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거미도감

한국거미도감

김주필 (지은이)
우물이있는집
9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8,200원 -10% 0원
4,900원
83,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거미도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거미도감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곤충
· ISBN : 9791190631617
· 쪽수 : 1104쪽
· 출판일 : 2023-04-30

책 소개

현재 우리나라에서 구할 수 있는 “거미도감” 중에 ‘한국 토종 거미’에 대한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거미 전체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책이다. 세계 학계에 보고된 거미 140여 종을 비롯해 거의 800종에 이르는 한국산 거미를 한 권에 담았다.

목차

머리말 4
거미류와 그 친족들 Spider and related arthropods 44
거미류의 생태 및 계통적 진화 Biological and Ecological evolution of spiders 46
거미목의 아목, 하목, 과의 검색도 Pictorial key to suborder and family 56
한국산 거미목(Araneae)의 분류체계 66
거미의 내·외 몸 구조 67
한국산 거미목의 검색표 Key to order of Korean Araneae 72
원실젖거미하목 Infraorder mygalomorphae Pocock, 1982 72
한국산 원실젖거미하목의 검색표 (Key to Families of Korean Magalomorphae) 73
새실젖거미하목 Infraorder Araneomorphae Smith, 1902 73
한국산 새실젖거미하목의 검색표 (Key to Families of Korean Araneomorphae) 74

땅거미과 Family Atypidae (Thorell, 1870) 83
알거미과 Family Oonopidae Simon, 1890 95
공주거미과 Family Segestriidae Simon, 1893 103
유령거미과 Family Pholcidae C. L. Koch, 1851 107
잔나비거미과 Family Leptonetidae Simon, 1890 135
실거미과 Family Sicariidae (Keyserling, 1880) 163
가죽거미과 Family Scytodidae Bkackwall, 1864 167
티끌거미과 Family Oecobiidae Blackwall, 1862 173
주홍거미과 Family Eresidae (C. L. Koch, 1851) 179
해방거미과 Family Mimetidae Simon, 1881 183
잎거미과 Family Dictynidae O. P.-Cambridge, 1871 193
코리나거미과 Family Corinnidae Karsch, 1880 215
괭이거미과 Family Trachelidae Simon, 1897 219
밭고랑거미과 Family Liocranidae Simon, 1987 229
도사거미과 Family Phrurolithidae Banks, 1892 237
수리거미과 Family Gnaphosidae Pocock, 1898 247
홑거미과 Family Trochanteriidae Karsch, 1879 311
염낭거미과 Family Clubionidae Wagner, 1887 315
장수염낭거미과 Family Cheiracanthiidae Lehtinen, 1967 341
오소리거미과 Family Miturgidae Simon, 1885 351
팔공거미과 Family Anyphaenidae Bertkau, 1878 357
깡충거미과 Family Salticidae Blackwall, 1841 361
게거미과 Family Thomisidae Sundevall, 1833 473
정선거미과 Family Zoropsidae Bertkau, 1882 541
새우게거미과 Family Philodromidae Thorell, 1870 545
비탈거미과 Family Amaurobiidae Thorell, 1870 571
자갈거미과 Family Titanoecidae Lehtinen, 1967 575
너구리거미과 Family Ctenidae Keyserling, 1877 579
닷거미과 Family Pisauridae Simon, 1890 583
농발거미과 Family Sparassidae Bertkau, 1872 597
늑대거미과 Family Lycosidae Sundevall, 1833 603
스라소니거미과 Family Oxyopidae Thorell, 1869 667
가게거미과 Family Agelenidae C. L. Koch, 1837 673
굴뚝거미과 Family Cybaeidae Banks, 1892 691
외줄거미과 Family Hahniidae Bertkau, 1878 703
응달거미과 Family Uloboridae Thorell, 1869 715
왕거미과 Family Araneidae Clerck, 1757 733
접시거미과 Family Linyphiidae Blackwall, 1859 819
접시거미아과 Subfamily Linyphiinae (Simon, 1894) 821
애접시거미아과 Subfamily Enigoninae Emerton, 1882 887
굴아기거미과 Family Nesticidae Simon, 1894 931
꼬마거미과 Family Theridiidae Sundervall, 1833 939
갈거미과 Family Tetragnathidae Menge 1866 1035
알망거미과 Family Theridiosomatidae Simon, 1881 1065
깨알거미과 Family Mysmenidae Petrunkevitch, 1928 1069
도토리거미과 Family Anapidae Simon, 1895 1073
찾아보기 1079

저자소개

김주필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고,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거미학 분야를 일구었다. 대학원에 다니던 시절 곤충을 채집하러 나갔다가 우연히 희귀 거미들을 발견한 후 거미의 세계에 빠져들었고 우리나라 최초로 거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학자가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1,000여 종에 달하는 거미가 사는데 그중에서 한국땅거미, 버들염낭거미, 관악유령거미 등 130여 종은 김주필 박사가 직접 찾아낸 것들이다. 2004년 경기도 남양주시에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을 열어 일반인들에게 거미를 널리 알리기도 하고, 거미를 이용한 무농약 농사도 연구하고 있다. 대한민국 1호 거미박사 김주필 교수의 주요 업적 주필거미박물관 설립 “전국 대학교에 생물학과는 많아도 생물학자가 양성되는 비율은 극히 빈약한 실정입니다. 기초과학의 번영과 국가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미래의 주역인 유소년기 아이들에게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직접 체험해보고 생물과 접해 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주필거미박물관은 ‘세계 최초, 세계 최고’의 사설 거미박물관이다. 이곳은 영화 《스파이더 맨》에서 ‘피터’를 물었던 거미를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장소이다. 김주필 박사가 전 세계에서 모은 약 40만 점의 거미 표본이 전시되어 있다. 살아있는 각종 거미를 생생하게 볼 수 있는 이곳은 거미 외에도 세계 각 지역의 희귀 광물 300여 점이 전시된 광물전시실과 식물 및 고·중·신생대의 화석 200여 점이 모아져 있는 화석전시실, 약 1,000여 점의 나비와 나방, 장수풍뎅이 등이 전시된 곤충전시실, 거미의 세부 부분을 관찰할 수 있고 어패류와 곤충 표본이 전시되어 있는 현미경 관찰실 등 총 11관으로 이뤄져 있다. 이에 더해 야외조각공원, 장승공원 등을 만들고, 다양한 자연 체험과 놀이 프로그램 또한 즐길 수 있도록 조성하여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으로 진화시켰다.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에는 전 세계에서 채집한 6000여 종의 거미 40만 마리를 전시하고 있는 세계 최초의 거미 박물관 겸 수목원이다. 수목원의 이름 아라크노피아는 거미류를 뜻하는 ‘아라크니다(Arachnida)’와 천국의 ‘유토피아(Utopia)’를 합성한 것인데, 이름 그대로 “거미들의 천국”이다. 《한국거미: Korean Arachnology》라는 거미를 연구하는 전문 학술잡지를 발행 한국에서의 거미연구 상황을 국내는 물론 세계 각지에 널리 알리기 위해 “한국거미: Korean Arachnology” 라는 학술 전문잡지를 발행하였다. 그는 이 영·한문 학술논문집을 20년 동안이나 전세계 400여 농생물학자에게 발송했고 이로 인해 국제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일반인과 함께 거미를 연구하는 “한국거미연구회” 발족 “동국대 교수로 명예퇴직을 앞두고 청소년들을 가르치면서는 기초과학 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꼈어요. 그래서 범위를 넓혀 보다 많은 이들에게 생물학의 중요성을 가르치리라는 생각으로 2010년 한국거미연구회를 발족시켰습니다.” 한국거미연구회는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까지 거미 연구에 관심 있는 이라면 누구나 회원으로 가입하여 생물학에 관한 공부를 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다. 60~70명에 이르는 한국거미연구회의 회원들은 짝수 달마다 모여 연구주제를 발표했다. 거미학의 저변 확대를 위한 자발적인 고민에서 비롯된 이러한 교육 활동을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열정적으로 시작했던 일이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거미류의 생태 및 계통적 진화
Biological and Ecological evolution of spiders

거미류는 아마도 약 4억년 전인 고생대(Paleozoic) 데본기(Devonian)에 출현(Attercopus fimbriunguis)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전하고 있는 3억년 전 석탄기(Carboniferous)의 거미류화석(Arthrolycosa protolycasa)은 현존하는 가운데실젖거미아목(Mesothelae, Liphistiomorphae)의 일종과 매우 흡사하다. 고대 생물학에 있어서 화석에 대한 기록이 아주 적기 때문에 현존하는 무편류(無鞭類, Amblypygi)의 특징과 거미류 발생학의 근거로 거미류 조상의 특징을 추리해낼 수밖에 없다. 거미류 조상의 두흉부(Cephalothorax)는 6개의 체절로 되어 있고 복부(Abdomen)는 12개의 체절로 되어 있으므로 모두 18개의 체절로 이루어져 있었다. 복부 제2절, 즉 제8절에는 생식기가 있고 제8절과 제9절에는 각각 1쌍의 호흡기가 있었다. 또한 제10절과 제11절에는 각각 4개의 실젖(Spinnerets)이 있었다. 진화 과정 중에 두흉부의 체절이 융합되고 등 부분에는 1개의 배갑(Carapace)으로 덮이게 되었다. 복부 제1절인 제7절은 원래는 폭이 넓었으나 점차 좁아지고 짭아져서 가늘고 짧은 배자루(Pedicel)가 되었다. 그 후 복부의 나머지 체절도 소실되고 현재 가운데실젖거미아목에만 원체절의 등 부분에 골편과 체절이 남아 있는 형편이다. 실젖은 복부 중간 부분에 존재하고 있거나 계속 진화가 되어 복부 끝부분으로 이동해 갔고 거미류의 몸체는 점점 작아지고 수명도 단축되었다.


땅거미과
Family Atypidae (Thorell, 1870)
위턱의 기절은 앞을 향하여 수평으로 나란히 돌출하고 엄니는 몸 정중선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므로 위턱은 등축성이다. 아래턱은 잘 발달되어 있고 아랫입술은 흉판에 유착하여 움직이지 못한다. 다리는 끝털다발을 갖지 않고 발톱은 3개로 되어 있다. 눈은 8개가 눈두덩 위에 모여 있는데 중앙에 2개의 전중안이 있고 나머지 6개는 그 양쪽에 3개씩 집단을 이루고 있다. 이마는 넓고 가운데 홈은 세로로 달리거나 없다. 흉판에 4쌍의 도장 무늬가 있고 폐서는 2쌍이다. 실젖은 3쌍인데 뒷실젖은 3~4절로 되어 있다. 땅속에 대롱모양(전대, Purse web)의 집을 짓고 산다.


소천유령거미
Pholcus socheunensis Paik, 1978
암컷의 몸길이는 5.3mm이고, 수컷도 5.3mm정도이다. 두흉부는 세로가 너비보다 약간 길며 밝은 황색 바탕에 회갈색 얼룩 무늬가 있다. 8눈이 눈두덩 위에 3군을 이루며 전중안이 가장 작고 후안들의 크기는 같다. 위턱은 회갈색이며 수컷의 기절 앞면에 3개의 이빨형 돌기와 1개의 뒷엄니두덩니를 가지고 있다. 아래턱과 아랫입술은 황갈색이다. 흉판은 밝은 황색 바탕에 회갈색으로 얼룩져 있고 미부는 셋째다리 기절 사이에 끼여 있지 않는다. 다리는 갈색 바탕에 퇴절과 경절에는 황갈색 고리 무늬가 있고, 다리식은 1-2-4-3이다. 복부는 원통형이며 밝은 황색에 회갈색 무늬가 있다.
분포: 한국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