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5년 국내외 자율주행차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2025년 국내외 자율주행차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한국형 레벨4+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씨에치오 얼라이언스 편집부 (지은이)
씨에치오얼라이언스(CHO Alliance)
46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37,000원 -5% 0원
13,800원
423,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83,3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5년 국내외 자율주행차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5년 국내외 자율주행차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한국형 레벨4+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기계공학 > 자동차공학
· ISBN : 9791193250150
· 쪽수 : 646쪽
· 출판일 : 2024-09-02

책 소개

자율주행은 향후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국내외 자율주행차 기술의 최신 동향부터 주요국 및 주요기업의 자율주행 분야 사업전략에 대한 동향을 조사·분석 하였으며,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국내외 정책 및 선도기업의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목차

Ⅰ. 자율주행차 및 자율주행 분야 기술 동향

1. 자율주행차 및 자율주행 기반기술 동향
1-1. 자율주행차 및 ADAS 기술 개요
1) 자율주행차의 정의와 자율주행 레벨
2) 자율주행차 기술 구성과 동향
(1) 자율주행차의 구조와 기능
(2) 자율주행차 주요 기술 동향
3)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시스템 개요
(1) ADAS 개념과 분류
(2) ADAS 특허출원 동향
(3) ADAS 센서 산업 동향
1-2.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
1)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1) 메타버스 기반 자율주행 가상시험환경 구축 및 실증기술 개발
(2) 자율주행 개발·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관련 표준
2) 자율주행 원격지원
(1) 클라우드 기반 자율주행 차량 오류 및 한계 상황 지능형 원격지원 기술개발
(2) 표준동향 자율주행 시스템의 원격제어·지원 관련 표준화 동향
3) 자율주행 데이터
(1) 자율주행 데이터품질 표준 시장 및 동향
(2) 자율주행 데이터 표준화 동향

2. 자율주행차 요소기술별 기술 동향
2-1. 자율주행차 위치 추정
1) 위성항법시스템(GNSS) 기반 위치 추정 기술
(1) 위성항법시스템(GNSS) 기술 개요
(2) 위성 기반 오차보정 시스템
(3) 국내 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현황
(4) KASS 기반 안전 지도 구축 방안
2) 정밀도로지도 기술 개요
(1) 정밀도로지도의 정의와 필요성
(2) 정밀도로지도의 구축 과정
(3) 정밀도로지도의 레이어 구성
(4) LDM(Local Dynamic Map)의 개념과 특징
3) 정밀도로지도 기술 동향
(1) 정밀도로지도 최신화 기술
(2) 정밀도로지도 자동생성 기술
(3) 정밀도로지도 기술 이슈
2-2. 차량 내·외부 인지 및 탐지
1) 자율주행차 인지 및 탐지 기술 개요
(1) 자율주행차 인지 및 탐지를 위한 센서 기술
(2) 카메라를 통한 객체 인식
(3) LiDAR와 카메라 데이터 융합
(4) 자율주행차 데이터셋과 표준화
(5) 자율주행 시나리오 표준화
2) 자율주행차 인지 및 탐지 요소기술 동향
(1) 카메라 및 이미지센서
(2) 라이다(LiDAR)
(3) 레이다(Radar)
3) 자율주행차 인지 및 탐지 기술 동향
(1) 자율주행차 인지기술 연구 동향
(2) 자율주행차 인지고도화 기술 동향
(3) 자율주행차 카메라 및 라이다 특허 동향
2-3. 주행 예측 및 경로 계획
1) 주행 예측 및 경로 계획과 자율주행 알고리즘
(1) 주행 예측 및 경로 계획 기술 개요
(2) 자율주행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술
(3) 국내 자율주행 인공지능 특허 동향
2) 트래픽 예측
(1) 분류를 이용한 동작 예측
(2) 자동차 궤적 생성
3) 경로 계획(routing)
(1) 가중치 방향성 그래프
(2)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3) A* 알고리즘
(4) D* 알고리즘
(5) RRT(Rapidly-Exploring Random Trees) 알고리즘
(6) 유전 알고리즘
(7) 개미 집단 알고리즘
(8) 경로 계획 그래프 비용
2-4. 동작결정 및 제어
1) 동작 결정
(1) 마르코프 결정 과정
(2) 가치반복(Value Iteration) 알고리즘
(3) 부분적으로 관측가능한 MDP(Markov Decision Process)
2) 모션 계획(Motion Planning)
(1) 그래프 검색 기반 기법
(2) 샘플링 기반 기법들
(3) 보간 곡선 기반 기법들
(4) 수치 최적화 기반 기술들
3) 피드백 제어
(1) 직접 하드웨어 작동 제어 기법
(2) PID 제어
(3) 모델 예측 제어(Model Predictive Control)
(4) 경로 추적 기법
4) 자율주행 기록장치
(1) 차량용 기록장치 현황 및 이슈
(2) 사고기록장치 및 자율주행 기록장치 기술 동향
(3) 자율주행 기록장치 데이터 추출 및 분석 시스템 기술 동향
(4) 자율주행 기록장치 표준 동향
2-5. V2X 통신 및 C-ITS
1) V2X 및 커넥티드카
(1) V2X 기술 정의와 구분
(2) 주요국 V2X 개발 및 보급 전략
(3) 주요국 V2X 특허 출원 동향
(4) V2X 기반 응용 서비스 개발 동향
(5) 커넥티드카 특허출원 동향
(6) 커넥티드카 차량 통신 표준
2) C-ITS
(1) C-ITS 기술 개념과 특징
(2) C-ITS 구성요소 및 기술요소
(3) C-ITS 활용 서비스
(4) 주요국 C-ITS 기술 및 정책 동향

Ⅱ. 주요국 자율주행차 산업 현황 및 전망

1. 자율주행차 및 관련 분야 산업 동향
1-1. 글로벌 자동차 산업 동향
1) 글로벌 자동차 산업 현황 및 2024년 전망
2) 2024년 주요국 자동차 소비자 선호 분석
(1) 차량전동화
(2) 미래 차량 구매의향
(3) 커넥티비티
(4) 차량 구독 서비스
1-2.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및 주요 이슈
1) 글로벌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1) 글로벌 자율주행차 산업 발전 동향
(2) 글로벌 자율주행차 국가별 동향
(3)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 전망
2) 글로벌 자율주행차 산업 유망 분야 전망
(1) 글로벌 자율주행차 유망 기술 전망
(2) 글로벌 자율주행차 유망 시장 전망
3) 자율주행 시대 차량 데이터 및 보안 기술의 부상
(1) 스마트카 시대 차량 데이터 분야 이슈
(2) 주요국 차량데이터 분야 정책 동향
(3) 커넥티드카 보안 기술 동향

2. 국가별 자율주행 시장 및 정책 동향
2-1. 미국
1) 미-중 자율주행차 분야 무역분쟁 현황
(1) 커넥티드카 부품 수입 규제
(2) LiDAR 기술 수출 통제
2) 미국 자율주행차 소비자 인식 현황
3) 미국 교통부 자율주행 지침 동향
(1) Automated Driving Systems 2.0
(2) Automated Vehicles 3.0
(3) Automated Vehicles 4.0
(4) 미국 자율주행차 종합계획
4) 뉴욕 자율주행 차량 테스트 프로그램 개시
5) 자율주행을 위한 자동차 안전기준 개정
6)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위한 제도 개선
7) 차량데이터 관련 법제 동향
8) 자율주행차와 개인정보보호법
2-2. EU 및 영국
1) EU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1) EU 차량데이터 공유 관련 법 동향
(2) EU 자율주행 차량 영식 승인 기준 수립
2) 독일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1) 독일 자율주행차 상용화 주친 동향
(2) 독일 자율주행차 관련 정책 동향
(3) 독일-중국 데이터 전송 논의 합의
3) 폴란드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1) 폴란드 자율주행차 시장 환경
(2) 폴란드 자율주행차 시장 전망
(3) 폴란드 자율주행차 주요 정책
(4) 폴란드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현황
4) 영국 자율주행차법 제정
2-3. 중국
1) 중국 자율주행차 시장 동향
(1) 중국 자율주행차 시장 현황
(2) 중국 도심 NOA(Navigate on Autopilot) 시장 현황
2) 중국 자율주행차 정책 정책
(1) 중국 자율주행차 정책 동향
(2) 스마트 커넥티드카 관련 주요 정책
(3) 차량 데이터 보안 관리 정책
2-4. 일본
1) 일본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1) 일본 자율주행차 상용화 동향
(2) 일본 경제산업성, 2030년 SDV 1,200만 대 판매 목표
2) 일본 자율주행차 정책 동향
(1) 일본 자율주행차 관련 입법 동향
(2) 자율주행의 윤리·법률·사회적 이슈 검토
(3) 자율주행차와 지방창생전략
2-5. 한국
1) 제3차 자동차정책 기본계획
2) 국내 자율주행 시범운행 동향
(1)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운영성과
(2) 무인 자율주행차 일반도로 임시운행허가
(3)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신속허가제
(4) 서울시 심야 자율주행 택시 운행
3) 2024년도 자동차 분야 신규지원 연구개발과제
(1) 사업개요
(2) 지원대상
4) 자율주행차 표준화 추진 전략
(1) 데이터 표준 중점 추진
(2) 산업육성 및 실용화 지원 표준 마련
(3) 표준화 역량 강화 및 성과 확산
5)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한 도로교통안전 추진전략
(1) 추진 배경
(2) 추진과제 세부내용
6) 2024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1) 국가 차원의 디지털트윈 구축 및 활용체계 마련
(2)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자원 유통·활용 활성화
(3) 공간정보융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재양성과 기술개발
(4) 국가공간정보 디지털트윈 생태계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

3. 국내·외 자율주행차 분야 주요 기업 동향
3-1. 해외 자율주행차 분야 주요 기업 동향
1)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 업체
(1) 테슬라(Tesla)
(2) GM
(3) 포드(Ford)
(4)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5) 폭스바겐(Volkswagen)
(6) BMW
(7) 스텔란티스(Stellantis)
(8) 토요타(Toyota)
(9) 혼다(Honda)
(10) 지리자동차
(11) 비야디
(12) 샤오펑
(13) 니오
(14) 보쉬(Bosch)
(15) 콘티넨탈(Continental)
(16) ZF
(17) 덴소(Denso)
(18) 모빌아이(Mobileye)
2) 빅테크 및 ICT 업체
(1) 구글(Google)
(2) 아마존(Amazon)
(3) 화웨이
(4) 바이두(Baidu)
(5) 텐센트(Tencent)
(6) 알리바바(Alibaba)
(7) 엔비디아(NVIDIA)
(8) 퀄컴(Qualcomm)
(9)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10) 인피니언(Infineon)
(11) NXP
(12) Haomo.AI
3) 자율주행 솔루션 및 서비스 업체
(1) 오로라(Aurora)
(2) 모셔널(Motional)
(3) Wayve
(4) Aptiv Services Polish SA
(5) Autonomous Systems
(6) WeRide Technology
(7) Pony.AI
(8) 옥사(Oxa)
(9) 아인라이드(Einride)
3-2. 국내 자율주행차 분야 주요 기업 동향
1)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 업체
(1) 현대자동차
(2) 현대모비스
(3) 현대오토에버
(4) HL만도
(5) 엠씨넥스
(6) 텔레칩스
(7) 카네비모빌리티
(8) 모트렉스
2) 빅테크 및 ICT 업체
(1) 삼성전자
(2) LG전자
(3) LG이노텍
(4) 삼성전기
(5) 네이버
(6) SK텔레콤
(7) KT
(8) LG유플러스
(9) 동운아나텍
(10) 노보센스
(11) 에티포스
(12) 오비고
(13) 이노와이어리스
3) 자율주행 솔루션 및 서비스 업체
(1) 오토노머스에이투지(AutonomousA2Z)
(2) 포티투닷
(3) 에스더블유엠
(4) 소네트
(5) 유니드론텍
(6) 라이드플럭스
(7) 스트라드비전
(8) 마음AI
(9) 모라이
(10) 인디제이

Ⅲ. 자율주행차 특허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기술개발 연구테마

1.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 특허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1-1.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 특허동향
1) 자율주행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반도체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2)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3) 자율주행 평가-개발 장비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4) 자율주행 정밀지도 시스템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5)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6) 고해상도 차량충돌 방지 레이더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1-2. 자율주행차 관련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1) 자율주행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반도체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2)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3) 자율주행 평가-개발 장비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4) 자율주행 정밀지도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5)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6) 고해상도 차량충돌 방지 레이더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2.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개발 연구개발 테마
2-1. 자율주행, 스마트카 기술 분야
1) 자율주행차 전장부품 결함 대응 및 기능 재구성을 통한 안전성 향상 기술 개발
2) (1세부) 자율주행차 전장부품 결함·오류 대응을 위한 기능 가변형 아키텍처 및
평가·검증기술 개발
3) (2세부) 자율주행차 전장부품 결함·오류에 대응하는 기능 재구성 및 자가복구 요소
기술 개발
4) (3세부) 기능 재구성 및 자가복구된 전장부품을 활용한 안전확보 제어 기술 개발
5) (총괄) 국제협력을 통한 오픈소스 SW플랫폼 기반 자율주행시스템 설계·검증 기술
6) (1세부) 오픈소스 기반 개방형 멀티 SW 플랫폼 기술
7) (2세부) 개방형 자율주행 응용 SW 개발을 위한 산업표준 HW 플랫폼 기술
8) (3세부) 글로벌 Open Alliance 구성 통한 국제 기술인증 체계 개발
9) VGA 이상급 열영상 나이트 비전 카메라용 ISP(Image Signal Processor) 반도체
개발
10)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클리닝 시스템 기술 개발
11) 미래차 전동화 대응을 위한 48V 모터구동 통합반도체 기술개발
12) 글로벌 안전기준 대응 가상 운전자 모델 기반 DMS 성능평가 시스템 개발
13) (총괄) 국제표준 대응 도심 내 환경기반 보행자·마이크로모빌리티 충돌경감 기술
개발
14) (1세부) 도심 내 환경기반 보행자·마이크로모빌리티 충돌경감 시스템을 위한 통합
인지 SW 기술 개발
15) (2세부) 도심 내 환경기반 보행자·마이크로모빌리티 충돌경감 시스템 개발
16) (총괄) 악천후 극복이 가능한 자율주행용 비냉각식 VGA급 단파 적외선 센서 및
카메라 기술 개발
17) (1세부) 악천후 자율주행을 위한 비냉각식 단파 적외선 센서 기술 개발
18) (2세부) 비냉각식 단파 적외선 카메라와 고출력 광원 모듈 개발
19) 글로벌 규제 대응 양방향 충방전 통합 사이버보안 기술 및 평가 체계 개발
20) 대화면 디스플레이 일체형 다기능 통합 스티어링 휠 시스템 개발
21) 대용량 센싱데이터 전송 센서모듈 및 중앙집중형 통합 인지 SW 개발
22) 차량용 MEMS 마이크로폰 반도체 및 음향 기반 융합 인지 기술 개발
23) 다종 구동 방식 대응형 소형 모터 제어용 통합 반도체 개발
24) (총괄) 자율주행 및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위한 대화면 고 곡률 헤드유닛 CID
개발
25) (1세부) 재생 소재 25% 이상 적용 대면적 CID 하우징 개발
26) (2세부) 고 곡률 구현이 가능한 투명 소재 및 경량 대화면 터치 패널 커버 윈도우
개발
27) (3세부) 대화면 고대역폭 신호 대응 제어기 적용 헤드유닛 CID 통합 개발
28) (총괄) 무선 업데이트 대응 첨단 모빌리티용 Application Processor (AP) 및
플랫폼 기술 개발
29) (1세부) AI 연산 능력 강화 및 무선 업데이트 가능한 영역 기반 120K DMIPS급
AP 개발
30) (2세부) 고신뢰성 대형승용차급 EMB(Electro-Mechanical Brake) 시스템용 AP
개발
31) (3세부) 글로벌 수요 대응 암레스트 센서를 활용한 탑승자 모니터링용 AP 개발
32) (4세부) 첨단 모빌리티용 AP 검증 및 상용화를 위한 통합 제어기 플랫폼 기술
개발
33) (총괄) AI 적용 전방 도로노면상태 판단 기반 섀시통합제어 시스템 개발
34) (1세부) 다중환경센서 정보를 이용한 전방 도로노면상태 데이터 플랫폼 구축
35) (2세부) 도로노면상태 판단을 위한 임베디드 AI 제어기 개발
36) (3세부) 복합도로노면 판단 기반의 섀시통합제어 시스템 개발
37) (총괄) 빔포밍 제어 가능한 메타물질 렌즈 및 측·후방 레이더 모듈 개발
38) (1세부) 빔포밍 제어 가능한 홀로그래픽 메타표면 안테나 모듈 개발
39) (2세부) 메타렌즈 제어기능을 가진 지능형 레이더 센서 반도체 개발
40) (3세부) 메타물질 렌즈 기반 코너 레이더 모듈 개발 및 검증
41) (총괄) 자율주행 레이더 및 차세대 통신용 초저온 동시 소결 다층 세라믹기판
소재·공정 및 부품 제조 기술개발
42) (1세부) 초저온(≤ 650℃) 동시 소결 유전체 세라믹 조성 설계 및 sheet 성형
기술 개발
43) (2세부) 650℃ 이하 U-LTCC 공정이 적용된 고집적, 초저손실 다층 세라믹기판
기술 개발
44) (3세부) U-LTCC 기반 자율주행 레이더 모듈 설계·제작 및 특성 평가기술 개발
45) (총괄) 전장 XR용 공간 촉감 지향성 햅틱 핵심 소재 및 부품 어레이 기술 개발
46) (1세부) 공간 압력 구현용 지향성 햅틱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
47) (2세부) 공간 질감 구현 트랜스듀서 단일 유닛 및 어레이 기술 개발
48) (3세부) 공간 촉감 구현용 렌더링 및 촉감 구현 모듈 성능 평가 기술 개발
2-2. 자율주행 모빌리티용 SW 기술 분야
1) 지능형 차량에 필요한 AI 프레임워크와 연동되는 SDV기반 자동차 SW플랫폼
기술 개발
2) 도심항공교통의 비정상 상황 인지 및 대응을 위한 온보드 기반 지능형 항전 SW
플랫폼 기술 개발
3) 온디바이스 로봇 지능 지원 SW플랫폼 핵심 기술개발
4)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형 인프라스트럭처 기술
5) 글로벌 해외 진출을 위한 제조 데이터 상호연동 가상 시운전 기술 개발
6) (총괄/세부1) 자율행동체의 복합작업 자율 수행을 위한 임무 수행 절차 생성 기술
개발
7) (세부2) 일상생활 공간에서 자율행동체의 복합작업 성공률 향상을 위한 자율행동체
엣지 AI SW 기술 개발
8) 혼잡도로 주행 위험상황에 최적 주행행동 결정을 위한 강화학습형 자율주행 AI
SW 기술 개발
2-3. 미래차 보안 기술 분야
1) (총괄) 자동차 보안 취약점 기반 위협 분석 시스템 개발
2) (1세부) 전장부품용 Secure HW/SW 통합 아키텍처 기술개발
3) (2세부) 전장부품의 보안성 검증을 위한 평가(V&V) 시스템 기술개발
4) (3세부) 전장부품용 자동 위협 분석 및 리스크 평가시스템 기술개발

표 목차

Ⅰ. 자율주행차 및 자율주행 분야 기술 동향
<표1-1> 자율주행 단계
<표1-2> 자율주행차 단계 구분
<표1-3> ADAS 주요 기능 및 도입 센서
<표1-4> 국가별 ADAS 특허출원 동향
<표1-5> 글로벌 기업 ADAS 특허출원 동향
<표1-6> 국내 기업 ADAS 특허출원 동향
<표1-7> 해외 자율주행차 센서 관련 핵심 기술 보유 업체 현황
<표1-8> 국내 자율주행차 센서 관련 스타트업 동향
<표1-9> 자율주행 원격운영 서비스 주요기업 동향
<표1-10> 시스템 기능 안전 위험발생 가능성 정의
<표1-11> 비상상황 발생 가능성 및 대응조치
<표1-12> 원격 운행(Remote Operation) 구성요소 및 예시
<표1-13> 자율지원 기능 예시
<표1-14> 원격지원과 원격제어의 구분
<표1-15> 자율주행 분야 ISO, ITU-T 표준화 현황
<표1-16> 자율주행 분야 SAE 표준화 현황
<표1-17> 자율주행 분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 현황
<표1-18> 자율주행 분야 한국표준협회 표준화 현황
<표1-19> GNSS 보정신호의 구분
<표1-20> 정밀도로지도 레이어 구성
<표1-21> C-ITS 및 LDM 자율협력주행 도로 인프라 시스템 비교
<표1-22> 정밀도로지도 분야 주요 기업 현황
<표1-23> 자율주행차 센서별 파장 특징
<표1-24> 자율주행차 탑재 카메라 종류별 기능
<표1-25> 국가별 LiDAR 센서용 광검출 소자 특허출원 건수
<표1-26> 2011-2020 자율주행 카메라 및 라이다 분야 주요출원인 동향
<표1-27> 2011-2020 국내 자율주행 인공지능 출원 동향
<표1-28> 2011-2020 국내 자율주행 인공지능 세부 기술별 출원 동향
<표1-29> 2011-2020 국내 자율주행 인공지능 출원인별 출원 동향
<표1-30> 사고기록장치 및 자율주행 기록장치 관련 표준 동향
<표1-31> 차세대 V2X 표준기술 NGV 목표 성능
<표1-32> C-V2X 기술 특징
<표1-33> 5G-V2X 물리계층의 주요 특징
<표1-34> V2X 도입 과제 및 해결을 위한 대응
<표1-35> 국가별 V2X 분야 특허 출원 동향
<표1-36> 국가별 V2X 분야 특허 등록 동향
<표1-37> 2022년 V2X 분야 특허 다출원인 현황
<표1-38> WAVE 및 LTE-V2X 서비스 유즈케이스
<표1-39> WAVE 및 LTE-V2X 서비스를 위한 V2X 통신 기술
<표1-40> WAVE 및 LTE-V2X 서비스 실증 및 시범사업 구축 사례
<표1-41> 3GPP Release 14/15 기반 LTE V2X 서비스 유즈케이스
<표1-42> 3GPP Release 14/15 기반 LTE V2X 서비스를 위한 V2X 통신 기술
<표1-43> 3GPP Release 14/15 기반 LTE V2X 서비스 실증 및 시범사업 구축 사례
<표1-44> 3GPP Release 15/16 기반 NR-V2X 서비스 유즈케이스
<표1-45> 3GPP Release 15/16 기반 NR-V2X 서비스를 위한 V2X 통신 기술
<표1-46> 2세대 및 2.5세대 기술 기반 서비스 실증 및 시범사업 구축 사례
<표1-47> 국가별 커넥티드카 특허출원 동향
<표1-48> 기술 분야별 커넥티드카 특허출원 동향
<표1-49> 기술 분야별·국가별 출원 점유율 비교
<표1-50> 커넥티드카 특허 주요 출원인 동향
<표1-51> 커넥티드카 특허 주요 출원인 동향
<표1-52> 차량 통신방식별 표준 및 규격 비교
<표1-53> C-ITS 활용 15개 서비스

Ⅱ. 주요국 자율주행차 산업 현황 및 전망
<표2-1> 주요기관별 자동차 시장 규모 전망
<표2-2> 주요국 자동차 시장 규모 전망
<표2-3> 주요국 전기차 판매량 동향
<표2-4> 2023년 국내 자동차 동력원별 신규등록 현황
<표2-5> 2024년 국내 자동차 산업 전망
<표2-6> 추후 차량 구매 시 전기차 선택 이유
<표2-7> 집 이외에 전기차 충전 희망 장소
<표2-8> 배터리전기차(BEV)에 대한 소비자 우려사항
<표2-9> 추후 차량 브랜드 선택 시 가장 중요시 하는 요인
<표2-10> 차량 구매 경험에 필요한 과정
<표2-11>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커넥티드카 기능
<표2-12> 신뢰할 수 있는 커넥티드카 관리 주체
<표2-13> 차량 구독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
<표2-14> 차량 구독에 대한 우려 요인
<표2-15> 연도별 자율주행차 산업 주요 이슈
<표2-16> 자율주행차 선도국 시장 규모 전망
<표2-17> 자율주행차 신흥국 시장 규모 전망
<표2-18> 지역별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 전망
<표2-19> 5G 및 MEC 기술과 엣지 컴퓨팅
<표2-20> 라이다 센서 유형과 특징
<표2-21> 자율주행차 분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표2-22> NVIDIA 및 Intel 자율주행 반도체 사업 동향
<표2-23> 유통 분야 자율주행차 서비스 도입 현황
<표2-24> ITU-T SG17 Q13 차량통신보안 표준화 목록
<표2-25> ITU-T SG17 Q13 차량통신보안 표준화 진행 동향
<표2-26> Automated Vehicle 4.0 주요 내용
<표2-27> 미국 자율주행차 종합계획 주요 내용
<표2-28> 컨퓨즈드닷컴 자율주행차 준비도 평가 기준
<표2-29> 차량데이터 관련 EU·미국 법제 동향
<표2-30> 캘리포니아 개인정보보호 권리법(CPRA) 주요 내용
<표2-31> GSR 제11조 제1항 주요 내용
<표2-32> EU-ADS 규정 주요 내용
<표2-33> 독일의 도로교통 및 자율주행 관련 법령
<표2-34> 2021년 자율주행 관련 ‘StVG’ 개정 사항 요약
<표2-35> 독일 자율주행 레벨4 탑재 차량의 주행 관련 당사자의 의무
<표2-36> 「AFBGV」 주요 조항 및 개요
<표2-37> 폴란드 자율주행차 시장 동향
<표2-38> 신흥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
<표2-39> 중국 자율주행 기업 도심 NOA 개발 현황
<표2-40> 중국 자율주행 산업 주요 정책
<표2-41> RoAD to the L4 프로젝트 목표
<표2-42> 일본 「도로교통법(道路交通法)」의 주요 개정 조항 및 내용
<표2-43> 일본 도로교통법 특정자동운행 업무종사자의 구성 및 역할
<표2-44> 일본 도로교통법 자율주행 중 운전자 역할 대체(제75조의24 관련)
<표2-45> 고속도로 주행 레벨 4 자율주행 트럭 도입 로드맵(안)
<표2-46> 자동차 정책 여건 변화 및 시장 전망
<표2-47> 제3차 자동차정책기본계획(안) 목표 및 추진전략
<표2-48> 14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평가결과
<표2-49> 14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상세 평가결과
<표2-50> 무인 자율주행차 일반도로 운행 실증 계획
<표2-51> 테슬라 자율주행 플랫폼

Ⅲ. 자율주행차 특허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기술개발 연구테마
<표3-1> 자율주행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반도체 분야 핵심기술
<표3-2> 자율주행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반도체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표3-3>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표3-4>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표3-5> 자율주행 평가-개발 장비 분야 핵심기술
<표3-6> 자율주행 평가-개발 장비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표3-7> 자율주행 정밀지도 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표3-8> 자율주행 정밀지도 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표3-9>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표3-10>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표3-11> 고해상도 차량충돌 방지 레이더 분야 핵심기술
<표3-12> 고해상도 차량충돌 방지 레이더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그림 목차

Ⅰ. 자율주행차 및 자율주행 분야 기술 동향
<그림1-1>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예시
<그림1-2> 자율주행차 기술 분류
<그림1-3> 자율주행차 주요 하드웨어 기술 구성요소
<그림1-4> 국가별 ADAS 특허출원 동향
<그림1-5>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자율주행 센서 조합 형태
<그림1-6> 4대 핵심기술 세부구성 및 기술간 연계
<그림1-7> OpenOSI, OpenLABEL, OpenODD 체계
<그림1-8> 자율주행 차량의 오류 및 한계상황 검출을 통한 원격지원 기술 개요
<그림1-9> 자율주행차 오류 및 한계상황 검출을 통한 원격지원 서비스 예시
<그림1-10> 원격 운행(Remote Operation) 구성요소
<그림1-11> 자율주행 데이터의 피라미드 구조
<그림1-12> 자율주행차 원시데이터 예시
<그림1-13> 에고 차량과 상대 차량 추돌 시 시나리오 사고 유형 추론
<그림1-14> DGPS RTK의 구성
<그림1-15> 정밀도로지도의 구축 과정
<그림1-16> LDM(Local Dynamic Mep) 구성 데이터
<그림1-17> LDM 인프라 정보 서비스
<그림1-18> 정밀도로지도 최신화 방법
<그림1-19> 3D-NDT 알고리즘 응용 정밀도로지도 생성 파이프라인
<그림1-20> 단일 드라이브의 ROD 시각화
<그림1-21> 자율주행 센서 배치 및 감지 범위와 담당 기능
<그림1-22> 멀티센서 데이터 융합 프레임워크
<그림1-23> 카메라-라이다 센서융합을 위한 센서 보정 과정
<그림1-24> 도로상 객체의 분류 체계
<그림1-25> 이미지센서 구조
<그림1-26> FMCW LiDAR 작동 원리
<그림1-27> 동작 파장에 따른 라이다 반도체 소자 및 눈에 안전한 노출량
<그림1-28> 연도별 LiDAR 센서용 광검출 소자 특허출원 건수
<그림1-29> 자율주행차 레이다(Radar) 센서 배치 및 감지 범위
<그림1-30>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신호등 및 동적객체 인지
<그림1-31> 차량-인프라에지-클라우드 연계 협업인지시스템 구성예
<그림1-32> 자율주행 카메라 및 라이다 분야 IP5 출원 동향
<그림1-33> 2011-2020 자율주행 카메라 및 라이다 분야 IP5 국가별 출원 동향
<그림1-34>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 구조
<그림1-35> 자율주행 알고리즘 아키텍처
<그림1-36> 2011-2020 국내 자율주행 인공지능 출원 동향
<그림1-37> 2011-2020 국내 자율주행 인공지능 세부 기술별 출원 동향
<그림1-38> 가중치를 갖는 그래프 데이터 구조
<그림1-39> RRT를 이용한 차량 궤적 생성의 예
<그림1-40> 피드백 제어 구조
<그림1-41> PID 기반 피드백 제어 시스템
<그림1-42> 사고기록장치 및 자율주행기록장치 관련 기술 동향
<그림1-43> V2X의 개념
<그림1-44> WAVE 통신 계층 구조
<그림1-45> C-V2X 적용 시나리오
<그림1-46> V2X에서 MIMO 기술 적용 예
<그림1-47> 주요국 V2X 분야 연도별 특허 출원 동향
<그림1-48> 주요국 V2X 분야 연도별 특허 등록 동향
<그림1-49> 국가별 커넥티드카 특허출원 동향
<그림1-50> 국가별 커넥티드카 특허출원 동향
<그림1-51> C-ITS 시스템 구성
<그림1-52> C-ITS 도로인프라
<그림1-53> C-ITS 센터시스템
<그림1-54> C-ITS 차량단말기
<그림1-55> C-ITS 활용 15개 서비스
<그림1-56>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구축 계획

Ⅱ. 주요국 자율주행차 산업 현황 및 전망
<그림2-1> 동력원별 추후 구매할 차량 선호도
<그림2-2>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충전하는 장소
<그림2-3> 전기차가 80% 충전되는 데 기다릴 수 있는 시간
<그림2-4> 배터리전기차(BEV) 주행거리 기대치
<그림2-5> 커넥티드카 차량 기능 활용을 위한 추가 비용지불 의사
<그림2-6> 차량 구독에 관심 있는 18-34세 소비자 비율
<그림2-7>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 전망
<그림2-8> 미국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 전망
<그림2-9> 2022년 지역별 자율주행차 시장 점유율
<그림2-10> 차량 접속 디바이스 및 인터페이스 환경
<그림2-11> 자율주행차에 대한 미국 소비자 인식
<그림2-12> 첨단 운전자 보조장치에 대한 미국 소비자 인식
<그림2-13> 뉴욕에서 테스트 중인 waymo의 자율주행 차량
<그림2-14> 컨퓨즈드닷컴 국가별 자율주행차 준비도
<그림2-15> EU 자율주행 차량 형식 승인 규정 체계
<그림2-16> NATM에서 제시하는 ADS 평가 방법
<그림2-17> 폴란드 자율주행 및 센서 기술 시장 규모 전망
<그림2-18> 중국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 침투율 현황
<그림2-19> 일본 디지털 라이프 라인 전국 종합 정비 계획
<그림2-20> 자율주행 기술의 사회 구현 접근
<그림2-21> 후쿠이현 자율주행 카트 및 원격 감시실
<그림2-22> 자율주행 버스 히타치 BRT
<그림2-23> 대열주행 중인 자율주행 트럭
<그림2-24> ‘RoAD to the L4’ 사업 추진 계획
<그림2-25> 일본 자율주행의 시장화 및 서비스 실현 시나리오
<그림2-26> 일본 자율주행 상용화 과정
<그림2-27> 일본 마을-미치노에키 구간 자율주행 실증 차량
<그림2-28> 자율주행 BRT 버스 실증실험
<그림2-29> 완전 무인 자율주행을 위한 시험·심사 절차
<그림2-30> 국내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 현황
<그림2-31> 서울 강남 자율주행차 운행지구
<그림2-32> 테슬라 HW3.0 센서구성
<그림2-33> GM 크루즈(Cruise) 로보택시
<그림2-34> 메르세데스벤츠 ‘드라이브 파일럿’ 시스템 설명도
<그림2-35> 샤오펑 ADAS 서비스
<그림2-36> 전기차 업체 니오의 ‘니오폰’
<그림2-37> 보쉬 인포테인먼트 및 ADAS 통합 플랫폼
<그림2-38> 모빌아이 ‘SuperVision’ 센서 구성
<그림2-39> 모빌아이 REM의 객체 정렬
<그림2-40> 모빌아이 REM 처리 프로세스
<그림2-41> Waymo 자율주행차
<그림2-42> 죽스(Zoox) 자율주행 무인택시 ‘로보택시’
<그림2-43> 알리바바 자율주행 물류 로봇
<그림2-44> 엔비디아 드라이브 플랫폼
<그림2-45> 엔비디아 드라이브 토르(DRIVE Thor)
<그림2-46> 퀄컴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그림2-47> 오로라(Aurora) 자율주행 트럭과 택시
<그림2-48> 모셔널(Motional) 아이오닉 5 자율주행 택시
<그림2-49> 위라이드(WeRide) ‘로보스위퍼 S1(Robosweeper S1)’
<그림2-50> 위라이드(WeRide) 자율주행 청소차 시제품
<그림2-51> 포니닷에이아이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로보택시
<그림2-52> 옥사(Oxa) 자율주행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자율주행 셔틀
<그림2-53> 미래형 통합 콕핏 ‘엠빅스 5.0’
<그림2-54> HL만도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
<그림2-55> 엠씨넥스 나이트 비전 카메라 시스템
<그림2-56> LG전자-마그나 자율주행 통합플랫폼
<그림2-57> 웨일 차량용 브라우저
<그림2-58> 동운아나텍이 개발 중인 차체제어 콘트롤러(BDC) IC
<그림3-59> 오비고 차량용 SW
<그림2-60>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양산형 완전 무인 모빌리티 ‘Project MS’
<그림2-61> 소네트 자율주행셔틀
<그림2-62> 토르드라이브 공항 자율주행 지상조업 차량
<그림2-63> 모라이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솔루션 운용 이미지

Ⅲ. 자율주행차 특허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기술개발 연구테마
<그림3-1> 자율주행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반도체 연도별 출원동향
<그림3-2> 자율주행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반도체 국가별 출원현황
<그림3-3> 자율주행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반도체 주요출원인
<그림3-4>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연도별 출원동향
<그림3-5>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국가별 출원현황
<그림3-6>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주요출원인
<그림3-7> 자율주행 평가-개발 장비 연도별 출원동향
<그림3-8> 자율주행 평가-개발 장비 국가별 출원현황
<그림3-9> 자율주행 평가-개발 장비 주요출원인
<그림3-10> 자율주행 정밀지도 시스템 연도별 출원동향
<그림3-11> 자율주행 정밀지도 시스템 국가별 출원현황
<그림3-12> 자율주행 정밀지도 시스템 주요출원인
<그림3-13>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연도별 출원동향
<그림3-14>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국가별 출원현황
<그림3-15>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주요출원인
<그림3-16> 고해상도 차량충돌 방지 레이더 연도별 출원동향
<그림3-17> 고해상도 차량충돌 방지 레이더 국가별 출원현황
<그림3-18> 고해상도 차량충돌 방지 레이더 주요출원인
<그림3-19> 자율주행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반도체 분야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20>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분야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21> 자율주행 평가-개발 장비 분야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22> 자율주행 정밀지도 시스템 분야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23>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분야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24> 고해상도 차량충돌 방지 레이더 분야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