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단일 이벤트 효과와 반도체 소프트 오류의 평가

단일 이벤트 효과와 반도체 소프트 오류의 평가

정성수, 기중식, 신훈규, 이남석 (지은이)
다윈의서재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5,000원 -0% 0원
0원
5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5,000원 -10% 2250원 38,250원 >

책 이미지

단일 이벤트 효과와 반도체 소프트 오류의 평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단일 이벤트 효과와 반도체 소프트 오류의 평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전기전자공학 > 반도체공학
· ISBN : 9791193200292
· 쪽수 : 239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소프트 오류(Soft Error)의 발생 원인부터 방사선 환경, 반도체와 입자의 상호작용, 평가 및 분석 방법, 그리고 국제 표준에 따른 최신 시험 기법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국내 최초의 전문 교재다.

목차

CONTENTS
그림 · 14
표 · 16
공식 · 17
이 책의 개요 · 19
이 책의 구성 · 21
제1장. 방사선의 유래와 방사선이 반도체에 미치는 영향
1. 단원 개관 · 27
2. 소프트 오류는 무엇인가? · 28
a. 소프트 오류란? · 28
b. 오류와 소프트 오류 · 28
c. 소프트 오류의 원인 · 29
d. 소프트 오류와 관련된 용어들 · 30
e. 방사선 입자에 의한 고정 오류 · 30
3. 방사선 입자와 단일 이벤트 효과 · 31
a. 대기 중성자와 단일 이벤트 효과 · 31
b. 우주 방사선 · 32
c. 은하계 우주선 · 33
d. 우주 및 대기 방사선 환경 · 33
e. 태양 에너지 입자 · 34
f. 지구의 자기장과 방사선대의 관계 · 37
g. 밴 앨런대 · 38
h. 남대서양 이상 현상 · 39
4. 대기 중성자의 생성 · 41
a. 양성자 캐스터이드와 중성자 생성 · 41
b. 습도 및 건물에 의한 영향 · 45
c. 대기 중성자의 선속 변화 · 45
5. 대단원 정리 · 46
6. 대단원 평가 · 49
제2장. 대기 중성자에 의한 소프트 오류
1. 단원 개관 · 53
2. 소프트 오류의 역사 · 53
a. 용어 등장 및 사용 · 53
b. 소프트 오류와 단일 이벤트 효과 · 54
3. 단일 이벤트 효과와 업셋의 발생 · 55
a. 양자 역학의 발전과 입자의 발견 · 55
b. 원자의 구조와 입자의 종류 · 56
c. 반도체 소자에 이르는 우주선 입자의 여정 · 59
d. 입자들에 의한 반도체 소자들의 반응 · 60
e. 고에너지 중성자의 반응 · 62
f. 이온화 현상 · 63
4. 단일 이벤트 효과의 유형과 정의 · 63
a. 이온화 현상에 의한 소프트 오류 · 63
b. 단일 이벤트 효과의 종류 · 64
c. 단일 사건 효과의 오류별 체계도 · 70
d. 이온화에 의한 영향: 점진적 효과 · 71
e. 단일 이벤트 효과의 반응별 분류 체계도(Taxonomy) · 72
f. 본질적 결함 및 외부적 결함과 신뢰성 · 73
5. 소프트 오류에 의한 참사 · 75
a. 에어버스 A330-303(콴타스 72편) 사고 · 75
b. 자동차 급발진 · 76
6. 반도체 미세화와 소프트 오류 · 78
a. 반도체 미세화 효과 · 78
b. 항공 및 우주 비행선 산업의 성장 · 78
c. 기능 안전과 4차 산업혁명 · 78
7. 대단원 정리 · 79
8. 대단원 평가 · 81
제3장. 반도체와 방사선 입자의 반응
1. 단원 개관 · 85
2. 입자와 물질의 반응 · 85
a. 방사선 물질의 상호 작용 · 85
b. 에너지 단면(Cross-Section) · 86
c. 단일 이벤트 업셋과 소프트 오류 단면 · 87
d. 소프트 오류율 · 88
3. 이온과 이온화 에너지 전이 · 89
a. 이온과 이온화 현상 · 89
b. 선형 에너지 전이 · 90
c. 하전된 입자의 에너지 전이 · 91
d. 반도체 소자의 밴드갭 · 92
e. 반도체 소자의 전자-정공 쌍 생성 및 재결합 · 93
f. 선형 에너지 전이의 입자에 따른 특성 · 94
g. 에너지 전이와 전하 캐리어의 수집 과정 · 95
h. 탄력성 반응과 비탄력성 반응 · 98
4. 하전 입자 이온화와 입자 비정의 물리적 기초 · 99
a. 하전 입자의 물질과의 반응 · 99
b. 에너지 전이 메커니즘의 해석 · 100
c. 중하전 입자의 에너지 전이 · 102
d. 선형 에너지 전이를 이용한 소프트 오류율 시뮬레이션 · 102
e. 방사선에 의한 반도체의 다양한 현상들 · 104
5. 방사선 입자의 특성 · 106
a. 하전 입자의 종류와 특성 · 106
b. 중성자의 특성 · 107
c. 중성자와 원자핵과의 반응 · 109
d. 광자의 특성 · 110
e. 방사선 에너지 전이의 비교 · 111
f. 산란에 의한 에너지 전이의 특성 · 113
g. 총 이온화 선량 효과의 에너지 전이 특성 · 113
h. 입자와 에너지 전이의 비교 · 114
i. 선형 에너지 전이와 총 이온화 선량 효과의 비교 · 115
j. 감마선과 총 이온화 선량 효과 유무 관계도 · 116
k. 입자와 가속 평가를 위한 에너지 대역 · 116
l. 각 이온별 평가 결과의 호환성 · 117
6. 단일 이벤트 업셋과 반도체 소자 · 118
7. 대단원 정리 · 120
8. 대단원 평가 · 121
제4장. 소프트 오류의 평가 방법
1. 단원 개관 · 127
2. 반도체와 단일 이벤트 효과 · 128
a. 고정 오류와 소프트 오류의 차이 · 128
b. 총 이온화 선량 효과 · 129
c. 소자 유형별 단일 이벤트 효과와 영향 · 129
3. 소프트 오류 평가의 목적 · 130
a. 실제 운용 환경의 모사 · 130
b. 소프트 오류 평가와 오류율 · 133
c. 평균 고장 시 간격 예측 · 134
d. 가속 평가를 위한 가속기의 기원 · 135
e. 소프트 오류 경화 및 내성 기술 개발 · 136
f. 오류 검출 및 수정 기술 개발 · 138
4. 단일 이벤트 업셋 평가 방법 · 139
a. 가속 평가 정확도의 필요성 · 139
b. 가속 평가의 방법 · 140
c. 실시간 소프트 오류 평가 · 141
5. 대기 방사선 평가 항목 · 142
a. 가속 중성자 평가 · 142
b. 가속 열 중성자 평가 · 142
c. 가속 알파 입자 평가 · 143
6. 우주 방사선 평가 항목 · 144
a. 양성자 및 중이온 가속 평가 · 144
b. 감마선 총 이온화 선량 효과 평가 · 145
7. 대단원 정리 · 146
8. 대단원 평가 · 148
제5장. 평가 장비와 평가 자료 분석
1. 단원 개관 · 153
2. 범용 방사선 가속 평가 장비의 특성 · 154
a. 평가 하드웨어 · 154
b. 시스템 운용 소프트웨어 · 156
c. 평가 알고리즘 · 159
d. 메모리 평가 알고리즘 · 159
e. 평가 운용 프로그램 · 162
f. 평가 알고리즘과 운용 프로그램의 조합 · 163
g. 표준 시료와 선량계 · 165
h. 정확성, 정밀성 그리고 재현성 · 166
i. 선량과 선속 · 168
3. 소프트 오류 단면과 소프트 오류율 · 168
a. 결함과 오류와 고장의 관계 · 168
b. 소프트 오류율 · 170
4. 평가 자료 분석 · 171
a. 소프트 오류 단면 및 평가 자료 분석 · 171
b. 전압, 온도, 롯트별 의존도 · 173
c. 빔의 시간별, 위치별 비균일성 · 173
d. 단일 및 다수 오류 · 174
e. 오류 선량 및 오류 시간 분석 · 174
f. 평가 자료 분석 · 175
g. SEFI, SEL, SEBO 그리고 SEGR의 분석 · 176
h. 신뢰 수준 분석 · 177
5. 소프트 오류와 반도체 기능과의 관계와 추세 · 178
a. 추세의 상관 관계 · 178
b. 회로 유형에 대한 SEE의 적용 가능성 · 179
6. 대단원 정리 · 180
7. 대단원 평가 · 181
제6장. 평가와 분석의 모범 사례
1. 단원 개관 · 185
2. 평가와 분석의 모범 사례 · 185
a. 빔 종류와 빔 설비 간 보정 · 186
b. 빔 프로파일 보정 · 188
c. 선량 분포와 평가 거리의 보정 · 189
d. 표준 시료를 이용한 선량 보정 · 190
e. 오류 개수와 단일 이벤트 개수의 분류 · 190
f. 활성 시간과 비활성 시간의 계산 · 192
g. 단위 면적과 소자 면적에 따른 보정 · 192
h. 이벤트 발생 시간, 이벤트 간 시간 그리고 이벤트 위치의 분석 · 194
3. 대단원 정리 · 197
4. 대단원 평가 · 198
단원별 요약 · 201
1. 제1장: 단일 이벤트 효과와 소프트 오류의 평가 · 202
2. 제2장: 대기 중성자에 의한 소프트 오류 · 204
3. 제3장: 반도체와 방사선 입자의 반응 · 206
4. 제4장: 소프트 오류의 평가 방법 · 208
5. 제5장: 평가 장비와 평가 자료 분석 · 210
6. 제6장: 평가와 분석의 모범 사례 · 212
대단원 평가 정답 및 해설 · 215
1. 단일 이벤트 효과와 소프트 오류의 평가 · 216
2. 대기 중성자에 의한 소프트 오류 · 218
3. 반도체와 방사선 입자의 반응 · 220
4. 소프트 오류의 평가 방법 · 222
5. 평가 장비와 평가 자료 분석 · 224
6. 평가와 분석의 모범 사례 · 226
자료 출처 · 230
A. 참고 서적 · 230
B. 웹사이트 · 230
1. 소프트 오류 관련 위키 · 230
2. 우주 기상(Space Weather) · 230
3. NASA Electronic Parts and Packaging Program - 홈페이지 · 231
4. NASA Electronic Parts and Packaging Program - 자료실 · 231
5. EAS The European Space Agency - 홈페이지 · 231
C. 단일 이벤트 현상에 대한 학회 및 컨퍼런스 · 231
1. ASSIC - Advanced Semiconductor Safety Innovation Conference · 231
2. IEEE Nuclear & Space Radiation Effects Conference · 231
3. The RADiation and its Effects on Components and Systems Conference
(RADECS) · 231
4. IEEE - IRPS - International Reliability Physics Symposium · 231
D. 평가 표준 · 231
1. JEDEC 표준 · 231
2. AEC 표준 · 232
3. 미국 표준 · 232
4. 유럽 연방 표준 · 232
색인 · 233

저자소개

정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플로리다 공대에서 테스트 용이화 설계(DFT)를 전공한 후, 단일 이벤트 효과(SEE) 분야에서 25년여 동안 소프트오류 가속 평가, 자료 분석과 완화 기술 개발에 참여하였다. 제1차 해외인재 유치사업을 통해 한양대학교 연구교수로 국내 복귀하여 현재는 큐알티(주) CTO로 근무하면서 SEE 평가 시스템 개발을 주도하고 JEDEC 표준 멤버와 ASSIC 컨퍼런스를 통한 기술 저변 확대 및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 Apple Computer - Cisco Systems, Director - SynTest Technology, VP - Eigenix Inc. CEO -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 큐알티 주식회사 CTO
펼치기
기중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석사·박사 - SK하이닉스(주) DRAM 개발사업·설계사업부 본부장 - SK경영경제연구소 전자산업연구실장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교수 - 큐알티 주식회사 전문연구위원(現)
펼치기
신훈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동아대학교 전기재료및물성전공 공학박사 - 포스텍 나노융합기술원·반도체공학과 교수 - 포스텍 나노융합기술원·나노융합연구소장(現) - 포스텍-프라운호퍼IISB실용화연구센터장(現) - ISO TC 201 SC9 Secretary(現) - (주) 네이처플라워세미컨덕터 대표이사(現)
펼치기
이남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동아대학교 센서 및 재료공학전공 공학박사 - 한양대학교 화학과 연구교수 - 포항공과대학교 나노융합기술원 연구교수(現) - 나노하이브리드소재연구센터장(現)
펼치기

책속에서

"반도체의 신뢰성 중 단일 이벤트 효과에 의한 분석은 가장 어려운 분야이다.
그러나 더 나은 평가와 분석 기술은 단일 이벤트 효과를 줄이고 더 나아가 극복하는 기반이 된다."


"고에너지 중성자의 선속은 비행기의 순항 고도에서 최고점에 이르며, 이는 항공 전자 기기에 심각한 위협을 미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20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