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93217641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24-07-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움직임의 구성 요소: 구조, 적응, 예측, 맥락
CHAPTER 1. 구조
불안정성에서 안정성으로
안정성의 핵심: 직립과 축
몸의 구조에 대한 이해: 거북목과 견흉관절
스트레칭에 대한 오해: 자가억제와 상호억제
개인 맞춤 운동 접근법: 체형과 구조
움직임과 구조
CHAPTER 2. 적응
적응을 위한 몸의 조절 방식
움직임의 최소 단위: 감각 정보
풍부한 감각의 조화: 균형 감각
적응의 양면성
개인 맞춤 운동 접근법: 감각과 인지
고립 운동의 원칙
움직임과 적응
CHAPTER 3. 예측
최적의 움직임을 만드는 5단계
예측의 도구: 범주화와 개념화
예측 없이 움직임도 없다
잘못된 예측이 미치는 영향
개인 맞춤 운동 접근법: 패턴
움직임과 예측
CHAPTER 4. 맥락
반복 없는 반복: 동일한 목표, 다른 움직임
맥락을 통한 운동 학습: 내재적 초점과 외재적 초점
좋은 움직임이란 무엇인가?
개인 맞춤 운동 접근법: 맥락
움직임과 맥락
에필로그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누워 있는 아기를 유심히 관찰해 보면 처음으로 뒤집고 기어다니기 시작할 때 가장 말단에 있는 팔과 다리를 먼저 움직이기보다는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입과 시선을 먼저 이동시킨 뒤 머리 방향으로 체간을 밀어내면서 나머지 팔과 다리가 따라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우리가 체간을 먼저 사용하는 이유는 앞으로 밀고 나가는 힘을 통해 우리의 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안정성의 핵심: 직립과 축」 중에서
거북목 자세는 흔히 목이 굽는 것으로만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몸의 중심보다 머리가 앞에 있다 보니 머리의 무게를 오로지 목과 등 근육으로 버텨야 하는 상황이다. 이 근육들이 버티지 못하면 견흉관절의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흉추의 굴곡이 생기고 날개뼈가 앞으로 말려 나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즉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목뿐만 아니라 연결된 주변 구조들까지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이다.
--- 「몸의 구조에 대한 이해: 거북목과 견흉관절」 중에서
인간의 적응 능력에는 양면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한 패턴과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 통증과 부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의 신체가 부정적인 상황에 적응하지 않도록 일상생활에서부터 가볍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변화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 「적응의 양면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