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2381244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2-10-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005
글쓴이의 말 011
1부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환자의 권리
아픈 몸을 고치는 것이 자동차를 수리하는 것보다 힘든 이유 026
1장 질환과 우리의 삶
과거의 주요 사망질환이었던 감염병의 귀환 039
만성화된 과거의 위험 질환들 063
질환 예방의 중요성과 건강검진의 한계 074
암질환에 대한 인식의 변화 083
노인과 만성질환들 096
2장 의료 혜택과 바람직한 보건의료의 방향성
지금은 당연시 여기는 의료복지의 시작 105
의료복지체계의 유지를 위한 처절한 노력들 109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의료란? 122
대한민국에서 공공의료의 위치와 과도한 민간 영역에 대한 의존 153
3장 미래의학
정밀의학의 출현 163
원격진료는 우리에게 생각보다 가까이 다가와 있다 176
스마트 의료기기들의 대중적인 보급 184
병원도 이제는 친환경적으로 198
인공지능의 개입 206
건강한 삶과 수명 연장의 가능성 212
4장 환자의 권리
커지는 환우회의 중요성과 의료 서비스 전달 과정의 민주화 245
죽음과 존엄사 간의 경계: 죽을 수 있는 권리가 필요한 이유 269
환자의 권리를 보장하라, 특히 내 몸과 정보는 누구 것인가? 284
코로나-19와 롤모델 296
2부 의사 역할의 변화와 의료 개혁의 방향
의료 서비스를 구매하는 당당한 소비자인 환자를 위한 노력들 310
5장 한국에서 현대의학의 시작과 발전에 대한 이야기
일제강점기와 독립 317
소생의 기회: 서울대학교-미네소타 협력 프로젝트 323
의사 양성의 비용은 얼마이고 누가 지불하는가? 330
개발도상국 사례로 본 의학교육의 중요성 338
의과대학과 교육수련병원, 그리고 지역사회 발전과의 관계 347
6장 임상의냐 과학자냐: 미래를 대비하는 새로운 의사의 역할
의사과학자(Physician scientist) 367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388
7장 의료 개혁의 필요성
현 의료전달체계의 문제점들 407
치솟는 의료비용과 이에 대한 대처 418
앞으로 의료전달체계가 탈중심화되어야 하는 이유들 429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과 의료부권주의(Medical paternalism) 간의 차이 444
8장 의료 개혁을 위한 착안점들
전문직업성의 성립 조건과 21세기에서 의미 457
앞으로 지역사회와 밀착하는 의사의 역할 475
의료전달체계를 탈중심화하는 방법들 481
진료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 PA)의 활용: 의사 탈중심화를 위한 노력 504
마치는 글 512
색인 51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어떻게든 병의 원인이 사라지지 않는 한 '증상의 호전'에 머무는 지금의 의학 수준에서 질환은 만성질환이 될 가능성이 크다. 만성질환이라는 말은 완치가 되지 않고 오랫동안 환자가 앓게 되는 병이라는 뜻이다. 과거에 생명을 위협하던 여러 중증 급성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의료기술이 발달하면서 지금은 확연하게 줄었다. 하지만 이 말은 완치되거나 가벼운 경증 질환이 된 것이 아니라 의료기술의 발달로 환자가 여생 동안 계속 관리해야만 하는 만성질환이 되었다는 뜻이다. 또한, 당장 생명에 지장이 없는 질환들도 완치가 되지 않으면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면서 관리에 드는 비용과 수고가 걷잡을 수 없이 증가하고 있다.
의료행위에 명백하게 오진과 의료 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처럼 검진 과정에서도 이처럼 장비의 성능, 의사의 자질과 평균적인 인구를 대상으로 설정된 검사들의 한계성 같은 여러 이유에서 오진이 일어날 수 있다.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큰 이상을 놓치는 것도 문제지만, 별일이 아닌 경우로 후속 검사에 들어가는 경우도 고스란히 사용자 부담이 된다. 현 검진의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큰 이상들을 놓칠 수도, 별일이 아닌 경우에도 후속 정밀검사로 몸도 지갑도 같이 고생할 수 있다.
의료 이용의 형평성 중에서 실현 가능한 목표는 주로 수평적 형평성의 달성 여부로 생각된다. 의료 필요가 더 큰 사람에게 더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수직적 형평성인데,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동등한 의료 필요에 대해 동등한 의료 이용을 보장하는 것을 수평적 형평성이라 한다. 만약 어느 나라의 환자들이 정해진 보험료와 자기 부담금을 내고서 소득, 교육 수준, 거주지역, 성별 등에 관계없이 차별 없는 동일한 의료 서비스를 받는다면 이는 완벽한 수평적 형평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