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STATA로 배우는 경제경영통계학

STATA로 배우는 경제경영통계학

우석진, 빈기범 (지은이)
지필미디어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STATA로 배우는 경제경영통계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STATA로 배우는 경제경영통계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통계
· ISBN : 9791193187289
· 쪽수 : 450쪽
· 출판일 : 2024-02-28

책 소개

본고는 확률.통계학 이론에 치중하지 않는다. 통계학적 내용에 Stata를 강력하게 결합해 놓았다. 국내 통계학 및 계량경제학 교과서 중 이러한 시도는 최초라고 자부한다. 모든 문제를 Stata 기반으로 설명하고 독자가 Stata를 쓸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목차

01 서론
02 확률변수 및 확률분포
03 경제 분석에서 자주 나오는 분포
04 대수의 법칙과 중심극한정리
05 확률변수의 기대값
06 다변량(다변수) 분포
07 표본, 표본추출 및 표본분포
08 추정
09 구간추정과 가설검정
10 Stata에서 자료 관리
11 단순회귀분석
12 단순회귀분석에서의 추론
13 다중회귀분석
14 다중회귀모형의 응용
15 회귀분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
16 이분산과 계열상관
17 패널자료분석

저자소개

우석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경제학 박사 명지대 응용데이터사이언스 주임교수 명지대 빅데이터연구소 소장 중요한 경제문제연구소 소장 한국재정학회 이사 미국 매릴랜드 대학교 방문교수 한국조세연구원 전문연구위원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으며, Stata를 사용하며 사용 방식을 설명한다. 제2장은 확률변수 와 확률분포이다. 이 장에서는 확률변수와 그 분포를 보다 실무적 관점에서 다룬다. 제3장은 실제 경제 문제 분석에서 자주 나오는 확률분포를 다룬다. 경제통계학과 계량경제 학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확률분포가 여기서 다루어질 것이다. 제4장에서는 확률 ? 통계학의 어디서나 등장하는 대수의 법칙과 중심극한정리를 다룬다. 이를 수식이 아니라 실제 독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제5장은 확률변수의 기대치를 논의한다. 이 계산을 머리와 손으로 하는 것에만 익숙한데, 계산하기 어렵거나 복잡한 기대치는 난수 생성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할 수 있다. 제6장에서는 다변량 분포를 다룬다. 2개 변수 즉 이변량 분포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제7장은 표본, 표본 통계량 및 통계량의 표본분포에 관하여 설명한다. 통계적 추론을 위해 꼭 이해할 필요가 있는 내용이며, 이 역시 수식 보다는 그 핵심 내용이 눈에 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제8장은 추정이고 제9장은 검정이다. 이 두 가지 추정과 검정은 통계적 추론의 모든 것이면서 서로 동전의 양면이기도 한다. 모집단에서 얻어진 표본에서 모집단을 대상으로 추정하고 검정하는 과정이다. 추정과 검정은 여기서 갑자기 나오는 게 아니라, 이미 제2장, 제4장, 제5장, 제7장에서도 등장한다. 추정과 검정을 제8장과 제9장에서 정리하면서 보다 정확히 공부한다. 후반부로 가자. 제10장은 Stata에서 자료의 관리(data management)에 관한 방법을설명한다. 우리가 현실에서 얻는 데이터는 정리되지 않은 매우 지저분한 형태이다. 이를 Stata에서 잘 정리하고 Stata에게 정리된 데이터를 잘 인식시켜야 이후 여러 가지 Stata에 의한 분석이 가능하다. 제11장과 제12장은 변수 Y와 변수 X 간 관계를 분석하는 여러 가지 방식 중 하나인 회귀분석을 공부한다. 설명변수로 변수 X만 있으므로 단순회귀분석이 다. 이를 단순선형회귀분석, 단순선형회귀모형 등으로도 부르는데, 이를 잘 알아야 이후 (다)중회귀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통계적, 계량경제학적 분석을 잘 할 수 있다. Stata로 모형을 추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을 논의한다. 제13장은 다중회귀분석이다. 마찬가지로 이를 다중회귀모형, 다중선형회귀분석, 다중선형회귀모형 등으로도 부르는데, 통상적으로 는 중회귀분석 또는 중회귀모형 등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종속변수 Y는 1개, 설명변수는 X1, X2, ..., Xk로 여러 개 있는 경우의 선형회귀모형이다. 제14장에서는 중회귀분 석의 틀 내에서 다소 특수한 형태를 갖는 설명변수를 다룬다. 설명변수가 0 또는 1의 이진 값을 갖는 더미 변수인 경우, 두 가지 설명변수가 곱해지는 상호작용항, 설명변수가 소위 범주형 자료인 경우, 보다 일반화된 검정 등을 다루며, 실험연구와 관측연구의 차이를 설명한다. 변수 간 인과관계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차이를 잘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논의한다. 아마 상관관계와 인과관계가 다르다는 얘기는 알고 있지만, 그래서 인과관계는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제15장은 회귀분석을 하면 알고 있어야 할 제반의 문제들을 논의한다. 짧은 회귀(short regression)와 긴 회귀(long regression) 를 알아야 한다. 비선형 데이터와 비선형 회귀를 논의한다. 이 장에서는 인과관계 추론을 위한 도구변수 추정법도 중요하게 논의한다. 제16장은 이분산과 계열상관인데, 선형회귀모형에 대한 가장 간단한 표준적인 가정을 벗어날 때 우선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이분산과 계열상관이다. 후자는 시계열 자료에서 특히 필요한 개념이다. 제17장은 이항 선택 모형이다. 흔히 로짓 모형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속변수 Y가 0 또는 1의 이진 값을 갖더라도 우리가 잘 아는 선형회귀분석을 해도 된다. 이 때 필요한 개념이 선형확률모형이다. 제18장은 패널데이터 및 패널데이터모형을 다룬다. 패널데이터는 매우 많은 정보량을 가진 데이터이다. 그 기본적인 응용 방식이 선형모형에 대한 고정효과 추정과 임의효과 추정이다. 이 책의 모든 Stata는 18.0 버전을 기반으로 하지만 그 이전 버전을 갖고 해도 좋다. Stata가 결과로 내보내는 그림의 품질은 18.0 버전이 매우 좋다. 모쪼록 이 책을 잘 공부하여, 통계학, 경제통계학 및 계량경제학을 실용적 관점에서 이해하면서 이를 이용한 실증 분석을 잘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데이터 사이언스까 지 공부하고자 하는 독자는 이 책이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