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9110963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5-30
책 소개
목차
Part 1 다문화 사회복지와 문화(적) 다양성
CHAPTER 01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사회주의의 이해
1.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2. 다문화 등 관련 용어들의 등장
3. 문화 다양성의 배경
4. 문화 다양성의 사회적 영향
CHAPTER 02 다문화 사회복지의 개념 및 가치
1. 다문화 사회복지의 개념
2. 다문화 사회복지의 목적 및 목표
3. 다문화 사회복지의 접근 방식과 실천적 지향점
CHAPTER 03 다문화 사회복지의 이론적 관점
1. 문화를 이해하는 관점
2. 인권과 문화 다양성
3. 평등과 문화 다양성
4. 사회적 배제와 문화 다양성
5. 사회적 소수자와 차별 및 문화 다양성
Part 2 다문화 사회복지의 법과 정책 및 전달체계
CHAPTER 04 다문화 사회복지의 법제
1. 국가인권위원회법
2.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3. 다문화가족지원법
4.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5. 난민법
6.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CHAPTER 05 다문화 사회복지의 정책 및 제도
1. 다문화 사회복지정책의 도입과 의의
2. 사회권 보장을 위한 정책 및 제도
3. 노동권 보장을 위한 정책 및 제도
4. 교육원 보장을 위한 정책 및 제도
5. 문화권 보장을 위한 정책 및 제도
6. 다문화 사회복지정책의 특징 및 과제
CHAPTER 06 다문화 사회복지 전달체계
1. 국가인권위원회
2. 다문화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구조
3.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4. 한국건강가정진흥원
5.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Part 3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사횝고지실천 기술
CHAPTER 07 문화적 역량
1. 문화적 역량의 개념
2. 문화적 역량의 구성 요소와 단계
3. 조직의 문화적 역량 강화 전략
4. 인력의 문화적 역량 강화 전략
CHAPTER 08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기술과 문화적 역량
1.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의 영역과 문화적 역량
2. 의사소통과 문화적 역량
3. 미시적 차원의 실천과 문화적 역량
4. 중위적 차원의 실천과 문화적 역량
5. 사례관리와 문화적 역량
Part 4 한국의 사회적 소수자와 사회복지
CHAPTER 09 결혼이주민과 다문화 사회복지
1. 이주민의 개념
2. 결혼이주민의 현황
3. 결혼이주민의 인권 실태 및 쟁점
4. 결혼이주민을 위한 사회복지
CHAPTER 10 외국인 노동자 및 난민과 다문화 사회복지
1. 외국인 노동자 및 난민의 개념
2. 외국인 노동자와 난민의 현황
3. 외국인 노동자와 난민의 인권 실태 및 쟁점
4.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사회복지
5. 난민을 위한 사회보장 동향
CHAPTER 11 북한이탈주민과 다문화 사회복지
1.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2. 북한이탈주민 인권 실태 및 쟁점
3.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정착지원서비스
4.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통합지원서비스
CHAPTER 12 성소수자와 다문화 사회복지
1. 소수자 및 성소수자의 개념
2. 성소수자의 현황
3. 성수자의 인권 실태 및 쟁점
4. 성소수자를 위한 사회복지
Part 5 외국의 다문화 사회복지의 사례
CHAPTER 13 뉴질랜드의 다문화 사회복지와 한인의 삶
1. 뉴질랜드의 인구 현황
2. 뉴질랜드의 다민족 역사
3. 뉴질랜드 사회복지서비스의 관점 및 모형
4. 뉴질랜드의 다문화사회로 지향과 와이탕이 조약
5. 한인의 이주 및 뉴질랜드 다문화사회에서 한인의 삶
6. 이민자 정책의 경향 및 한인 이민자 관련 논쟁들
CHAPTER 14 세계의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 사회복지의 모색
1. 미국의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 사회복지
2. 캐나다의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 사회복지
3. 호주의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 사회복지
4. 독일의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 사회복지
5. 프랑스의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 사회복지
6. 일본의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 사회복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