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91186430538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7-10-01
책 소개
목차
서론 4
1부 주홍거미 연구
연구 동기 및 목적 15
1. 연구 동기 15
2. 연구 목적 16
선행 연구 자료 조사 및 사전 탐사 17
1. 주홍거미에 대한 조사 17
2. 신두리 해안 사구에 서식하는 식생 조사 19
연구의 설계 22
1. 제작 기간 22
2. 저자만의 독특하고 참신한 아이디어 창출 23
3. 연구과제 선정 및 세부 흐름도 작성 24
연구 방법 및 내용 25
1. 연구지역 선정 25
2. 주홍거미의 거주지 위치 추적 및 채집 방법 28
3. 주홍거미의 사육 방법 29
4. 실험 및 촬영 장비 준비 30
연구 과정 및 결과 32
[연구과제 1] "주홍아! 주홍아! 뭐하니?" "외형적 특징" 연구 32
[연구과제 2] "주홍아! 주홍아! 뭐하니?" "구혼 및 짝짓기" 연구 35
[연구과제 3] "주홍아! 주홍아! 뭐하니?" "산란과 부화" 연구 37
[연구과제 4] "주홍아! 주홍아! 뭐하니?" "주홍거미의 서식과 생태" 연구
40
결론 및 제언 88
1. 연구과제에 대한 핵심내용 88
2.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혀낸 사항 94
3. 결론 96
4. 제언 98
보완하고 싶은 점 100
연구를 하면서 느낀 점 101
※ 참고 문헌 103
2부 주홍거미 여지도
연구 동기 및 목적 107
1. 연구 동기 및 목적 107
선행 연구 자료 조사 및 분석 109
1. 주홍거미에 대한 조사 109
연구의 설계 111
1. 연구 기간 및 절차 111
2. 연구과제 및 세부 내용 선정 112
연구 방법 및 내용 113
1. 국내 최초 주홍거미여지도 완성 113
2. 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생태학적 특성 보완 119
3. 주홍거미의 개체수가 적은 이유 120
4. 주홍거미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들 조사 122
5. 주홍거미의 보전 대책 및 보호 활동 122
연구 과정 및 결과 123
1. 국내 최초 주홍거미여지도 완성 123
2. 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생태학적 특성 보완 130
3. 주홍거미의 개체수가 적은 이유 134
4. 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기후학적 특성 조사 151
5. 주홍거미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들 156
6. 주홍거미의 보전 대책 및 보호 활동 161
결론 및 제언 166
[연구과제 1] 국내 최초 주홍거미여지도 완성에 대해서 166
[연구과제 2] 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생태학적 특성 보완에 대해서 167
[연구과제 3] 주홍거미의 개체수가 적은 이유에 대해서 167
[연구과제 4]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기후학적 특성 조사에 대해서 168
[연구과제 5] 주홍거미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168
[연구과제 6] 주홍거미의 보전 대책 및 보호 활동에 대해서 168
남은 기간 보완하고 싶은 점 170
후기 171
※부록: 국내 최초 주홍거미여지도 완성본 172
책속에서
주홍거미는 배등면이 주홍색을 띠고 있는 너무나 아름다운 거미이다. 예전에는 많이 발견되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보기 드물어졌고, 멸종위기후보종(種)으로서 생태가 밝혀진 것이 전혀 없는 종이다. 저자 등은 2008년 서해안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를 방문한 적이 있고, 바로 거기서 이 아름다운 주홍거미를 발견하게 되었다. 실제로 이 주홍거미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1종만 존재하는 주홍거미(Ereus cinnaberinus Walckenaer, 1805)였다.
한국의 주홍거미에 대한 연구 자료들을 살펴보았지만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지금까지 그 생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저자 등은 주홍거미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여서 그 생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세계동물분포 지역은 구북구, 신북구, 동양구, 이디오피아구, 오스트레일리라구, 신열대구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구북구를 북유럽아구, 지중해아구, 시베리아구, 만주아구로 나누는데 만주아구를 경계하는 경계에 살고 있는 지표종인 주홍거미는 전 세계적으로 10속 103종이 존재하지만 한국에는 1과 1속 1종이기 때문에 종 보존 가치가 매우 높다.
주홍거미의 일반적인 특징
몸길이는 암컷 9∼16mm, 수컷 8∼12mm이다. 암컷은 온몸이 검고 배 윗면에 4쌍의 누런 갈색 근육점이 있다. 수컷은 머리는 검지만 탈피를 마치면 배 윗면이 주홍색이 되고 4개의 크고 검은 무늬가 생기는데, 그 중심에는 갈색의 근육점이 있다. 머리가슴의 앞쪽이 넓다. 수컷은 특히 머리 부분이 높고 그 뒤쪽이 심하게 비탈져서 가슴과의 경계가 뚜렷하지만 가운데 홈은 없다.
야산이나 초원의 건조한 땅 속에 굴을 파거나 바위틈에 집을 짓고 산다. 5∼10월에 성체가 되고, 다 자란 수컷은 떠돌이 생활을 한다. 한국·중국(동북부)·남아시아·유럽·북아프리카 등에는 서식하지만 이웃나라 일본과 호주에는 분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