탠리 큐브릭,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등-의 작품 세계와 그들의 영화적 표현들에 관심을 가졌었다. 나는 상업영화, 예술영화로 구분하는 것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데, 왜냐하면 이미 영화 자체가 대중을 위해 존재하는 예술적 표현 매체이기 때문이다. 단지 관객의 말초 신경을 자극하는 영화인가 인생을 느끼게 하는 영화인가 하는 구분이 있을 뿐이다.
이 책은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의 나의 영화 체험과 작품을 만들면서 고민했던 생각들과 느낀 것들을 대담으로 정리한 것이다. 독자들이 내 작품들을 기억하면서 이 대담을 읽는다면 더욱 이해가 깊어지겠지만 읽는 자체만으로도 쉽게 전달되도록 노력했다.
- 「책머리에」 중에서


내 영화 속에 도시적인 정서도 있으면서 한편 전원적인 시정이 있는 이유가 뚝섬에 살 때 체험했던 것에서 온 것 같습니다. 집 밖으로 나가면 푸른 밭이 펼쳐있고 한강이 가까이 있었어요. 포플러나무가 우거진 강변의 유원지로 놀러 가면 한복 입은 할머니, 아주머니들이 덩실덩실 춤을 추며 노는 모습도 볼 수 있었지요. ‘뚝방으로 막은 섬’이라 해서 뚝섬이라 불렀는데, 답십리 쪽을 마주보고 있는 긴 둑 위에 언제부터인가 빈민촌이 들어서기 시작했습니다. 그냥 판자 몇 개와 가마니로 만든 움막들이었지요. 영화감독이 되어 첫 작품으로 <꼬방동네 사람들>을 만들 때 그 둑 위에 살던 빈민들에 대한 기억이 작용했을 겁니다.
- 「유년 시절」 중에서


다수가 미국영화였지만 다른 나라 영화도 꽤 수입됐어요. 스페인 영화, 남미영화, 인도영화도 들어왔고, 프랑스의 갱영화, 이태리의 마카로니 웨스턴 영화는 자주 수입됐고, 클로드 를루슈의 <남과 여>(1966)나 소위 작가주의 영화도 가끔 수입되어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역시 그 나이 때의 내가 좋아하던 영화는 전쟁영화, 서부영화, 시대극 같은 서사적이며 스펙터클한 그런 영화들이었습니다. 특히 데이비드 린의 <콰이강의 다리>(1957)는 무척 좋아했던 영화 중의 하나인데, 조감독 시절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을 독학할 때 이 영화의 시점 숏 등을 여러 번 보며 연구하기도 했습니다.
- 「중·고등학교 시절」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436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