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논술참고도서
· ISBN : 9791193407271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5-01-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함수를 함수답게 배워 보자
1 좌표평면과 그래프 (중1 과정)
∷ 수의 ‘위치’를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
∷ 직선 위에 있는 점의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
∷ 왜 좌표평면을 만들었을까?
∷ 평면 위에 있는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
∷ 좌표평면을 사분면으로 나누는 이유
∷ 좌표평면을 그리고 좌표 나타내기
∷ 좌표평면 위의 도형의 넓이를 구해 보자
∷ 관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기
∷ 다양한 상황을 그래프로 표현하기
∷ 다양한 그래프를 해석해 보기
∷ 대응과 변화의 결정적인 차이
∷ 정비례: 변화에 초점을 맞추면 보이는 관계
∷ 정비례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기
∷ 정비례 관계의 그래프를 직접 그려 보자
∷ 반비례의 정확한 뜻
∷ 반비례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 관계식을 구하지 않고 문제를 푸는 법
2 곧게 뻗은 일차함수 (중2 과정)
∷ 그래서 함수가 뭐예요?
∷ 함수의 기호와 함숫값
∷ 일차함수의 일차가 무슨 뜻일까?
∷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어떤 모양일까?
∷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기울어져 있다
∷ 기울기를 보고 y=ax의 그래프를 그려 보자
∷ 일차함수 y=ax+b의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 그래프만 있고 기울기가 없을 때 1
∷ 그래프만 있고 기울기가 없을 때 2
∷ 기울기를 구할 때 그래프를 이용해야 하는 이유
∷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절편을 구해 보자
∷ 일차함수 y=ax+b의 그래프를 그려 보자
∷ 일차함수의 식을 구해 보자 1: 기울기와 y절편이 주어졌을 때
∷ 일차함수의 식을 구해 보자 2: 기울기와 한 점이 주어졌을 때
∷ 일차함수의 식을 구해 보자 3: 서로 다른 두 점이 주어졌을 때
∷ 일차함수의 식을 구해 보자 4: x절편과 y절편이 주어졌을 때
∷ 일차함수의 활용 1: 일차방정식을 그래프로 나타내기
∷ 일차함수의 활용 2: 연립방정식의 해 표현하기
3 빗살무늬토기 모양의 이차함수 (중3 과정)
∷ 이차함수란 무엇일까?
∷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왜 그렇게 생겼을까
∷ 포물선, 축, 꼭짓점
∷ 변화의 관점으로 본 이차함수
∷ 이차함수 그래프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
∷ 이차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 y=a(x–p)2+q의 꼭짓점의 좌표를 구하는 법
∷ 이차함수 그래프의 폭에 대하여 1
∷ 이차함수 그래프의 폭에 대하여 2
∷ 이차함수 y=ax2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는 방법
∷ 이차함수 y=ax2+bx+c의 그래프는 어떻게 그릴까
∷ 꼭짓점의 좌표 구하기 1: y=x2+bx+c
∷ 꼭짓점의 좌표 구하기 2: y=1/nx2+bx+c
∷ 꼭짓점의 좌표 구하기 3: y=ax2+bx+c
∷ 꼭짓점의 좌표를 구하는 또 다른 방법
∷ y=ax2+bx+c라는 식 자체로 그래프를 파악하는 법
∷ 이차함수도 그래프가 중요하다
정답과 설명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많은 친구들이 중학교 함수를 어려워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중학교 함수를 쉽게 해결했다고 생각한 친구들이 고등학교에 올라가서 갑자기 고전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런 고민에 대한 결과물이 바로 이 책입니다. 이 책은 중학생이 중학교 함수를 제대로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세상에 나왔습니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가장 큰 차이는 ‘대응’이라는 단어가 사라진 거예요. 중학교에서는 대응이라는 표현 대신 변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 대응은 부분 부분으로 표를 봤다면, 변화는 표 전체를 본다고 생각하면 돼요. 그동안 나무를 봤다면 이제부터 숲을 본다고 생각합시다.
이 차이는 매우 중요해요. 중학교 내내, 함수라는 것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니까요. 하지만 교과서나 문제집 어디에서도 이런 차이를 설명하지 않아요. 앞으로 배울 함수를 이제부터 ‘변화하는 두 양 사이의 관계’라고 이해합시다.
함수의 핵심은 변화의 관계입니다. 이것을 알고 함수를 배우는 것과 모르고 배우는 것은 출발점 자체를 다르게 만들 수 있어요. 그래서 이 책에서는 초등학교 때 배운 대응을 언급할 때를 제외하고 의도적으로 대응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아요. 이제 부분이 아닌 전체로, 대응이 아닌 변화로 수학을 보는 눈을 가져야 하니까요.
- ‘대응과 변화의 결정적인 차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