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91192433479
· 쪽수 : 1153쪽
· 출판일 : 2023-05-1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11머리말
Chapter 1 시편 서두 ··········································P. 17
Chapter 2 시편 말씀 묵상 (1편) ·························· P. 37
Chapter 3 시편 말씀 묵상 (2편-13편) ·················· P.109
Chapter 4 시편 말씀 묵상 (14편-22편) ················ P.195
Chapter 5 시편 말씀 묵상 (23편-30편) ················ P.285
Chapter 6 시편 말씀 묵상 (32편-46편) ················ P.362
Chapter 7 시편 말씀 묵상 (64편-68편) ················ P.528
Chapter 8 시편 말씀 묵상 (69편-89편) ················ P.552
Chapter 9 시편 말씀 묵상 (90편-109편) ·············· P.645
Chapter10 시편 말씀 묵상 (110편-118편) ············· P.755
Chapter11 시편 말씀 묵상 (119편) ······················· P.795
Chapter12 시편 말씀 묵상 (120편-132편) ············· P.900
Chapter13 시편 말씀 묵상 (133편-139편) ············· P.984
Chapter14 시편 말씀 묵상 (140편-150편) ············· P.1049
Chapter15 시편 1-150편의 시작과 마무리 ············· P.1105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비바람 시편 묵상집⌟ 책 제목 앞에 ⌜아자브⌟(AJAB)는 시 22:1에 ‘아자브타니’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에서 나온 히브리 표현이다. 메시아는 나와 너, 우리와 저희를 구원하기 위해 아비로부터 버림을 받는 고난에 참여하신다. 동시에 시인은 버림받은 고난 넘어 시 22:21에 응답하시는(히, ‘아니타니’) 승리의 메시아를 만나는 환희를 보여주고 있다.
우수와 춘분 사이 겨울잠에서 깨어난 벌레의 경칩(驚蟄)을 지나고 있다. 떡갈나무에 붙어 있는 암컷 벌레가 알을 낳고 부화하면 몸 안의 진홍색 액체가 나무 주위를 덮는다.
고대 히브리인들은 이 벌레로 염료를 만들었다. 시인이 자신을 벌레라고 말한 중의적 표현은 벌레처럼 버림을 당하는 부정적인 의미 넘어 메시아의 ✞사역을 예표한다. 십자가에 달린 메시아는 마치 진홍색 벌레처럼 온몸이 붉은색으로 덮여있었다. 이 벌레가 죽지 않으면 인간을 위한 염료가 나올 수 없다.
이 벌레의 히브리 표현이 시 22:6에 ‘톨라아트’이다. 명사는 마지막에 ‘타브’(ת)를 붙여 여성형을 나타낸다. 자식을 위해 자신의 몸을 내어주는 어버이의 희생을 보여준다.
동시에 ‘타브’는 ✞형상화한 것이다. 메시아가 벌레처럼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림을 보여준다. 시인이 자신을 벌레라고 부른 것은 자신의 비천 넘어 우리 죄를 속량하신 ✞예수의 붉은색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성막의 휘장은 청자홍(靑紫紅)인데 홍은 진홍색 벌레 ‘톨라아트 샤니’(crimson worm)이다.
지구촌의 심령이 메말라가는 언어의 홍수 시대에 시냇가에 심은 생명 나무숲(Tree Forest)(시 1:3)을 신망애 자유인의 말씀과 함께 산책(散策)할 때, 겨울 끝의 봄, 고드름 끝에 불꽃, 밤 끝자락의 여명(黎明), 사망 끝의 생명, 소외 끝의 친밀성, 중병 끝에 강건, 빠른 기다림의 행복, 가난한 충만인, 자유의식의 저변확대를 통한 ✞날개 오르락내리락(요 1:51), 부활 생명(요 3:13), 경천애인(敬天愛人), 울림 깃든 삶, 은혜 위 은혜를 함께 맛보고 누리게 하옵소서!
주의 긍휼 가운데 울타리가 되어주신 모든 이웃, 함께 한 가족 처 윤혜자, 딸 정윤 Grace, 아들 윤범 Daniel 중보적 기도와 기쁨의 열매들 손녀와 손자(지나와 재이)에게 감사를 표현한다. Soli Deo Gloria, Coram Deo.
2023.3.6 (경칩 음력 2.15)
은우(恩U) 최성대 드림
◯ 시편의 다양한 주제
찬송시 :
① 일반적 찬양(29, 65, 67, 105, 135, 136, 150)
② 우주의 창조자로서 찬양(8편- 성탄절 때 사용, 주님은 6절에 다스리고, 책임을 감당한 인간으로 오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추수감사절 때 사용, 19, 104, 148)
③ 이스라엘의 보호자와 은혜를 주시는 자로서 찬양: 66, 100, 111, 114, 149편
④ 역사의 주인로서 찬양(33, 103, 113, 117, 145-147).
⑤ 시편의 다섯 권의 종결은 송영이다(41:4; 72:18-20의 확대된 영광송; 89:52; 106:4; 119:171)
탄식시 :
개인탄식시 : 3, 22, 31, 39, 42, 57, 71, 88<욥의 비애와 비탄의 시>, 120, 139, 142;
공동체 탄식시(12, 44, 80, 94, 137) 하나님의 얼굴을 가리시는 부재apousia로 인한 탄식시편(10:11; 13:2; 22:24; 27:9; 30:7; 44:24 등). 야훼를 한곳으로 모이는(창 1:9; 행 1:1) 소망 즉 바라다(카바), 기다리다(ㅋ하카)(25:3, 5, 21; 33:20; 37:9; 39:7; 40:1; 52:9; 69:9; 106:13 등). 하나님의 얼굴을 찾다(바카쉬)(삼하 21:1; 시 24:6; 27:8; 105:4/ 대상 16:11; 대하 7:14; 잠 29:26).
☞ 탄원obsecration 혹은 호칭기도(the Litany) : 사제, 성가대 등이 선창과 신자들이 응답하는 형태의 기도이다.
☞☞ 회중을 향한 찬양시(95) : 진정한 교제는 회중예배를 통해 나타난다. 영국 국교회 성도들이 주일 아침 회중 예배에서 자주 부르는 ‘베니테’(Venite)는 시 95편을 일컫는 말이다. 이 노래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 시편의 노래가 아니라 회중을 향한 노래이다(1절)
하나님의 사람들이 시편을 통해 서로 화답하는 모습, 주님을 찬양하도록 서로 권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 95:1과 연결되는 신약의 말씀은 엡 5:19이다. “시와 찬미와 신령神靈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며 너희의 마음으로 주主께 노래하며 찬송讚頌하며” 성령충만의 결과는 서로 화답하고 마음으로 노래하고 찬양하는 것이다. 여기 마음은 주님의 귀를 위한 것만 아니다. RSV는 너희의 마음을 “너희의 전심으로”(with all your heart) 번역한 것은 옳은 것이다. 마음은 노래하는 장소라기보다는 우리의 자세와 태도이다(존 스토트, 성령 세례와 충만, 김현희 옮김, IVP, p. 69).
간구시 : 16:1; 39:12; 41:4
참회시 : 일곱 편의 회개시(시 6, 32 <지혜 또는 감사시>, 38, 51, 102, 130, 143) 특별히 32, 51, 130, 143편의 네 편을 바울 시편Psalmi Paulini이라고 부른다. 회개-믿음-은혜-구원의 사상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시 7편은 통회Penitential 시편이다.
화장실
恩U
육체의 생리작용
시원한 배설
일반은혜여!
내면의 영리작용
유쾌-상쾌한 토설
특별은혜여!
살몸 설사하듯
영혼의 통쾌한 설사
성품구원의 은혜여!
주문과 마술의 기도
미신과 맹신의 기도
배설-설사하듯 토설하라
배설-설사의 꿈이여
토설하는 꿈이여
복된 비전의 신망애의 꿈이여
(시 32:3의 묵상).
감사시 : ☞ 6개의 공동체적 감사 65, 67, 75, 107, 124, 136; 10개의 개인감사 18, 30, 32, 34, 40, 66(고난 후 변화와 감격의 영광의 시), 92, 106, 118(마틴 루터가 좋아하는 시, 46편), 138)
지혜시 : 1. 32(마스길, 교훈), 36, 37, 39, 49, 73, 112, 127, 128, 133;
> 왜 악인이 번성하는가 욥기의 해설시(73) 예레미야의 첫째 신앙고백록(11:18-12:6) 역시 신정론을 다루고 있다.
교훈시 : 37, 19, 119(105절: “주의 말씀은 내 발에 등이요 내 길에 빛이니이다”) 시 119편을 세 권으로 강해한 탁월한 저술은 영국의 토마스 맨톤Thomas Manton, 1620-77이다. 그는 가장 탁월한 퓨리탄 설교자 중 한 분이었다. Psalm 119 Volume One, Two, Three (Great Britan: Banner of Truth, First Pub 1680, 1990). 시 1, 19, 119편은 실제적 기독교의 삶의 백과사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구속의 역사시 : 78, 105, 106, 135, 136편
신앙고백시 : 33:1; 107:2; 103:1-2, 20-22
신정적 애국시 : 33:12; 144:15; 44:4; 46:7; 108:8-9; 126; 128:5; 129:5
순례시: 120-134편
저주시 : 적어도 7편시가 포함된다. 35, 55, 59, 69, 79, 137, 109(그러나 4-5절에 레 19:17-18의 성결법전과 같은 복음 정신).
특히 시편 35, 69, 109편은 이런 요소가 강하다.
언약갱신 의식시 : 50, 81
다윗의 언약시(89, 132) :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도성』17권에서 시 89편에 많은 관심을 가짐.
만민 선교시(시편 중 가장 짧은 시 117-롬 15:11에 인용; 67, 96)
제왕시 : 1, 2, 18, 20, 21, 45(왕의 결혼을 위한 사랑의 노래/ 아가서의 해설시), 72, 89, 101, 110(3절 새벽이슬 같은 주의 청년들), 132, 144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