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92845692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23-09-08
책 소개
목차
PART 01 지역사회복지의 기초
Chapter 01. 지역사회의 이해 / 11
1. 지역사회의 개념 / 11
2. 지역사회의 기능과 지역사회 역량 / 20
3. 지역사회의 유형과 관점 / 25
4. 지역사회의 변동 / 27
Chapter 02.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가치 / 31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 31
2. 지역사회복지의 핵심가치 / 41
Chapter 03.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 47
1.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48
2.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55
3.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63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이론 / 75
1. 기능주의이론과 갈등주의이론 / 76
2.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이론 / 79
3. 사회교환이론과 사회구성론 / 82
4. 권력(힘) 관련 이론 / 86
5. 사회적 자본이론과 사회연결망이론 / 89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 / 95
1. 로스만의 모델 / 95
2. 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 101
3. 웨일과 갬블의 모델 / 103
PART 02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전략
Chapter 06.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특성 / 115
1.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원칙 / 115
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대상 / 132
3. 지역사회복지 실천 과정 / 136
4. 사회복지사의 역할 / 142
Chapter 07.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기술Ⅰ- 실천토대 구축하기 / 165
1.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지향성 / 165
2. 지역사회 사정 / 175
3. 지역사회복지 실천 기획 / 185
4.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평가 / 196
5. 마을 만들기 통합 평가 사례 / 201
Chapter 08.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기술Ⅱ-지원체계 구축하기 / 211
1. 사회복지 조직간 네트워크 / 211
2. 지역사회 참여 및 동원 전략, 홍보 마케팅과 브랜드 / 227
Chapter 09.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기술 Ⅲ-주민 조직화 / 249
1. 주민 만나기 / 249
2. 주민 조직화 / 260
3. 자주적 권한을 위한 임파워먼트 / 271
4. 기타 다양한 지역사회복지 실천 기술들 / 283
PART 03 지역사회복지의 실제
Chapter 10. 지역사회복지의 체계와 추진기관 / 297
1. 지역사회보장의 개념 / 297
2. 지역사회보장의 체계 / 301
3. 지역사회복지와 민관협력 / 320
Chapter 11 지역사회복지관 / 325
1. 지역사회복지관의 이해 / 325
2. 설립배경 및 발달과정 / 329
3. 지역사회복지관 현황과 사업 / 333
4. 지역사회복지관의 발전방향 / 344
Chapter 1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349
1. 공동모금의 이해 / 349
2. 한국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361
Chapter 13. 대안적 지역사회복지 실천 / 369
1. 사회적 경제 :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자활기업, 마을기업 / 369
2. 프리랜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개인사무소 / 386
3. 국제개발협력조직 / 396
Chapter 14. 지역사회복지 운동의 이해 / 403
1. 지역사회복지 운동의 개념과 의의 / 403
2. 한국의 사회복지 운동 및 지역사회복지 유형 / 410
3. 지역사회복지 운동의 성장 과제 / 419
Chapter 15. 지역사회복지와 공동체 / 425
1. ‘차이’ 나는 요즘 것들의 공동체Ⅰ / 425
2. ‘차이’ 나는 요즘 것들의 공동체Ⅱ /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