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악보/작곡 > 플룻 외 관악기 악보
· ISBN : 9791192404929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5-02-21
책 소개
목차
이 책의 활용법 4
왜 하모니카인가? 6
제1부 하모니카의 기초
1. 하모니카의 역사 15
2. 하모니카의 종류 16
3. 하모니카의 관리 18
4. 트레몰로 장(단)조 하모니카의 구조와 계이름 위치 19
5. 트레몰로 하모니카 입문 19
제2부 음악 기초 이론과 숫자보
6. 음악의 3요소 25
7. 높은 음자리 오선보 이름 26
8. 악보상의 기호들 18개 26
9. 음이름과 계이름 27
10. 음표와 쉼표 28
11. 오선보에서 계이름 찾기 28
12. 도돌이표 29
13. 오선보와 하모니카 취구 숫자보 31
14. 잇단음표 32
15. 조표와 임시표 32
16. 장음계와 단음계 스케일 33
17. 하모니카 악보에 나오는 주법과 기호 34
18. 조성과 하모니카 34
19. 반음키 하모니카 사용법 37
20. 조성에 따른 하모니카 조합법 38
21. 박과 박자와 리듬 39
22. 베이스(Bass) 넣기 39
23. 리듬별 대중 가요 정리 41
24. 음계 연습(1) 43
25. 음계 연습(2) 44
26. 음계 연습(3) 45
27. 반음계 연습 46
28. 음계 연습(단조 하모니카) 47
29. QR코드 일람표 172
30. 하모니카 스케일표 177
31. 노래 제목 인덱스 179
제3부 동요와 가곡(50곡)
[곡목 하모니카 키]
1. 작은별, 학교종 [C] 50
2. 똑같아요, 비행기 [C] 51
3. 나비야 [C] 52
4. 자전거 [C] 53
5. 산토끼 [C] 54
6. 환희의 송가, 주먹 쥐고 [C] 55
7. 산바람 강바람 [C] 56
8. 꽃밭에서 [C] 57
9. 고향집 [C] 58
10. 생일 축하 노래, 축하합니다 [C] 59
11. 에델바이스 [C] 60
12. 반달 [C] 61
13. 고향 생각 [C] 62
14. 섬집아기 [C] 63
15. 나뭇잎 배 [C] 64
16. 고향의 봄 [C] 65
17. 노래는 즐겁다 [C] 66
18. 애국가 [C] 67
19. 석별의 정 [C] 68
20. 작별(올드 랭 사인) [C] 69
21. 어메이징 그레이스 [C] 70
22. 징글벨 [C] 71
23. 창밖을 보라 [C] 72
24. 조개껍질 묶어 [C] 73
25. 스와니 강 [C] 74
26. 애니로리 [C] 75
27. 꼬부랑 할머니 [C] 76
28. 여수 [C] 77
29. 아 목동아 [C] 78
30. 연가(저, 중음 시작) [C] 79
31. 즐거운 나의 집 [C] 80
32. 즐거운 나의 집(변주곡) [C] 81
33. 그 옛날에 [C] 82
34. 그 옛날에(변주곡) [C] 83
35. 기러기(변주곡) [C] 84
36. 작은 별(변주곡) [C] 85
37. 환희의 송가(3홀 화음) [C] 86
38. 어머님 은혜(3홀 화음) [C] 87
39. 오빠 생각(3홀 화음) [C] 88
40. 등대지기(3홀 화음) [C] 89
41. 과수원 길 [C, C ] 90
42. 사랑의 기쁨 [C, C ] 91
43. 산타루치아 [C, C ] 92
44. 매기의 추억 [C, C ] 93
45. 학교종(베이스) [C] 94
46. 반달(분산화음, 주법) [C] 96
47. 어머님 은혜(분산화음, 주법) [C] 98
48. 구름(분산화음, 주법) [C, C ], [A , B] 100
제4부 가요(61곡)
[곡목 하모니카 키]
1. 갑돌이와 갑순이 [C] 104
2. 개똥벌레 [C] 105
3. 고향무정 [C], [A] 106
4. 나그네 설움 [C], [A] 108
5. 남촌 [C], [A] 107
6. 마포종점 [C], [A] 112
7. 모란동백 [C], [A] 110
8. 미련(장현) [C], [A ] 113
9. 민요 메들리 [C] 118
10. 바람의 소원 [C], [A] 114
11. 별빛같은 나의 사랑아 [C], [A] 116
12. 보슬비 오는 거리 [C], [A ] 119
13. 봉숭아 [C], [A ] 120
14. 부모 [C] 122
15. 사랑하는 마음 [C], [A] 123
16. 삼포로 가는 길 [C], [A] 124
17. 석양 [C], [A ] 125
18. 선창 [C], [A] 126
19. 섬마을 선생님 [C], [A] 127
20. 아름다운 것들 [C] 128
21. 유정천리 [C], [A] 129
22. 이별 [C], [A ] 130
23. 정든 그 노래 [C], [A] 131
24. 찔레꽃 [C], [A] 132
25. 첨밀밀 [C], [A ] 133
26. 청실홍실 [C] 134
27. 초혼 [C], [A] 135
28. 할아버지 시계 [C] 136
29. 홍도야 우지마라 [C], [A] 137
30. 희망가 [C] 138
31. 갈대의 순정 [C, C ], [A, A ] 139
32. 긴머리 소녀 [C, C ], [A, A ] 140
33. 나 하나의 사랑 [C, C ] 141
34. 내 마음 별과 같이 [C, C ] 142
35. 도레미 송 [C, C ], [A, A ] 143
36. 동숙의 노래 [C, C ], [A, A ] 144
37. 동행 [C, C ], [A, A ] 145
38. 로미오와 줄리엣 [C, C ], [A, A ] 146
39. 바위고개 [C, C ] 147
40. 바위섬 [C, C ] 148
41. 사랑(김하정) [C, C ], [A , B] 149
42. 산장의 여인 [C, C ], [A , A] 150
43. 숨어우는 바람소리 [C, C ], [A, A ] 151
44. 애정의 조건 [C, C ], [A , B] 152
45. 애정이 꽃피던 시절 [C, C ], [A , B] 154
46. 초연 [C, C ], [A, A ] 155
47. 캐롤 메들리 [C, C ], [A, A ] 156
48. 하숙생 [C, C ], [A, A ] 158
49. 해변의 여인 [C, C ], [A, A ] 159
50. 동백 아가씨 [Am] 160
51. 목포의 눈물 [Am] 161
52. 아빠의 청춘 [Am] 162
53. 타향살이 [Am] 163
54. 황성옛터 [Am] 164
55. 그 겨울의 찻집 [Am, C] 165
56. 그리운 사람끼리 [Am, C] 166
57. 대전 부르스 [Am, C ] 167
58. 돌아와요 부산항에 [Am, C] 168
59. 봄날은 간다 [Am, C] 169
60. 얼굴 [Am, C ] 170
61. 서울 탱고 [Am, C, C ], [C, C ] 171
책속에서
이 책은 국내 최초로 QR코드를 통해 하모니카 소리와 함께 영상악보를 제공합니다. 악보에 있는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예비박자와 함께 하모니카 연주 소리가 납니다. 스마트폰을 가로로 돌리면 악보가 크게 보이므로 악보 없는 야외에서도 연습이 가능합니다. 유튜브를 통해 제공되므로 컴퓨터에서도 연주할 수 있습니다. 하모니카 소리는 일반 악기에 비해 한 옥타브 높은 소리가 나므로 책의 악보와 비교하여 영상 악보에서는 한 옥타브 높게 음표를 올렸거나 옥타브 올림 표시줄(8……)이 나타납니다. 영상소리 악보가 제공되므로 QR코드 옆에, 그리고 차례에도 하모니카 키를 표시했습니다. [C, C# ]에서 C는 주멜로디 키, C#은 반음키입니다. 영상 악보는 일종의 반주기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먼저 본곡을 충실히 연습합니다. 전주, 간주, 오브리가토(obbligato 보조 선율)는 본인의 능력에 따라 선택하세요. 모두 연주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만 연주해도 됩니다. 그리하면 반음키 하모니카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상악보로 연습할 경우 속도를 약간 늦춰서 연습하면 좋습니다. 익숙해지면 정속도로 반복 연습하세요. 영상 악보에서 본곡은 검정색, 나머지는 청색 또는 붉은색 숫자보로 나옵니다. 첫 마디 위에 하모니카 Key를 표시했으나 없다면 C Key입니다.
41쪽에 있는 ‘리듬별 대중가요’에 나오는 예제곡은 유튜브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독자분께서 예제곡 mp3파일을 원하시면 저자에게 이메일로 요청하시면 보내드립니다. 또한 영상 악보에 오류가 있어 메일로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수정 후 다시 동일한 QR코드를 스캔하면 수정된 악보가 나옵니다.
이 책의 뒤에 있는 ‘QR코드 일람표’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 담아두면, 악보책 없이 야외에 나가서도 영상 악보로 하모니카 연주를 할 수 있습니다. 뒤에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했으며 영상으로도 소개했습니다.
왜 하모니카인가?
- 트레몰로(Tremolo 복음) 하모니카의 특징 9가지 -
1. 간결함을 유지하기 위해 반음을 버리다.
하모니카는 태생적으로 불완전한 악기입니다. 연주의 편의를 위해 과감하게 반음을 버린 겁니다. 이 반음을 버림으로 인해서 지금부터 이야기하는 하모니카만의 독특한 세계가 전개됩니다.
2. 계명으로 악기를 연주하다.(이동도법)
대부분의 악기들은 고정도법으로 연주를 하는데, 하모니카는 이동도법으로 연주를 합니다. 계명창만 할 줄 알면 악보를 보지 않고도 연주가 가능합니다. 이것이 이동도법의 장점입니다.
즉, 노래하듯이 연주합니다. 다른 악기들은 한 옥타브에 12개의 음이 있지만 하모니카는 7개 음만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모니카 연주가 그만큼 쉬워진 것입니다.
3. 키별로 악기가 존재한다.
반음을 버린 하모니카는 이동도법으로 갈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각 키별로 악기가 있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반음을 버린 하모니카의 대가를 치루게 됩니다. 즉 반음이 있는 노래를 연주할 때 하모니카를 2개 가지고 불어야 합니다. 이걸 극복하기 위해 크로매틱 하모니카가 나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반음을 찾아온 크로메틱 하모니카는 고정도법으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크로매틱은 트레몰로 하모니카 특유의 아름다운 선율(은쟁반에 옥구슬 구르듯 음정이 같은 두 음이 맥놀이 현상을 일으켜 트레몰로 소리를 내는 것)을 따라오지 못하고, 연주 또한 어렵습니다. 리드가 1개이기 때문입니다. 2개 하모니카를 들고 연주하는 과정을 잘 극복하면 다양한 노래들을 쉽게 연주할 수 있습니다.
6. 음악의 3요소
(1) 리듬(Rhythm): 음의 길이와 강약의 배열로, 음악의 시간적 흐름과 박자를 결정합니다. 리듬은 음악의 기본적인 틀을 형성하며, 곡의 움직임과 에너지를 부여합니다.
(2) 멜로디(Melody): 높고 낮은 음들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음악의 주된 선율을 형성합니다. 멜로디는 곡의 주제를 전달하며, 청중이 가장 쉽게 기억하고 따라 부를 수 있는 부분입니다.
(3) 하모니(Harmony): 동시에 울리는 두 개 이상의 음의 결합으로, 음악에 깊이와 풍부함을 더해줍니다. 하모니는 멜로디를 보완하고, 곡의 분위기와 감정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