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시! 역사교육

다시! 역사교육 (한국사 편)

(한국사 교재 연구 및 지도법)

김보림, 김경래, 윤재운, 정상우, 백동호, 이동욱, 장승민 (지은이)
교육과학사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0% 0원
1,080원
34,9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시! 역사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시! 역사교육 (한국사 편) (한국사 교재 연구 및 지도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9442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한국사란 이 땅에서 살아온 사람들이 남긴 시간의 흔적이며, 역사를 가르친다는 것은 학생들이 인간의 삶과 사유를 이해하고 오늘과 미래의 삶을 성찰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바로 그런 ‘인간 이해’라는 한국사 교육의 본질에 주목하며 집필된 교재다.
“AI와 디지털 시대, 다시! 한국사 교육을 생각하다.”

한국사는 과거의 기록을 넘어 오늘을 이해하는 힘이 됩니다. 한류가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AI와 디지털 기술이 교육의 새로운 환경을 열어가는 지금, 한국사 교육은 단순한 과거 공부가 아니라 인간을 이해하고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필수적인 창입니다. 『다시! 역사교육, 한국사 편』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교재 연구와 지도 방법을 함께 다룬, 한국사 교육의 새로운 길잡이입니다.
전공 교수의 탄탄한 연구와 현직 교사의 현장 경험이 결합된 이 책은 교실 안팎, 나아가 온라인과 미디어 공간까지 확장되는 한국사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합니다. 더불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뿐 아니라, 한국사 교육에 관심 있는 누구에게나 실제적인 수업 아이디어와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할 것입니다.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한국사 수업 이론

CHAPTER 01 한국사 수업의 설계 19

1. 수업설계의 의미 19
1) 수업설계의 개념 19
2) 수업설계의 과정 20
3) ADDIE 모형을 활용한 한국사 수업설계 26
4) 최근 백워드 설계이론과 한국사 수업에의 적용 30

2. 학습자 진단의 의미 38
1) 학습자 특성 39
2) 학습자의 기억조직과 선수학습 43

3. 내용, 교재, 방법의 수준 의미 45
1) 학습자 문해력 45
2) 쉬운 또는 어려운 내용, 교재, 수업방법의 의미 46

CHAPTER 02 한국사 수업의 목표 51

1. 국가수준의 목적 51
1) 국가교육과정과 역사교육의 목적 51
2) 국가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60
3)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성취기준 63

2. 수업수준의 목표 67
1) 수업목표의 분류 67
2) 수업목표의 구성과 활용: 지식, 이해/기능/태도 68
3) 수업의 재구성 70
4) 수업목표와 평가와의 관계 73

3. 나이스(NEIS)의 이원목적 분류표와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작성 79

4. 수업에서 목표 활용의 실제 81
1) 수업계획의 시작 단계 81
2) 수업의 마지막 단계 83
3) 수업목표 무용론과 한계 85

CHAPTER 03 한국사 수업의 교재 87

1. 한국사 수업에서 교재란 무엇인가 87
1) 한국사 수업에서 교재의 개념 87
2) 한국사 교재 선정의 유의점 88

2. 한국사 교재의 종류 91
1) 문헌 교재 91
2) 시청각 교재 110
3) 웹(Web) 기반 교재 135
4) 체험 교재 150
5) 교사 제작 교재 156

CHAPTER 04 한국사 수업의 방법 165

1. 수업 방법론의 필요성 165

2. 수업 방법론의 다양한 구분 165

3. 전통적 수업방법론 168
1) 강의식 수업 168
2) 질문이 살아있는 역사수업 175
3) 탐구식 수업 179
4) 역사 글쓰기 수업 181
5) 역사 극화수업 184
6) 토론식 수업 188
7) 토의식 수업 191
8) 협동식 수업 193
9) 제작 수업 198

4. 최근 수업방법론 200
1)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200
2) 온라인 박물관 교육 203
3) AI 활용 수업 208
4) 문화감응교수법 216
5) 블렌디드 러닝 217
6) 프로젝트 수업 220
7) 북큐레이션 수업 223
8) 비주얼 씽킹 수업 224
9) 교육용 앱을 활용한 스마트 수업 226
10) 소셜 미디어 활용 수업 229

5. 학습지도안 작성하기 231
1) 학습지도안의 중요성 231
2) 학습지도안의 활용 232
3) 학습지도안의 구성 233

6.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 전략 237

CHAPTER 05 한국사 평가의 이론과 실제 239

1. 교육 환경의 변화와 평가의 방향 239
1) 한국사 교육 환경의 변화 239
2) 평가의 역할 241
3) 한국사 평가의 방향 243

2. 평가의 절차 249
1) 평가 계획의 수립 249
2) 평가와 학습의 연계 274

3. 과정 중심 평가와 피드백 276
1)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 276
2) 맞춤형 피드백과 학생의 성장 279

4. 지필평가: 선다형 평가 283
1) 한국사 선다형 평가의 장점과 한계 284
2) 한국사 문항 제작의 특수성 285
3) 좋은 선다형 문항 제작 원리 287
4) 문항 검토의 교육적 의미 290
5) 한국사 선다형 평가의 지향점 293

5.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로서의 서술형ㆍ논술형 평가 294
1) 서술형ㆍ논술형 평가의 특징 294
2) 서술형 문항의 사례와 채점 기준표(루브릭) 297
3) 논술형 문항의 사례와 채점 기준표(루브릭), 모범답안 예시 300

6. 수행평가 출제 307
1) 수행평가의 개념과 방향 307
2) 수행평가 과제의 유형 309

제2부 한국사 수업의 실제

교사 에세이: 어느 신규 역사 교사의 죄충우돌 첫 한 달 한국사 수업일지 315
제2부 구성의 특징 324

CHAPTER 01 한국 고ㆍ중세사 327

1. 시대의 개관 327
1) 고대 327
2) 중세 329

2. 학계의 연구 동향 332

3. 논쟁적 주제(심화)-서동 주체설 339
1)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서동 주체설 339
2) 연구사 정리 340
3) 서동 주체설을 어떻게 가르칠까 345

4. 수업의 실제: 논쟁적 수업(심화)-서동 주체설-디지털 역사자료를 활용한 토의식 수업- 346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346
2) 내용 선정 346
3) 학습자 진단 346
4) 교재 연구 347
5) 학습지도안 작성 347
6) 수업 361
7) 수행평가 시행 361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365

5. 수준별 수업 주제(기초, 심화)-서경 천도 운동 366
1)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서경 천도 운동 366
2) 연구사 정리 366
3) 서경 천도 운동을 어떻게 가르칠까 369

6. 수준별 수업의 실제: 기초-서경 천도 운동-챗GPT를 활용한 비주얼 씽킹 수업- 370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370
2) 내용 선정 370
3) 학습자 진단 370
4) 교재 연구 371
5) 학습지도안 작성 371
6) 수업 383
7) 수행평가 시행 384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387

7. 수준별 수업의 실제: 심화-서경 천도 운동-학습지를 활용한 역사 극화수업- 388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388
2) 내용 선정 388
3) 학습자 진단 388
4) 교재 연구 389
5) 학습 지도안 작성 389
6) 수업 404
7) 수행평가 시행 404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407

CHAPTER 02 한국 근세사 409

1. 시대의 개관 409
1) 조선 초기 409
2) 조선 중기 411
3) 조선 후기 414

2. 학계의 연구 동향 416
1) 해방 이후~1980년대: 식민사학의 안티테제로서 조선시대사 통설 416
2) 1990년대~현재: 통설에 대한 문제제기와 새로운 조선시대사의 모색 418

3. 논쟁적 주제(심화)-실학 425
1)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실학 425
2) 연구사 정리 426
3) 실학을 어떻게 가르칠까 428

4. 수업의 실제: 논쟁적 주제(심화)-실학-사료를 활용한 토론식 수업- 429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429
2) 내용선정 430
3) 학습자 진단 430
4) 교재연구 430
5) 학습지도안 작성 431
6) 수업 446
7) 수행평가 시행 447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448

5. 수준별 수업 주제(기초, 심화)-양반 449
1)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양반 449
2) 연구사 정리 450
3) 양반을 어떻게 가르칠까 451

6. 수준별 수업의 실제: 기초-양반-생활사 자료(고문서, 일기, 편지)를 활용한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 453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453
2) 내용선정 454
3) 학습자 진단 454
4) 교재연구 454
5) 학습지도안 작성 455
6) 수업 473
7) 수행평가 시행 473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474

7. 수준별 수업의 실제: 심화-양반-생활사 자료(고문서, 일기, 편지)를 활용한 플립 러닝- 476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476
2) 내용선정 477
3) 학습자 진단 477
4) 교재연구 477
5) 학습지도안 작성 478
6) 수업 497
7) 수행평가 시행 498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499

CHAPTER 03 한국 근ㆍ현대사 501

1. 시대의 개관 501
1) 근대 501
2) 현대 507

2. 학계의 연구 동향 512

3. 논쟁적 주제 (심화)-한국사에서 근대의 기점은 언제인가? 524
1)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근대의 기점 524
2) 연구사 정리 525
3) 한국사에서 근대의 기점을 어떻게 가르칠까 531

4. 수업의 실제: 논쟁적 수업(심화)-한국사에서 근대의 기점은 언제인가?-멀티미디어 자료 및 사료 기반 토론식 수업- 534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534
2) 내용 선정 535
3) 학습자 진단 536
4) 교재 연구 537
5) 학습지도안 작성 538
6) 수업 559
7) 수행평가 시행 559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563

5. 수준별 수업 주제(기초, 심화)-근대 도시의 형성과 발전 567
1)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근대 도시의 형성ㆍ발전 567
2) 연구사 정리 567
3) 근대 도시의 형성과 성장을 어떻게 가르칠까 572

6. 수준별 수업의 실제: 기초-근대 도시의 형성과 발전-생성형 AI를 활용한 북 큐레이션- 573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573
2) 내용 선정 574
3) 학습자 진단 575
4) 교재 연구 576
5) 학습지도안 작성 578
6) 수업 593
7) 수행평가 시행 593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596

7. 수준별 수업의 실제: 심화-근대 도시의 형성과 발전-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독서 토론식 수업- 600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600
2) 내용 선정 601
3) 학습자 진단 603
4) 교재 연구 605
5) 학습지도안 작성 607
6) 수업 628
7) 수행평가 시행 628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632

참고문헌 635

미주 649

찾아보기 663

저자소개

윤재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대구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고구려발해학회 편집위원장과 역사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와 뉴욕주립대학교 빙햄턴캠퍼스 방문학자를 지냈다. 대표저서로는 『교류의 바다 동해』(경인문화사, 2015), 『국제이주입문』(평사리, 2022), 『발해유적총람』 1~3(예지안, 2023) 등이 있다. 현재 다문화와 역사교육, 교육과정 안의 한국고대사와 동아시아 교류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백동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2년 처음 교사로 부임하여 현재 부산에 있는 부일외국어고등학교 교사로 재직 중이다. 성균관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 대학원에서 「영국 대처 정부의 정책과 장기 집권 기반」이란 논문으로 석사학위(2010)를 취득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수능특강 한국사』(공저, 한국교육방송공사), 『수능완성 세계사』(공저, 한국교육방송공사) 등이 있으며 역사 교과와 관련한 참고서를 다수 집필하였다. 현재 역사 교과서, 역사 교과 평가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보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용산고등학교에서 기간제 역사교사, 총신대학교에서 조교수, 콜롬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의 한국학연구소에서 객원교수 등을 지냈다. 대표 저서로는 『역사교육론 입문』(충북대학교출판부, 2015), 『국민과의 창설과 ‘국사’교육』(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공저, 리베르, 2025) 등이 있다. 현재 한국근현대사에서 역사교육의 생성과 발전 과정, 사회과에서 역사과 독립의 문제, AI 시대의 역사교육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정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 국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역사교육연구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조선총독부의 역사 편찬사업과 조선사편수회(아연동북아 총서 32)』(아연출판부, 2018), 『만선사, 그 형성과 지속(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 3)』(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등이 있다. 현재 식민주의 역사학이라 통칭되는 근대 일본인 역사가들의 한국사 연구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경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북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인하대학교 HK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조선시대사학회 편집이사, 한국사상사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대동금석서 연구』(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중학교 역사 2』 교과서(공저, 리베르, 2025) 등이 있다. 현재 ‘발전’과 ‘자주’의 틀에서 벗어난 한국사 교육,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시대사 교육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동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 처음 교사로 부임하여 현재 경기도 수일고등학교 역사 교사로 재직 중이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경기도 논쟁적 역사수업 연구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공저, 금성출판사, 2020), 『동아시아 맞수 열전』(공저, 북멘토, 2022), 『단재의 삶과 사상』 교과서(공저, 이오북스, 2025) 등이 있다. 현재 역사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대안 서사 구성 문제, 경청 기반 숙의형 토론 수업의 확산 방안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장승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9년 처음 교사로 부임하여 현재 여산고등학교 역사 교사로 재직 중이다. 전북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특목고, 일반 인문계고, 특성화고 등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급 특성, 학생 특성에 맞는 한국사 수행평가의 개발, 한국근현대사 교육에 있어서 AI의 활용 방안, 한국사 수업 중 강의식 수업의 숙련도 향상을 위한 수업방법론 체계화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