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육아법/육아 일반
· ISBN : 9791192044101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2-07-29
책 소개
목차
^^서문^^ 엄마가 내려놓는 만큼 아이는 자랍니다
^^1장. 자기 주도적인 아이로 키운다는 건, 한 발 뒤로 물러나 기다린다는 것
1. 아이를 키운다는 건 자립하는 아이로 성장시킨다는 것
2. 헬리콥터 맘은 절대 주도적인 아이로 키우지 못한다
3. 답은 뻔하지만 늘 회피하는 질문, “아이 인생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4. 스스로 설 수 있는 아이만이 변화를 이겨낼 수 있다
5. 교육철학에 대하여: “엄마는 나를 어떻게 키웠어?”
6. 행복한 아이가 홀로 설 수 있다
^^2장. 자기 주도적인 아이들의 첫 번째 조건: 엄마가 아이를 믿어주는 크기만큼^^
1. 엄마의 일관된 태도가 아이를 바른길로 이끈다
2. 스스로 선택하는 아이, 늘 엄마에게 물어보는 아이
3. 자기 결정성 이론: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아이의 힘
4. 경청하는 부모가 마음이 단단한 아이를 만든다
5. 엄마가 개입해야 할 때, 타이밍과 거리 조절이 핵심이다
6. 아이가 스스로 경험하도록 믿고 기다려주는 엄마
7. 스스로 하고 싶어서 하는 아이, 내적 동기의 힘
8. 아이가 쌓아 올린 작은 성공 경험의 놀라운 기적
^^3장. 자기 주도적인 아이들의 두 번째 조건: 엄마의 내려놓는 용기만큼^^
1. 엄마가 아이의 실패를 넉넉히 받아줄 때, 아이는 성장한다
2. 적절한 좌절을 경험하는 아이, 좌절 없이 늘 이기기만 한 아이
3. 아이 자존감을 크게 높이는 법
4. 내 아이의 주도성을 키우는 한마디,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단다”
5.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존중한다는 것
6. 아이의 뇌를 이해하는 순간 아이가 새롭게 보인다
7. 엄마가 불안하면 아이도 불안하다
^^4장. 자기 주도적인 아이들의 세 번째 조건: 아이가 스스로 조절하는 만큼^^
1. 자신을 믿는 아이, 자신을 믿지 못하는 아이
2. 놀이는 엄마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아이에게 중요하다
3. “저 아이는 어쩌면 저렇게 몰입을 잘할까?”
4. 아이의 자기 조절력을 키우는 두 가지 조건
5. 좋은 습관의 힘
6.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는 아이들의 비밀
7. 스스로 즐겁게 공부하는 아이, 마지못해 억지로 공부하는 아이
^^5장. 엄마의 내려놓는 용기: 믿어주고 내려놓기 위한 열 가지 습관^^
1. 엄마가 편안하지 않으면 아이는 엄마 눈치를 본다
2. 모범의 힘, 아이는 늘 부모를 바라보고 있다
3. 약이 되는 칭찬, 독이 되는 칭찬
4. 훈육, 차분하되 짧고 단호하게
5. 독서, 문해력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6. 독립적인 부모가 독립적인 아이로 키운다
7. 눈을 맞추고 감정을 헤아리는 엄마의 긍정 대화법
8. 엄마와의 따뜻한 관계가 아이의 회복 탄력성을 키운다
9. 사교육, 학습에 대한 기준과 원칙이 필요하다
10. 아이의 건강한 뇌를 위한 스마트폰 사용설명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이에게도 생각과 감정이 있습니다. 아이에게 의견을 묻지 않고 일방적으로 엄마의 결정을 강요하고 지나치게 간섭하면 엄마와 아이 간의 관계가 깨지기 쉽습니다. 아이는 스스로 결정하고 싶어 합니다. 이를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엄마가 지시하고 간섭한다면 어릴 때는 잘 따라오는 것처럼 보이지만 언젠가는 한꺼번에 폭발하게 됩니다. 그때는 아이와 엄마의 관계를 되돌릴 수 없을 만큼 악화된 상태입니다. 아이의 생각과 의견이 존중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엄마가 아이의 삶을 이끄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보통은 아이들이 원하는 방향이 엄마와 크게 다르지 않아요. 엄마와 가고자 하는 방향이 같더라도 아이들은 스스로 선택하길 원합니다.
_1장 자기 주도적인 아이로 키운다는 건, 한 발 뒤로 물러나 기다린다는 것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단계를 거치는 것이 좋아요. 첫 번째는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물어보세요. 아이가 말하는 것이 얼토당토않다 하더라도 들어주고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자신의 마음을 엄마가 알아주기만 해도 존중받고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두 번째는 한계를 정해주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혼자서 선택하라고 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가능한 선택지를 두세 가지 정해 제시하는 것이 좋아요. 되도록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선택지를 주면 아이가 성취감을 느껴 자긍심을 가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는 선택에 따르는 결과는 아이의 몫으로 남겨두세요. 선택한 것의 결과를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깨달은 아이는 신중한 선택을 위해 심사숙고하게 됩니다.
_2장 자기 주도적인 아이들의 첫 번째 조건: 엄마가 아이를 믿어주는 크기만큼
1학년 아이들 교실을 살펴보면 다양한 형태로 놀이에 참여하는 아이들을 볼 수 있어요. 새로운 놀이와 규칙을 창의적으로 만들어내며 놀이를 주도하는 아이, 친구가 하자는 대로 끌려다니는 아이, 어디에도 쉽게 속하지 못하고 멀리서 지켜만 보는 아이, 친구들에게 휩쓸리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 놀이를 묵묵히 하는 아이…. 아이들의 이러한 성향은 주로 가정에서 어떻게 놀이 시간을 보냈느냐에 따라 주도성 면에서 달라집니다. 아이들이 놀이에 참여하는 성향은 학교생활에 참여하는 성향과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 놀이는 놀이 이상의 의미와 가능성을 가집니다. 아이의 발달을 위해 놀이는 절대적으로 필요해요. 단순히 시간을 보내기 위한, 즐거움을 추구하기 위한 활동 이상입니다. 아이가 놀기만 한다고 걱정하고 조급해할 필요 없어요. 아이는 놀면서 자기 잠재력과 가능성을 확장시켜갑니다. 잘 노는 아이가 자신을 잘 알고 모든 면에서 주도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합니다. 아이들은 자유롭게 놀 때 가장 존중받고 있음을 느끼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짐을 경험해요.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인지 발달을 위해 엄마는 한 걸음 물러나야 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만큼 마음껏 놀게 내버려두어야 합니다.
_4장 자기 주도적인 아이들의 세 번째 조건: 아이가 스스로 조절하는 만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