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전환기, 한국의 미래를 만드는 세 가지 힘

대전환기, 한국의 미래를 만드는 세 가지 힘

(병렬파워, 코어심벌, 혁신생태계)

권광영 (지은이)
클라우드나인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9,500원 -10% 0원
2,750원
46,750원 >
49,500원 -10% 0원
0원
49,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0개 29,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8,500원 -10% 1920원 32,730원 >

책 이미지

대전환기, 한국의 미래를 만드는 세 가지 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전환기, 한국의 미래를 만드는 세 가지 힘 (병렬파워, 코어심벌, 혁신생태계)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2966632
· 쪽수 : 1152쪽
· 출판일 : 2024-03-21

책 소개

역사 속에서 대전환기를 맞았던 가장 가까운 과거는 근대 인식혁명이다. 이 책은 깊이 있는 통찰을 위해 지금 맞이하고 있는 ‘대전환기의 전사前史’로서 근대혁명을 되돌아볼 때라고 강조한다.

목차

시작하는 글 역사와 미래를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과 전체 안내도

1부 근대의 원점 인식혁명

1장 인식혁명의 역사
1. 왜 근대를 이해해야 하는가
2. 근대는 인식혁명의 결과다

2장 유럽의 인식혁명 4단계
1. 인식혁명에는 국경이 없다
2. 1단계 : 창조적 소수자가 출현하다
3. 2단계: 주체세력 형성으로 역치를 넘다
4. 3단계 : 공론장을 통해 확산되다
5. 4단계 : 임계질량에 도달하여 가속화 사회로 진입하다
6. 유대인 사회의 인식혁명 4단계
역전된 유대인과 아랍 | 멘델스존과 로스차일드

3장 근대 동서양 문명의 분기점
1. 영국의 산업혁명
2. 자본주의 체제 확립
3. 노동자 계급의 부상
4.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철도혁명
5. 근대 대학과 학문의 탄생
6. 근대 언론과 리얼리즘 문학
7. 구한말 조선의 근대화

2부 일본 제국을 만든 발명품

1장 부고: 대일본제국 시대 1868~1945년
1. 대일본 제국의 흥망
2. 근대 일본과 세계 질서

2장 이중의 근대화: 메이지 유신의 발명품
1. 발명품의 실체
2. 유신의 진정한 의미

3장 메이지 유신의 발명품 1 이와쿠라 사절단
1. 메이지 유신을 둘러싼 국내외 정세
2. 이와쿠라 사절단 정신
3. 부강한 나라를 위한 개혁의 본격화

4장 메이지 유신의 발명품 2 근대 천황제
1. 국가주의 일본의 코어심벌
2. 천황제 3종세트 ①: 국가신도
3. 천황제 3종세트 ②: 천황을 중점에 둔 제국헌법
4. 천황제 3종세트 ③: 천황제의 중추가 된 교육칙어

5장 메이지 유신의 발명품 3 야스쿠니 신사
1. 현대 일본 정치와 야스쿠니 신사
2. 군국주의의 도구가 되어버린 야스쿠니 신사의 내재적 한계

6장 일본의 뿌리깊은 열등감과 혐한의 뿌리
1. 일본의 미래를 결정할 3개의 퍼즐 조각
2. 일본의 고대사 콤플렉스
3. 기록문화유산으로 본 일본의 열등감과 혐한의 뿌리

3부 근대 문명의 필수요소

1장 동서양 석학들이 본 근대 필수요소
1. 필수요소란 무엇인가
2. 필수요소를 통해 도출한 3가지 영역

2장 필수요소 1 근대교육
1. 문명의 전환기 각국의 선택
2. 대학교의 발전과 보편화
3. 중등교육과 초등교육의 의무화
4. 구한말과 조선 엘리트들의 선택
5. 식민지 교육의 빈약한 성과
우민화교육과 코리아 스케치 | ‘일본의, 일본을 위한, 일본에 의한’ 조선근대화

3장 필수요소 2 언론・출판문화
1. H형 인프라란 무엇인가
2. 근대 문명을 만든 출판문화의 다양한 풍경들
3. 포르노그래피가 촉발시킨 새로운 공론장 독서혁명
혁명의 도구가 된 포르노그래피 | 요리하는 조선 사대부 서유구
4. 유럽의 승리는 출판문화업의 승리
출판문화와 정체성 | 독서의 황금시대를 연 일본
5. 자신의 날개를 스스로 묶은 조선의 출판문화
6. 유교 문명의 한계
지식을 독점한 사대부 | 복잡한 한자의 덫 그리고 문맹사회

4장 필수요소 3 신분해방
1. 신분제 사회 조선의 사회상
2. 봉건사회에서 신분제가 폐지된 근대사회로 전환

5장 필수요소 4 인프라스트럭처
1. 한강의 기적을 만든 일등공신
2. 근대도시 인프라 구축
3. 조선의 도로 인프라
4. 근대 문명의 트리거 철도혁명
5. 세상을 보는 새로운 방식
6. 철도와 을사늑약

6장 필수요소 5 재정의 근대화
1. 수포로 돌아간 고종의 꿈
청전폐지와 물가 상승 | 국가 재정의 고갈
2. 험난한 자강의 길
3. 마지막 개혁의 기회 갑오경장
4. 광무개혁과 식산흥업

7장 필수요소 6 군대의 근대화
1. 구한말 조선군 상황
2. 일본의 군제 개혁

8장 필수요소 7 근대 헌법 제정
1. 근대화의 마지막 퍼즐 헌법 제정
2. 근대 헌법 제정
3. 대한제국 헌법의 수준
4. 헌법의 진정한 의미와 한국사회를 위한 제언

4부 한국의 미래를 만드는 힘

1장 필수요소가 합쳐진 사회상
1. 필수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일본
2. 한국의 근대 혁명
3. 한·중·일 3국 관계와 근대화
4. 험난하지만 부국강병으로 가는 길

2장 미래를 만드는 힘 1 병렬파워
1. 병렬파워란 무엇인가
병렬파워의 사회인 근대 국가 | 새로운 언어가 가져온 새로운 사고혁명
2. 직렬파워로 작동되는 사회
3. 한국의 병렬파워

3장 미래를 만드는 힘 2 코어심벌
1. 국가의 목표와 지도자의 의무
2. 일본의 코어심벌
3. 중국의 코어심벌
4. 미국의 코어심벌
5. 한국의 코어심벌

4장 미래를 만드는 힘 3 혁신생태계 구축력
1. 새로운 시대의 도래
2. 한국만의 새로운 길
3. 사이클로 바라본 한국의 역사
4. 앞으로 다가올 인공지능 혁명
5. 공론장의 중요성
6. 지속가능한 한국 사회를 위한 혁신생태계 조성

마치며
미주

저자소개

권광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을 졸업했다. 삼성의 인재사관학교인 삼성인력개발원과 삼성생명에서 20년간 근무하며 삼성그룹의 교육과 SSP코치로 인재교육, 리더 코칭, 변화관리, 프로세스 혁신활동을 담당했다. 그 후 흥국생명, 위더스 제약에서 임원과 한국지식경영학회 이사를 역임했다. 또한 영국 KBIM에서 펀드매니저 과정을 수료했다. 1990년 「환경변화에 대응한 생보 포트폴리오 방향에 대한 고찰」로 보험감독원(현 금융감독원) 현상 논문에서 대상을 받았다. 조부가 독립운동가로 1944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한 집안 내력 때문에 일찍부터 일본과 한국의 역사 문제에 천착했다. ‘왜 일본은 메이지 유신에 성공했고 조선은 망했는가?’ ‘우리는 어떻게 일본을 극복하고 풍요로운 나라를 이룰 것인가?’와 같은 질문을 품고 살았다. 그리고 근대화 필수요소를 낱개로 분해하고 합쳐보고 서유럽과 비교하고 의식의 근저를 찾아가는 파이브 와이5 why를 통해서 일본의 실체를 분석했다. 이 책은 이렇게 일본과 한국의 정체성에 대해 치밀하고 집요하게 또 묻고 물은 결과 탄생했다. 주요 저서로는 리더십 분야에서 한 획을 그은 『톱 리더의 조건』과 장편소설 『신의 대리인, 메슈바』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은 40년 주기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전략적 대전환기가 40년마다 도래하는데 30년 전후에 구조적 도전systemic challenge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2024~2030년은 가장 위험하고 중요한 시기로 한국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지점에 도달해 있다. 지금이 여느 주기와 다른 것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위기가 한꺼번에 밀려왔기 때문이다.


서유럽은 자신들이 만들어온 중세의 생각과 사상의 구축물에서 ‘스스로’ 빠져나와 근대 세계를 향해 나아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갑각류가 성장하기 위해 허물을 벗듯이 생각과 사상의 구축물에서 ‘스스로’ 빠져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문명과 나라의 발전은 자기성찰을 통해 새로운 사고방식을 가진 곳에서 일어났다.


모든 국가의 개혁은 계승維과 개조新 과정에서 대중과 반대파마저 인정하는 명분과 핵심적 가치체계를 재구축해야 한다. 권위가 있는 중심이 확고하면 저항을 줄이면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메이지 유신의 주역들은 국가통합과 국민통합의 방식을 고대 일본의 천황제에서 형식을 가져와 새롭게 채워 넣었다. ‘복고’와 ‘혁신’이라는 모순되는 두 요소로 새로운 일본을 만드는 축이자 통합의 상징으로 천황을 전면에 내세웠다. 근대화를 위해 문명개화와 식산흥업殖産興業을 추진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일본주의의 축으로 근대 천황제를 형성하고 강화한 것이다. 이름하여 이중의 근대화라고 할 수 있다. 서구화로 일본의 모든 것을 대체한 게 아니라 천황제를 강화하면서 그 위에 서구화를 쌓는 복층적 구축물로서 메이지 유신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이미 설명했듯이 유維가 먼저 놓이고 그 뒤에 신新이 놓였다. 일본인의 심층 속에 흐르는 ‘토착적 세계관의 집요한 지속’과 ‘중층重層적인 문화’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2966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