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중풍과 치매
· ISBN : 9791191739138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07-15
책 소개
목차
8 책을 시작하며
첫 번째 계절
조금 이상한 봄 : 치매 예비군
22 시작은 ‘조금 이상한데?’에서부터
26 진상 손님이 되었다
29 몰라!, 나는 들은 적 없어!
32 부모와 자식 간의 절연, 황혼이혼의 원인이 되기도
36 자동차 여기저기에 쿵쿵 자국이
40 사기를 당하기 쉬워진다
44 어머니가 도둑이라고요?
46 자식들이 가장 알아차리기 힘들다
48 진단이 빠를수록 치매는 늦게 온다
50 지금까지의 부모님을 잊자
53 경도인지장애라는 진단을 받으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두 번째 계절
상당히 불안한 여름 : 초기 치매
58 치매는 천천히 진행된다
61 제때 제 약을 먹을 수 없다
63 옷을 제대로 입기 힘들다
65 통장을 자주 잃어버린다
67 늘 만들던 음식을 완성할 수 없다
69 냉장고는 치매 진단기
70 가전제품을 새로 사는 것은 위험!
73 끝없이 반복되는 대화
76 모르는 일을 시험하지 말자
80 시간의 축이 비틀어진다
82 간병 제도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
86 집보다 전문 관리 시설이 도움이 된다
89 부모의 자존심을 섣불리 판단하지 말자
91 주간병인과 환자의 관계가 중요하다
세 번째 계절
혼란의 가을 : 치매 중기
96 가장 괴로운 시기는 2년이면 끝난다
99 환각은 ‘들어주기’만 해도 가라앉는다
102 ‘도둑’이라는 훈장
107 질투망상에 진실 고백은 금물
109 주변 증상은 약으로 억누를 수 있다
113 이상성욕은 퇴소의 원인이 되기도
116 ‘귀소 본능’은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것이 아니다
119 그룹홈의 효과
122 간병은 혼자가 아닌 여럿이서
125 ‘부부 모두 치매’인 경우가 오히려 잘 굴러갈 수도
128 어느새 집안이 쓰레기 천지로
129 목욕을 하지 않아도, 잠을 자지 않아도 OK
123 주위를 질리게 하는 환자 vs 인기가 높은 환자
135 남편을 잊어버리는 부인, 부인을 잊지 못하는 남편
137 앞으로는 내연관계의 시대?
네 번째 계절
결단의 겨울 : 치매 말기, 중증
142 만사에 관심이 없어지고, 일상생활의 대부분에 간호가 필요하다
144 언제까지 집에서 생활할 수 있을까?
147 데이서비스에 다니면 입소를 늦출 수 있다
149 몸무게 40킬로그램의 벽
152 배변 실수가 치명타
154 입원을 결정하는 것은 누구?
157 환자가 입소해도 간호 부담이 0가 되는 것은 아니다
161 입소 후에 웃음을 되찾기도
164 도움을 줄 수 없다면 참견도 하지 말자 (다만 경제적 부담은 같이!)
168 고령자 시설의 종류
170 젊었을 때의 사진을 걸어두자
173 누구나 마지막에는 식사를 하지 못하게 된다
176 생명에게 주어진 마지막 선물
178 치매에 호스피스는 없다
180 인간의 마지막 의무
183 끝마치며
책속에서
치매를 고칠 수 있는 약은 없다? 물론 그렇다. 그렇지만 간병인을 가장 힘들게 하는 치매 환자의 분노를 억제하는 약은 존재한다(간병인을 힘들 게 하는 것은 기억상실이 아니라 시도 때도 폭발하는 분노이다).
놀랍게도 현재 치매 환자의 간병을 맡고 있는 당사자 중에도 치매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것이야말로 ‘모래에 고개만 파묻는 심정’으로 알고 싶지 않은 일에서 눈을 돌리는 어리석은 행동이다.
치매가 어떻게 진행되는 지 알고 있다면, 환자가 심각한 증상을 보이더라도 여유를 가지고 대처할 수 있다. 때로는 어처구니가 없어 웃음도 난다. 웃음은 삭막해지기 쉬운 마음을 지켜주는 방패이다. 우선은 치매 환자보다 간병인의 심신부터 챙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