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244594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4-12-1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기술은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PART 1. 디지털로 다시 쓰는 자본주의
Chapter 1. 테크노베이션의 시작
테크노베이션이 일으킨 테크 혁신 | 국가 경제를 이끄는 디지털 산업의 성장 | 연결된 세계, 콘텐츠 시장의 미래
Chapter 2. 자산과 노동의 형태가 뒤바뀌고 있다
영역을 확장해 가는 디지털 자산시장 | 시장 확장에 따라 다양해지는 디지털 자산 | 노동자의 생김새가 달라진다
Chapter 3. 기업의 본질의 재해석
디지털 기술이 기업을 바꾸고 있다 | 하늘을 나는 SK텔레콤, 패션 커뮤니티에 빠진 네이버
Chapter 4. 디지털 혁신가, 테크 자본가의 등장
웹 3.0 시대를 연 비탈릭 부테린 | 디지털 시대의 필수재, AI 시대를 연 샘 올트먼
PART 2. 자본의 토지와 토양이 바뀐다
Chapter 1. 새로운 비즈니스 공간 메타버스의 등장
메타버스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일상에 침투하는 메타버스 | 닷컴버블의 반복인가? 버블로 출발한 메타버스 | 역경을 딛고 일어날 메타버스 산업 시장
Chapter 2. 애플이 메타버스 시장에 쏘아 올린 공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는 애플의 비전프로 | 애플의 혁신은 계속될 것인가?
Chapter 3. K-디지털 트윈 시대가 오고 있다
시뮬레이션 기술 발전으로 재탄생한 디지털 트윈 | 디지털 트윈 기술을 받아들이는 산업들
Chapter 4. 플랫폼 전쟁
빅테크의 넥스트, 구독 시대 | MAU 경쟁보다 중요한 충성 고객 잡기 | 커머스 플랫폼으로의 대전환 | AI를 만난 플랫폼, 검색 패러다임이 바뀐다
PART 3. 디지털 노동의 시대
Chapter 1. 현대인을 대체하기 시작한 AI
챗GPT 돌풍, AI 혁명의 시작 | AI보다 더 강력한 기술, AGI 기술 | 테크노밸리의 흥망성쇠 | IT 업계의 대대적인 체질 개선
Chapter 2. 새로운 형태의 노동자가 등장하다
로봇 없이 살 수 없는 대한민국 | 대세가 된 긱이코노미, 플랫폼 노동자의 등장
Chapter 3. 디지털 컨슈머
나의 침대를 지배한 숏폼 | 쿠팡보다 무서운 C-커머스의 등장 | K-아타리 쇼크로 인한 게임시장의 변화
PART 4. 디지털 자산이 일으킨 금융 혁명
Chapter 1. 새로운 바람, 디지털 자산 ETF
비트코인 현물 ETF 시대 | 이더리움 ETF의 시간
Chapter 2. 코인 시대의 몰락과 재탄생
코인 시장을 무너뜨린 사건들 | 루나-코인 사태가 일으킨 변화 | 금융의 시대로 넘어가는 티켓, CBDC | 가장 먼저 해야 할 제도적 안전망
Chapter 3. 여의도에서 테크노밸리로, 디지털 금융 시대
토큰증권과 RWA | 핀테크를 거부하는 디파이 혁명가들 | 카카오뱅크, 토스가 걸어온 혁신의 길 | 금융가 DAU 전쟁
에필로그 ― 디지털 시대 신기술이 바꿀 미래에 대비하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디지털 자산시장의 변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국제 금융 권력의 균형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서다. 이는 전통적인 금융 강국들의 영향력이 약화하고, 새로운 경제 강국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달러 중심의 국제 금융 시스템에 도전하고 있다. 미국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현물 ETF 상품 출시를 잇달아 허용한 것 역시 이러한 흐름과 같은 맥락으로, 이 과정에서 국가 간 권력 균형의 변화를 맞이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시장의 변동은 국가 단위로도 거대한 기회와 도전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트윈은 오래전부터 제조업에서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이라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단, 주로 공장을 운영하는 제조업에서 활용되었고 이후 정밀한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등장으로 디지털 트윈이라는 이름으로 개념이 확대되었다. CPS와 같은 기존의 시뮬레이션은 제품 수명 주기를 비롯한 설계 단계에서 향후 제품의 동작을 예측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디지털 트윈은 이미 사용하는 제품이나 시스템의 현재 동작에 대한 인사이트를 비즈니스 곳곳에 걸쳐 제공해 이전보다 진화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회계, 감사, 세무 등의 업무는 자격증이 필요한 전문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규칙과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 업무라는 특징상 AGI가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AGI는 규칙을 이해하고 대규모 데이터를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기에 회계사나 감사인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AGI는 의료 데이터 분석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기본적인 의료 진단과 처방 업무 또한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일상적인 진단을 수행하는 일반의나 간호사들의 역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법률 시장 또한 AGI가 차지할 가능성이 큰 곳이다. 예컨대 고객이 자신의 문제를 AI 변호사에게 설명하면 AI는 관련 판례와 법률을 검토하고 최적의 법률 전략을 제시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