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주홍거미 연구

주홍거미 연구

김주필, 김만용 (지은이)
써네스트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주홍거미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주홍거미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91186430538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7-10-01

책 소개

한국 거미 연구의 첫발이자, 곤충 연구의 지침서. 거미의 생태학적 특성들의 연구를 활발히 진행 해야하는데 있어 그 첫발의 의미로 집필된 연구서.

목차

서론 4

1부 주홍거미 연구


연구 동기 및 목적 15
1. 연구 동기 15
2. 연구 목적 16
선행 연구 자료 조사 및 사전 탐사 17
1. 주홍거미에 대한 조사 17
2. 신두리 해안 사구에 서식하는 식생 조사 19
연구의 설계 22
1. 제작 기간 22
2. 저자만의 독특하고 참신한 아이디어 창출 23
3. 연구과제 선정 및 세부 흐름도 작성 24
연구 방법 및 내용 25
1. 연구지역 선정 25
2. 주홍거미의 거주지 위치 추적 및 채집 방법 28
3. 주홍거미의 사육 방법 29
4. 실험 및 촬영 장비 준비 30
연구 과정 및 결과 32
[연구과제 1] "주홍아! 주홍아! 뭐하니?" "외형적 특징" 연구 32
[연구과제 2] "주홍아! 주홍아! 뭐하니?" "구혼 및 짝짓기" 연구 35
[연구과제 3] "주홍아! 주홍아! 뭐하니?" "산란과 부화" 연구 37
[연구과제 4] "주홍아! 주홍아! 뭐하니?" "주홍거미의 서식과 생태" 연구
40
결론 및 제언 88
1. 연구과제에 대한 핵심내용 88
2.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혀낸 사항 94
3. 결론 96
4. 제언 98
보완하고 싶은 점 100
연구를 하면서 느낀 점 101

※ 참고 문헌 103

2부 주홍거미 여지도

연구 동기 및 목적 107
1. 연구 동기 및 목적 107
선행 연구 자료 조사 및 분석 109
1. 주홍거미에 대한 조사 109
연구의 설계 111
1. 연구 기간 및 절차 111
2. 연구과제 및 세부 내용 선정 112
연구 방법 및 내용 113
1. 국내 최초 주홍거미여지도 완성 113
2. 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생태학적 특성 보완 119
3. 주홍거미의 개체수가 적은 이유 120
4. 주홍거미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들 조사 122
5. 주홍거미의 보전 대책 및 보호 활동 122
연구 과정 및 결과 123
1. 국내 최초 주홍거미여지도 완성 123
2. 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생태학적 특성 보완 130
3. 주홍거미의 개체수가 적은 이유 134
4. 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기후학적 특성 조사 151
5. 주홍거미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들 156
6. 주홍거미의 보전 대책 및 보호 활동 161
결론 및 제언 166
[연구과제 1] 국내 최초 주홍거미여지도 완성에 대해서 166
[연구과제 2] 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생태학적 특성 보완에 대해서 167
[연구과제 3] 주홍거미의 개체수가 적은 이유에 대해서 167
[연구과제 4]주홍거미여지도를 통한 기후학적 특성 조사에 대해서 168
[연구과제 5] 주홍거미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168
[연구과제 6] 주홍거미의 보전 대책 및 보호 활동에 대해서 168
남은 기간 보완하고 싶은 점 170

후기 171

※부록: 국내 최초 주홍거미여지도 완성본 172

저자소개

김주필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고,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거미학 분야를 일구었다. 대학원에 다니던 시절 곤충을 채집하러 나갔다가 우연히 희귀 거미들을 발견한 후 거미의 세계에 빠져들었고 우리나라 최초로 거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학자가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1,000여 종에 달하는 거미가 사는데 그중에서 한국땅거미, 버들염낭거미, 관악유령거미 등 130여 종은 김주필 박사가 직접 찾아낸 것들이다. 2004년 경기도 남양주시에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을 열어 일반인들에게 거미를 널리 알리기도 하고, 거미를 이용한 무농약 농사도 연구하고 있다. 대한민국 1호 거미박사 김주필 교수의 주요 업적 주필거미박물관 설립 “전국 대학교에 생물학과는 많아도 생물학자가 양성되는 비율은 극히 빈약한 실정입니다. 기초과학의 번영과 국가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미래의 주역인 유소년기 아이들에게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직접 체험해보고 생물과 접해 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주필거미박물관은 ‘세계 최초, 세계 최고’의 사설 거미박물관이다. 이곳은 영화 《스파이더 맨》에서 ‘피터’를 물었던 거미를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장소이다. 김주필 박사가 전 세계에서 모은 약 40만 점의 거미 표본이 전시되어 있다. 살아있는 각종 거미를 생생하게 볼 수 있는 이곳은 거미 외에도 세계 각 지역의 희귀 광물 300여 점이 전시된 광물전시실과 식물 및 고·중·신생대의 화석 200여 점이 모아져 있는 화석전시실, 약 1,000여 점의 나비와 나방, 장수풍뎅이 등이 전시된 곤충전시실, 거미의 세부 부분을 관찰할 수 있고 어패류와 곤충 표본이 전시되어 있는 현미경 관찰실 등 총 11관으로 이뤄져 있다. 이에 더해 야외조각공원, 장승공원 등을 만들고, 다양한 자연 체험과 놀이 프로그램 또한 즐길 수 있도록 조성하여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으로 진화시켰다.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에는 전 세계에서 채집한 6000여 종의 거미 40만 마리를 전시하고 있는 세계 최초의 거미 박물관 겸 수목원이다. 수목원의 이름 아라크노피아는 거미류를 뜻하는 ‘아라크니다(Arachnida)’와 천국의 ‘유토피아(Utopia)’를 합성한 것인데, 이름 그대로 “거미들의 천국”이다. 《한국거미: Korean Arachnology》라는 거미를 연구하는 전문 학술잡지를 발행 한국에서의 거미연구 상황을 국내는 물론 세계 각지에 널리 알리기 위해 “한국거미: Korean Arachnology” 라는 학술 전문잡지를 발행하였다. 그는 이 영·한문 학술논문집을 20년 동안이나 전세계 400여 농생물학자에게 발송했고 이로 인해 국제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일반인과 함께 거미를 연구하는 “한국거미연구회” 발족 “동국대 교수로 명예퇴직을 앞두고 청소년들을 가르치면서는 기초과학 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꼈어요. 그래서 범위를 넓혀 보다 많은 이들에게 생물학의 중요성을 가르치리라는 생각으로 2010년 한국거미연구회를 발족시켰습니다.” 한국거미연구회는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까지 거미 연구에 관심 있는 이라면 누구나 회원으로 가입하여 생물학에 관한 공부를 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다. 60~70명에 이르는 한국거미연구회의 회원들은 짝수 달마다 모여 연구주제를 발표했다. 거미학의 저변 확대를 위한 자발적인 고민에서 비롯된 이러한 교육 활동을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열정적으로 시작했던 일이었다.
펼치기
김만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산중학교 교사. 전국과학전람회 대통령상(제54회), 최우수상(제61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금상(제29회, 제32회), 올해의 과학교사상(2011), 교보교육대상(2016) 등을 수상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주홍거미 연구』가 있으며, 「Science Robotics」(국제학술지)에 <Ionic spiderwebs>(2020, 서울대 공동연구)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주홍거미는 배등면이 주홍색을 띠고 있는 너무나 아름다운 거미이다. 예전에는 많이 발견되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보기 드물어졌고, 멸종위기후보종(種)으로서 생태가 밝혀진 것이 전혀 없는 종이다. 저자 등은 2008년 서해안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를 방문한 적이 있고, 바로 거기서 이 아름다운 주홍거미를 발견하게 되었다. 실제로 이 주홍거미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1종만 존재하는 주홍거미(Ereus cinnaberinus Walckenaer, 1805)였다.
한국의 주홍거미에 대한 연구 자료들을 살펴보았지만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지금까지 그 생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저자 등은 주홍거미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여서 그 생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세계동물분포 지역은 구북구, 신북구, 동양구, 이디오피아구, 오스트레일리라구, 신열대구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구북구를 북유럽아구, 지중해아구, 시베리아구, 만주아구로 나누는데 만주아구를 경계하는 경계에 살고 있는 지표종인 주홍거미는 전 세계적으로 10속 103종이 존재하지만 한국에는 1과 1속 1종이기 때문에 종 보존 가치가 매우 높다.


주홍거미의 일반적인 특징
몸길이는 암컷 9∼16mm, 수컷 8∼12mm이다. 암컷은 온몸이 검고 배 윗면에 4쌍의 누런 갈색 근육점이 있다. 수컷은 머리는 검지만 탈피를 마치면 배 윗면이 주홍색이 되고 4개의 크고 검은 무늬가 생기는데, 그 중심에는 갈색의 근육점이 있다. 머리가슴의 앞쪽이 넓다. 수컷은 특히 머리 부분이 높고 그 뒤쪽이 심하게 비탈져서 가슴과의 경계가 뚜렷하지만 가운데 홈은 없다.
야산이나 초원의 건조한 땅 속에 굴을 파거나 바위틈에 집을 짓고 산다. 5∼10월에 성체가 되고, 다 자란 수컷은 떠돌이 생활을 한다. 한국·중국(동북부)·남아시아·유럽·북아프리카 등에는 서식하지만 이웃나라 일본과 호주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