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등장에 따른 글로벌 생물안전성 규범 변화와 시사점 연구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등장에 따른 글로벌 생물안전성 규범 변화와 시사점 연구

(글로벌법제전략연구 22-17-02)

박범순, 정명현 (지은이)
한국법제연구원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0% 2,500원
450원
11,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6,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등장에 따른 글로벌 생물안전성 규범 변화와 시사점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등장에 따른 글로벌 생물안전성 규범 변화와 시사점 연구 (글로벌법제전략연구 22-17-02)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92325774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등장에 따른 글로벌 생물안전성 규범 변화와 시사점 연구>는 생명공학 신기술에 관한 국제협약 및 주요국의 법제도 논의 및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의 관련 법제 및 정책 현황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차

요 약 문 5
Abstract 9

제1장 서 론 / 21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23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4
1. 연구범위 24
2. 연구방법 28

제2장 생명공학 신기술에 대한 개관 / 31

제1절 합성생물학 33
1. 합성생물학 연구개발 및 산업화 동향 33
2. 합성생물학 거버넌스 논의 핵심 이슈 41

제2절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기술 43
1.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화 동향 43
2.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기술 거버넌스 논의 핵심 이슈 47

제3절 시사점 49

제3장 생명공학 신기술에 대한 국제 논의 동향 / 51

제1절 생물다양성협약 53
1. 생명공학 신기술 관련 의제 논의 동향 57
2. 핵심 의제 및 결정문 분석 58

제2절 OECD ; 핵심 의제 및 결정문 분석 68

제3절 기타 관련 국제협약 73

제4절 시사점 75

제4장 생명공학 신기술에 대한 주요국 법제 동향 / 77

제1절 유럽연합 79
1. 생명공학기술 제품 규제 법제 구조 및 특징 79
2. 생명공학 신기술 관련 논의 동향 82
3. 주요 법제 분석 92

제2절 미국 96
1. 생명공학기술 제품 규제 법제 구조 및 특징 96
2. 생명공학 신기술 관련 논의 동향 98
3. 주요 법제 분석 107

제3절 브라질 112
1. 생명공학기술 제품 규제 법제 구조 및 특징 112
2. 생명공학 신기술 관련 논의 동향 114
3. 주요 법제 분석 117

제4절 아르헨티나 122
1. 생명공학기술 제품 규제 법제 구조 및 특징 122
2. 생명공학 신기술 관련 논의 동향 123
3. 주요 법제 분석 128

제5절 중국 135
1. 생명공학기술 제품 규제 법제 구조 및 특징 135
2. 생명공학 신기술 관련 논의 동향 136
3. 주요 법제 분석 139

제6절 일본 147
1. 생명공학기술 제품 규제 법제 구조 및 특징 147
2. 생명공학 신기술 관련 논의 동향 148
3. 주요 법제 분석 153

제7절 시사점 159

제5장 생명공학 신기술 관련 국내 법적 논의 동향 / 167

제1절 유전자변형생물체법(LMO법) 구조와 특징 169
1. 유전자변형생물체법 구조 169
2. 유전자변형생물체법 상 유전자변형생물체 정의 171
3. 유전자변형생물체 위해성심사(협의심사) 제도 172

제2절 생명공학신기술 국내 논의 동향 173
1. 합성생물학 173
2. 유전자가위기술 176
3. 유전자변형생물체법 개정안 분석 및 개선방안 178

제3절 시사점 185

제6장 결 론 / 189

제1절 기술 진화 191
1. 합성생물학 191
2. 유전자가위기술 192

제2절 법제도 진화 192
1. 과학기술과 법제도 192
2. 카르타헤나의정서 193
3. 사전주의원칙 193

제3절 국제협약 및 국제기구 동향 194
1. 생물다양성협약 194
2. OECD 194
3. 국제자연보전연맹, 세계보건기구, 유엔무역개발회의, 식량농업기구,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에 관한 협정 194

제4절 주요국 동향 195
1. 주요국 동향 195
2. 주요국의 GMO 정의 195
3. 주요국의 거버넌스 구조 197

제5절 주요국 법체계 비교 198
1. 비교법 관점 198
2. 미국 199
3. 유럽연합 199
4. 브라질 200
5. 아르헨티나 200
6. 중국 201
7. 일본 201

제6절 국내 논의 203
1. 법개정 논의 203
2. 국내 바이오안전성 거버넌스 203

제7절 제언 204
1. 규제의 비교법적 이해 204
2. 산업 분야별 규제 대응 205
3. 과학기술/인문사회 협업 206
4. 생물안보, 생명윤리 206
5. 생명공학기술의 거버넌스 207

참고문헌 209

저자소개

박범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정명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