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이인재, 이문국, 이선우, 신명호, 송인규, 정원오, 김용득, 손병돈, 남기철, 정익중, 강병노, 김제선, 조미경 (지은이)
박영스토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720원
23,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복지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복지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65193805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3-02-25

목차

제1부 사회복지 기초이론 / 1

제  1  장 사회복지 개념과 의의 / 2
1 절 사회복지의 필요 / 3
2 절 사회복지 개념 / 10
3 절 사회복지의 목적과 발달동기 / 17
4 절 사회복지 관련 개념들 / 22
5 절 사회복지의 기능과 의미 / 26

제  2  장 사회복지역사 / 28
1 절 사회복지역사의 전개 양상 및 특징 / 29
2 절 고대 및 중세사회의 사회복지역사 / 33
3 절 자본주의 직전 사회와 사회복지역사 / 37
4 절 자본주의사회와 사회복지역사 / 47
5 절 현대사회와 사회복지역사 / 51

제  3  장 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 54
1 절 사회복지와 가치 / 55
2 절 사회복지정책과 이데올로기 / 63
3 절 사회복지실천과 윤리 / 67
4 절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 73

제  4  장 복지국가 / 80
1 절 복지국가의 정의 / 82
2 절 복지국가의 역사 / 85
3 절 복지국가의 유형화 / 97
4 절 복지국가에 대한 전망 / 100

제  5  장 사회복지법제론 / 102
1 절 서설 / 103
2 절 사회복지법의 의의와 존재모습(법원) / 104
3 절 사회복지법의 기본이념 / 112
4 절 사회복지법의 체계 / 115
5 절 사회복지수급권(사회보장수급권) / 118
6 절 사회복지법상의 권리구제제도 / 125
7 절 사회복지법 각론 / 129

제2부 사회복지 실천방법론 / 135

제  6  장 사회복지실천 및 기술론 / 136
1 절 사회복지실천 / 137
2 절 사회복지실천 기술과 모델 / 150

제  7  장 지역사회복지론 / 162
1 절 들어가는 말 / 163
2 절 지역사회복지community welfare의 개념과 의의 / 164
3 절 지역사회 기능community function과 지역사회 문제의 발견 / 171
4 절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실천모델 / 175
5 절 역량강화empowerment 중심 지역사회복지 실천 방법 / 179

제  8  장 사회복지행정론 / 184
1 절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사회복지조직 / 185
2 절 사회복지조직의 목표와 구조 / 187
3 절 사회복지조직의 재정관리 / 191
4 절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직원개발 / 196
5 절 리더십 / 202
6 절 사회복지조직 환경의 변화 / 206

제  9  장 사회복지정책론 / 210
1 절 사회복지정책의 의의 / 211
2 절 사회복지정책의 특성 / 214
3 절 사회복지정책학의 영역 / 218
4 절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 223
5 절 사회복지정책 분석의 틀 / 230

제  10  장 사회복지조사론 / 240
1 절 사회복지조사의 개념과 과정 / 241
2 절 사회복지조사의 전망과 과제 / 266

제3부 사회복지 분야론 / 269

제  11  장 아동복지론 / 270
1 절 아동의 이해 / 272
2 절 아동복지의 기초 / 276
3 절 아동복지의 유형 / 281
4 절 주요 아동복지정책 현황 / 286
5 절 아동복지의 전망과 과제 / 295

제  12  장 노인복지론 / 304
1 절 노인과 노인복지 / 305
2 절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 310
3 절 노인복지정책과 노인복지서비스 / 319
4 절 노인복지의 발전을 위한 과제 / 334

제  13  장 장애인복지론 / 336
1 절 장애 개념과 이념의 변화 / 337
2 절 장애인 정책의 동향 / 344
3 절 장애인 정책의 전망 / 362

제  14  장 빈곤과 공공부조론 / 364
1 절 빈곤론 / 365
2 절 공공부조론 / 379

제  15  장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론 / 386
1 절 사회서비스 개념과 사회서비스정책 범주 / 387
2 절 사회서비스정책 특성과 현황 / 391
3 절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 397
4 절 사회적 경제를 활용한 사회서비스 활성화 과제 / 403

•참고문헌 / 411

저자소개

정원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사회복지학 교수이자, 사회적협동조합 시흥주거복지센터 이사장이다. 복지국가론, 사회보장론, 사회복지정책론을 강의하고 있지만 빈곤문제에 관심이 많아 1998년 IMF 경제위기 때 노숙인 지원을 위해 한국 최초로 서울역 노숙인상담소를 개소·운영했다. 2007년부터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자활 및 사회적기업 전공’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했으며, 이후 사회적기업연구센터장을 역임했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빈곤론, 사회적기업개론을 강의했다.
펼치기
정원오의 다른 책 >
이선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사회복지학 박사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복지팀장 전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차별전문위원 전 (재)중앙자활센터 원장 현재 인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요저서:《장애인복지론》,《장애와 사회복지》(공저)
펼치기
정익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Social Work, Ph.D.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 아동권리보장원 제2대 원장 현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위원현 국무총리 소속 사회보장위원회 위원 『아동복지론』(공저), 『청소년복지론』(공저), 『사회조사론』(공저), 『실종아동의 이해』(공 저),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공저), 『아동청소년 방과후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공저), 『빈곤아동과 삶의 질』(공저) 등을 포함하여 아동·청소년 연구 다수 수행
펼치기
남기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거빈곤과 지역사회서비스 분야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고, 특히 노숙과 주거취약성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장, 서울시복지재단 대표를 역임하였고,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서울복지시민연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노숙인복지론", "자원봉사론", "주거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공저)"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손병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평택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국의 가족 간 소득이전을 연구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한국의 빈곤문제 및 빈곤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왔으며, 최근에는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다. 한국 사회가 구성원 모두 행복한 사회로 발전하기를 바라며, 그에 일조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공저로 『빈곤과 사회복지정책』, 『빈곤론』, 『한국의 가난』, 『사회복지정책론』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제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백석예술대학교 보건복지학부 교수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인적자원연구원 연구위원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리서치펠로우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출제위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 자뭔위원 최근 저서 및 논문 『접근성이 비도시지역 장애인의 복지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2017, 주 저자), 『노인복지론』(2017, 공저) 등 연구 다수
펼치기
강병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문학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문학석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문학박사 전, 서울시립 보라매청소년수련관 청소년지도사 서울시립 청소년미디어센터 문화사업팀장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겸임교수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책임연구원 현, 서울한영대학교 재활복지학과 교수
펼치기
김용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회장 역임
펼치기
조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남대학교 사회사업과 졸업 일본 동북복지대학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일본 동북복지대학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 관악노인종합복지관장 역임 현재: 인천재능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서울동부데이케어센터 운영위원 김포노인복지관 운영위원 인천동구노인문화센터 운영위원
펼치기
신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사회투자지원재단 사회적경제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한국도시연구소 소장 역임
펼치기
송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사법연수원 수료 변호사, 변리사, 세무사, 사회복지사(1급) 현 법무법인 정원 대표변호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사회복지법제) 정부 사회보장위원회 본위원 보건복지부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위원 근로복지공단 이사 보건복지부 고문변호사 서울고등검찰청 영장심의위원회 위원 대한변호사협회 성년후견법률지원 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후견협회 부회장
펼치기

책속에서

사회복지는 현대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대표적 제도이다. 국민들의 구체적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점에서 사회복지제도를 평가할 때 통상적으로 제도의 대상, 제공하는 급여 수준, 서비스 제공 전달체계 외에 사회복지재정이 중요한 지표가 된다. 우크라이나 전쟁, 기후위기 등이 초래하는 세계적 차원의 중층적 위기에 더하여 우리나라는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협하는 저출산 고령사회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복합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의 사회복지 모델을 찾는 것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2012년 사회보장기본법의 전면 개정은 변화된 사회경제적 상황을 반영한 사회복지제도의 전면적 개편의 시도라 생각한다. 개정 사회보장기본법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사회서비스로 대체하여, 복지, 보건의료, 교육, 고용, 주거, 문화, 환경 분야에서 새로운 복지수요인 돌봄, 정보의 제공, 역량 개발, 사회참여 지원을 사회서비스에 포함시키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 핵가족화 등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증가로 사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반면, 가족, 특히 여성에 주로 의존하던 비공식 돌봄은 한계에 도달하여 돌봄의 제도화는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사회경제 전반의 경쟁 가속에 따른 양극화의 심화·확산으로 취약계층 증가, 그 결과로 사회서비스 수요는 가속화된 반면, 사회서비스가 가장 필요한 저소득계층, 아동·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경우 시장에서의 서비스 구매력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구매력 보전 등 공공의 지원을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 경제활동 참여 촉진 및 빈곤층 전락 예방이 주요 정책적 과제가 되고 있다.
사회복지제도는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하며, 이에 국가별로 다양한 특성을 지닌다. 국가의 공적책임은 복지 대상과 욕구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는 서로 배타적 선택 대상으로 볼 수는 없다. 대략적으로 소득보장, 의료 보장, 초중등 교육보장 등 전 국민의 기본적 복지에 해당하는 부분은 보편적 복지에 해당한다면, 새로운 사회적 위기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사회서비스는 욕구수준과 경제수준에 비추어 선택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어느 서비스를 보편적 복지로 국가가 보장할 것인가는 그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합의에 달려 있다. 다만, 지속가능한 복지가 되기 위해서는 성장과 선순환하는 복지시스템을 고민해야 한다. 제도적 혁신이 없는 사회복지제도는 지속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자본주의 성장기의 완전 고용을 전제로 도입된 사회보험제도는 실업이 상수가 된 사회에서는 혁신적 변화가 없이는 그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유럽 국가들이 변화하는 경제사회적 상황을 반영하여 사회복지제도를 어떻게 개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사회복지개혁이 절실하다는 시대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사회복지 전공 연구진을 중심으로 사회복지학의 기본 토대가 되는 사회복지개론 출판을 기획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흔쾌히 동참해준 모든 필자들에게 고마움의 마음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개론 출판을 맡아주신 박영사와 관계 직원분들에게 감사드린다.

2023. 2.
저자들 대표하여 이인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