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티베트불교 반야심경 강해

티베트불교 반야심경 강해

(티베트 반야심경을 통해 배우는 대승불교 현관 차제의 정수)

톨래 켄 린포체 아왕 갸초 (지은이), 롭뽄 도제 텐진, 텐진 닝제 (역주)
맑은소리맑은나라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티베트불교 반야심경 강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티베트불교 반야심경 강해 (티베트 반야심경을 통해 배우는 대승불교 현관 차제의 정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3385166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티베트 암도 지역 겔룩파 사원인 톨래(툴리) 사원의 수장 아쿠 아왕 갸초 린포체의 『반야심경』 해설이다. 『법해보장(法海寶藏)』이라는 이름의 이 법본(法本)은 대승불교 현밀(顯密)의 체계를 광대하게 설한 구결로 그 중 『반야심경』의 주해는 제5권에 해당한다. 전체적인 구성은 한역 『반야심경』의 틀에 맞추어 티베트불교의 『반야심경』과 대승불교의 체계를 폭넓게 해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차

머리말

톨래 사원의 역사와 아왕 갸초 린포체 약전

일러두기

티베트본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현장역(玄奘譯)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제1장 『반야심경』의 총설
제1절 『반야심경』이 설해진 장소와 시간
제2절 『반야심경』의 다른 판본
제3절 심(心), 경(經)에 내포된 뜻
제4절 『반야심경』의 내용 개술

제2장 『반야심경』의 정문(正文)
제1절 예비 수행(前行)

제3장 인무아(人無我)와 보살 자량도(資糧道)
제1절 인무아(人無我)
제2절 보살 자량도(資糧道)

제4장 법무아(法無我)와 보살 가행도(加行道)
제1절 법무아(法無我)
제2절 보살 가행도(加行道)
제3절 보살 가행도의 수지(修持) 법문
제4절 보살 가행도의 공덕

제5장 보살 견도(見道)
제1절 번뇌의 억누름(押伏)과 단멸(斷滅)에 대한 구별
제2절 보살 견도(見道)

제6장 보살 수도(修道)

제7장 유학도(有學道)
제1절 십팔계(十八界)
제2절 십이연기(十二緣起)
제3절 연각도(緣覺道)
제4절 공성을 깨닫는 것(證悟)의 어려움
제5절 사성제(四聖諦)
제6절 부처님의 말씀을 남김없이 섭수한 성문
제7절 삼승(三乘)의 네 가지 유학도
제8절 대소승의 차이

제8장 무학도(無學道)
제1절 멸(滅)
제2절 아라한과(阿羅漢果)
제3절 대승 무학도

제9장 삼사도(三士道)

제10장 보살(菩薩)
제1절 보리살타(菩堤薩埵)
제2절 십바라밀다(十波羅蜜多)

제11장 내윤회(內輪廻)
제1절 번뇌
제2절 업
제3절 장애
제4절 4가지 전도(顚倒)

제12장 열반
제1절 네 가지 열반
제2절 삼세(三世)의 모든 부처님의 과위
제3절 원만 과위

제13장 산스끄리뜨어(梵語)
제1절 산스끄리뜨어의 공덕
제2절 『반야심경』 진언의 정확한 염송법

제14장 결찬(結讚)

제15장 『반야심경』의 관상수행법
제1절 세 가지의 수승함
제2절 『반야심경』 관상수행법

제16장 『반야심경』의 밀의(密意)

저자소개

톨래 켄 린포체 아왕 갸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롭뽄 도제 텐진 (역주)    정보 더보기
티베트불교 둑빠까규파의 진언승(眞言僧). 전북대 기계공학과 졸업 후 원불교 교무로 출가하였다. 원광대 원불교학과와 원불교대학원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부산과 강원 지역에서 근무하였다. 티베트불교에 대한 구도의 열망으로 이후 북인도 히말라야 지역으로 떠나게 되었다. 둑빠까규파 캄빠가르 사원의 수장인 제9대 캄뚤린포체를 계사 및 근본스승 삼아 진언승이 되었고 둑빠까규 전승의 밀교를 수행하였다. 티베트 망명정부 지역 강짼끼숑의 LTWA에서 5부대론(인명, 반야, 중관, 아비달마, 계율)과 밀교학을 수학, 모든 시험을 통과 후 아사리(Lobpon, M.A) 지위를 얻었다. 현재 전주의 쎄르닥링(금암불학선원)과 히말라야 적정처를 오가며 정진하고 있다.
펼치기
텐진 닝제 (역주)    정보 더보기
티베트불교 겔룩파의 승려. 불가기공의 금강선법(金剛禪法)을 수련하여 20년간 수인유가(手印瑜伽) 수법(修法)을 지도하고 있다. 티베트 암도지역의 겔룩파 톨래(툴리) 사원의 수장인 아쿠 아왕 갸초 린포체께 귀의하여 근본스승 삼아 린포체의 가르침을 공부하였고, 스승의 부촉에 따라서 티베트불교 수행도량을 열었다. 이후 14대 달라이라마 법왕을 계사로 득도(得度)하여 겔룩파 승려가 되었다. 현재 부산의 삼땐링(남걀최종링) 선원장으로 아왕 갸초 린포체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삼땐링은 금강선법과 함께 공부하는 심신쌍전(身心雙全)의 도량으로 자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반야심경』에서 설하는 내용은 모두 ‘인무아(人無我)’와 ‘법무아(法無我)’에 관해서이며, 거기에 십팔계(十八界), 팔리희론(spros bral brgyd, 八離戱論), 사성제(四聖諦), 십이연기(十二緣起), 삼승과위(三乘果位) 등이다. 현밀(顯密)이 결합된 법문이므로 내용에 있어서 드러난 뜻(現意), 숨은 뜻(隱意), 비밀스러운 뜻(密意)으로 나뉜다.


『반야심경』은 석존께서 직접 설한 것이 아니다. 부처님께서 “심오함의 현현(zab mo'i snaṅba)이라는 법수삼매(chos kyi rnam graṅs tiṅ ṅe 'dzin, 法數三昧)”에 들어있을 때, 부처님의 가지력을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과 사리자가 입게 된다. 사리자께서는 부처님의 가지력을 입은 힘으로 관자재보살을 직관할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관자재보살께 “오온은 공하지 않습니까? 모든 법이 공하지 않은가요?”라고 질문드리면 관 자재보살께서 그에 관하여 답을 주시는 일종의 문답 형식으로 전개된다. 이렇게 경문이 시작된다.


...우리가 육도에서 끊임없이 윤회하며 환생을 거듭하는 주체가 바로 의식이라고 생각할 때, 이러한 의식을 ‘나’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우리만 의식을 ‘나’라고 여기는 것이 아니라, 인도불교 4대 학파 중 설일체유부(bye brag smra ba, vaibhāṣika, 說一切有部), 경량부(mdo sde pa, sautrāntika, 經量部), 중관자립학파(dbu ma raṅ rgyd pa, svatantrika-mādhyamika, 中觀自立學派) 등 또한 의식을 ‘나’라고 여긴다. 그들은 의식조차 ‘나’가 아니라면 ‘나’는 어디에 있다는 것인가 하는 생각에서 의식이 아니면 ‘나’를 찾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때 중관귀류학파는 반박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만약 ‘의식’이 ‘나’라면 한 사람의 전생, 금생, 내생의 의식 중에 어느 것이 ‘나’란 말인가.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