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2312118
· 쪽수 : 454쪽
· 출판일 : 2022-06-1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_ 우리 기업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Part 1. 왜 퍼포스 경영이 중요한가?
Chapter 1. 목적 지향적 경영의 선구자들
직원의 자긍심이 높은 이나식품 | 단기적 주주 이익 지상주의에 빠진 기업 경영 | 세일즈포스의 대담한 선언 | 이익보다 더 중요한 목적을 생각하라 | 퍼포스의 배경에 있는 이해관계자주의 | 퍼포스를 실현하는 비즈니스로 전환하라 | 퍼포스 경영을 도입한 소니 | 일본 기업의 경영 이념 ‘산포요시’에서 배운다 | 기업의 퍼포스로 직장을 선택하는 밀레니얼 세대 | 퍼포스를 실현한 나이키의 ‘Dream Crazy’ 광고 캠페인 | 퍼포스를 직원이 업무로 실현하는 스타벅스
Chapter 2. 사회환경에 맞춰 목적을 설정하라
퍼포스란 무엇인가? | ‘Why’로부터 시작하라 | 기업의 존재 의의가 성패를 결정한다 |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퍼포스 | 사회적 임팩트를 창출한다 | 철학과 가치를 담은 브랜딩으로 성장한다 | 사회에 제공 가치를 중심으로 공감을 얻어라
Part 2. 이해관계자 경영으로의 대전환
Chapter 3. 이해관계자와 에코시스템 경영
이해관계자 경영으로 전환하다 | 이해관계자와 퍼포스를 공유하라 | 핵심적인 이해관계자를 파악하라 | 스타벅스, 이해관계자와 함께 성장하는 7가지 큰 대책
Chapter 4. 직원의 참여문화를 만들라
행복 경영으로 생산성을 높인다 | 높은 급여보다 업무의 사회적 의의를 중시한다 | 기업의 퍼포스와 직원의 퍼포스를 연계하라 | 유니레버, 자기답게 존재하라 | 직원이 나쁜 아이디어를 내는 이유
Chapter 5. 거래업체와 협력하라
공급망의 투명성은 신뢰를 높인다 | 스타트업과 협력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다 | 애플이 재생 가능 에너지 목표를 조기 달성한 이유 | 중소기업과 제휴하여 지역특화형 상품개발 | 공급망 전체의 사회 과제에 대처하라
Chapter 6. 고객과 함께 성장하라
고객 경험으로 퍼포스를 공유한다 | 지역 사회와 고객을 파트너로 관계를 형성하라
Chapter 7. 지역 사회와 연계하라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새로운 유통 구조를 만들다 | 지역 활성화 대책이 ESG 브랜드를 상승시킨다 | 노숙인 대책지원으로 미래의 사업 기반 확대
Chapter 8. 무형자산의 가치를 중시하는 주주
비재무 지표와 이익의 양립으로 기업 가치를 높인다 | ESG에 공헌 목표로 직원을 평가한다 | 독자적인 ‘ROESG 경영’ 지표를 개발하다 | 투자자는 보이지 않는 자산에 주목한다 | 새로운 기업 가치평가 모델로 등장한 ROESG
Chapter 9. 퍼포스를 경영 전략의 중심에 두라
퍼포스는 장기적인 성장 전략이다 | 퍼포스는 시장을 재정의한다 | 고객 경험을 넘어 의의와 스토리를 전달하라 | 사회적 책임수행에 대한 성적을 매기는 비코프 인증 | 윤리성과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사업 활동을 점검하라
Part 3. 기업이 사회에 존재하는 이유
Chapter 10. 소셜 브랜딩 시대의 경영
소셜 굿을 지향하는 시대가 열린다 | 책임수행에서 성장 전략으로 전환하다 | CSV 사업 기반을 강화하라
Chapter 11. 사회 과제 해결을 위한 마케팅 3.0
세계를 더 좋은 장소로 만든다 | 사회 공헌 활동을 마케팅과 연계하라 | CRM 마케팅으로 새로운 고객을 확보한다 | 에코 마케팅이 뜨고 있다 | 퍼포스를 기점으로 CRM을 추진하라
Chapter 12. 기업 행동 변화를 압박하는 소비자
그린 컨슈머 등장으로 소비 스타일이 바뀐다 | 지속가능성 이해력을 높여라 | 윤리적 소비에 대응하라 | 소비자에게 나쁜 평판은 위험하다
Part 4. 퍼포스 경영을 배우다
Chapter 13. 지속가능성 경영의 중요성
글로벌 메가트렌드를 인식하라 | 지속가능성 경영의 4가지 유형
Chapter 14.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환하다
필립스, 헬스케어 산업으로 과감한 전환 | DSM, 생명과학 기업으로의 변신 | 오스테드, 석유회사에서 재생 가능 에너지 기업으로 | 웨이스트 매니지먼트, 폐기물을 자원으로 새로운 가치 창출
Chapter 15. 고객 변화에 대응하다
유니레버, 순환 경제를 비즈니스 모델로 삼다 | 케링, 환경부담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다 | BNP 파리바, 지속가능성 금융을 선도한다
Chapter 16. 지속가능성 친화형 기업
파타고니아, 비즈니스를 수단으로 지구환경을 개선한다 | 인터페이스, 미션 제로 비전을 달성하다 | H&M, 외부에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시스템 개발 | 올버즈, 모든 제품의 탄소 발자국을 공개한다
Chapter 17. 퍼포스에 집중하여 성장하는 기업
레모네이드, 사회 공헌 사업전략으로 보험의 상식을 파괴한다 | 코토팍시, 빈곤 문제해결을 통해 성장한다 | 가오, ‘키레이 라이프스타일’ 중심의 ESG 경영 전략
Chapter 18. 본업에서 사회 과제를 해결하는 CSV 기업
네슬레, CSV 경영의 원조 | 노보 노디스크,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 추구 | 타타그룹, CSV 경영으로 인도의 경제 인프라를 선도한다
Chapter 19. 직원 참여형 문화로 성장하는 기업
세일즈포스, ‘오하나’ 정신으로 지역과 함께 성장한다 | 호리바제작소, 재미있고 즐겁게 일하며 가치를 창조한다 | 오므론, 기업 이념을 사업 활동에서 실현하는 TOGA 제도 | 브리지스톤, ‘우리의 공헌방식’으로 사업과 연계하다 | 마루이 그룹, 사회 과제 해결에 참여하는 기업문화 구축
Part 5. ESG 경영체제를 구축하라
Chapter 20. 30년 후 회사의 미래를 그려보라
무형자산이 기업 경쟁력의 원천이다 | 비재무 가치를 높이는 경영 | 장기적 전략으로 변화에 대응하라 | 회사 고유의 퍼포스를 실천하라 | 초성장을 위한 야심적 변혁 목표(MTP) | ‘줌인 줌아웃’ 사고의 관점으로 보라 | 2050년까지 경영 비전을 수립하라 | 장기비전에 사회 과제를 반영하라
Chapter 21. 장기적으로 도달할 북극성을 찾아라
회사가 지향하는 미래 모습을 그려보라 | 현재 사업 활동의 환경부담을 파악하라 | 그레이트 리셋 시대, 비즈니스와 지속가능성을 융합하라 | 순환형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라
Chapter 22. 지속가능성을 위한 성장영역을 찾아라
기존 사업모델을 근본적으로 점검하라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신상품을 검토하라 | 퍼포스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설정하라 | 외부불경제를 최소화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검토하라
Chapter 23. 퍼포스에 맞는 조직체계를 갖춰라
회사의 목표를 설정하라 | 목표에 도달할 방향을 설정하라 | KPI를 공개하는 용기 있는 경영 전략 | 추진할 조직을 구축하라 | 미래의 시나리오를 그려라 | KPI와 평가제도를 연계하라 | 사업 부문별 CSV 사업을 발굴하라 | 독립된 이노베이션 조직을 만들라 | SDGs를 넘어 독자적 가치관을 추구하라 | 원점에서 기업 고유의 스토리를 전파하라
Part 6. 퍼포스 브랜딩으로 성장하라
Chapter 24. 퍼포스 브랜드를 내부에 공유하라
지속가능성 경영은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를 높인다 | 퍼포스 브랜딩으로 이해관계자와 연계하라 | 지속가능성 브랜딩 전략을 추진하라 | 사회의 요청과 기대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 기업 브랜드에 사회성을 갖춰라
Chapter 25. 퍼포스를 조직에 전파하라
내부 브랜딩과 CSR 마인드를 조성하라 | CSR은 기업 이념을 실천하는 수단이다 | 지속가능성 경영을 전파하는 5가지 방법
나가며_ 퍼포스가 기업의 성장과 미래를 견인한다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전의 ‘주주가치 최대화’를 존재 의의로 생각하는 기업은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 이런 소비자의 의식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은 무엇을 위해 사업을 하는지, 세상을 위해 어떤 가치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답해야 한다. 즉 기업은 창업 때와 같은 원점으로 돌아가 존재 의의를 다시 생각하고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_ 〈들어가며〉 중에서
2019년 일본의 대표적인 기업 소니는 “창의성과 테크놀로지의 위력으로 세계를 감동으로 채운다”는 그룹 퍼포스를 제정하였다. CEO 요시다 켄이치로는 그룹의 퍼포스를 정의하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회사를 장기적으로 존속하게 하는 존재 의의는 무엇인지를 명확히 정의하고, 그룹 전체의 직원들이 공유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즉 소니 그룹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를 명확히 하면 직원은 무엇을 위해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_ 〈왜 퍼포스 경영이 중요한가〉 중에서
이제 주주 중심주의 경영에서 벗어나야 기업은 생존할 수 있다. 직원과 고객부터 지역 사회, 지구, 후세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해관계자를 배려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기업은 더 높은 목적의식을 갖고, 주주의 이익 이외에 이해관계자의 욕구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 재무적 수익만으로 비즈니스의 성공이 결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무엇보다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대책을 경영 핵심에 두고 실천해야 좋은 평가를 받는 시대가 되었다. _ 〈이해관계자 경영으로의 대전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