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조 이야기

선조 이야기

(일본인의 조상숭배, 개정판)

야나기타 구니오 (지은이), 김용의 (옮긴이)
전남대학교출판부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조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조 이야기 (일본인의 조상숭배,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91193707166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4-02-22

목차

저자 서문 / 011

1. 두 가지 해석 / 021
2. 한 가지 작은 실제 사례 / 025
3. 집안의 초대(初代) 선조 / 031
4. 선조가 되다 / 035
5. 상속제도와 두 종류의 분가 / 038
6. 은거(隠居)와 방(部屋) / 041
7. 오늘날과 옛날의 차이 / 045
8. 선조의 배려 / 048
9. 무가(武家)가 번영한 실제 정황 / 051
10. 먼 지방으로의 분가 / 055
11. 가독(家督)의 중요성 / 059
12. 집안의 전통 / 062
13. 마키(まき)와 친척 / 065
14. 마키(まき)의 결합력 / 069
15. 경사스러운 날 / 072
16. 가도아케・가도비라키 / 075
17. 마키우치 연시의 기원 / 080
18. 새해의 신은 가택신 / 084
19. 새해 제단(年棚)과 길한 방향 / 088
20. 신에 대한 공양 / 093
21. 본(お盆)과 쇼가쓰(正月)의 유사성 / 097
22. 도시도쿠진(歳徳神)의 모습 / 101
23. 선조 제사의 관념 / 109
24. 선조 제사의 기일(期日) / 114
25. 선조의 쇼가쓰 / 118
26. 오야가미(親神)의 신사 / 122
27. 호토케의 쇼가쓰 / 127
28. 재일(斎日) / 132
29. 4월의 선조 제사 / 138
30. 논신과 산신 / 143
31. 연말의 영혼 제사(魂祭) / 148
32. 선조 제사와 물 / 152
33. 영혼의 밥 / 157
34. 젓가락과 주먹밥의 생김새 / 161
35. 영혼에 대한 사상의 변천 / 166
36. 사람이 죽은 해와 그 영혼 / 170
37. 쇼료(精靈)와 미타마(みたま) / 175
38. 유령과 망혼 / 181
39. 세 종류의 쇼료 / 185
40. 감잎과 연잎 / 190
41. 상설 영혼 제단 / 195
42. 부쓰단(佛壇)이라는 이름 / 199
43. 본(盆)과 호카이 / 204
44. 호카이와 제사의 차이 / 210
45. 호토키(瓫)도 호카이(行器) / 217
46. ‘호토케’의 어원 / 222
47. 다양한 종류의 호토케 / 226
48. 제구(祭具)와 제식(祭式) / 232
49. 제사를 지내지 않는 영혼 / 236
50. 신식 본(盆)의 특징 / 241
51. 33주기 / 245
52. 집안의 영혼 제단 / 251
53. 영신(靈神)에 관해서 / 256
54. 제장(祭場)을 정하는 방식 / 261
55. 마을의 씨족신 / 266
56. 묘소(墓所)는 제장(祭場) / 271
57. 조상의 영혼을 고독하게 만들다 / 277
58. 무의식적인 전승 / 282
59. 영혼을 맞이하는 불 / 288
60. 어린아이의 언어로 / 294
61. 자연스러운 체험 / 299
62. 황천사상 / 303
63. 혼승백강설(魂昇魄降說) / 307
64. 죽음에 대한 친숙함 / 312
65. 저승과 이승 / 316
66. 돌아가는 산 / 321
67. 4월 8일 / 327
68. 사이노가와라(賽の川原) / 332
69. 저승으로 가는 길 / 338
70. 장례의 목적 / 343
71. 두 세계의 경계 / 349
72. 강신가(降神歌) / 353
73. 신을 업고 오는 사람 / 358
74. 영혼을 맞이하는 날(招魂日) / 362
75. 최후의 일념 / 368
76. 소원풀이 / 373
77. 환생 / 379
78. 집안과 어린아이 / 384
79. 영혼의 회춘 / 389
80. 칠생보국(七生報國) / 394
81. 두 가지 실제적 문제 / 398

해설 (石井正己) / 403
역자 후기 / 408
개정판 역자 후기 / 411
찾아보기 / 413

저자소개

야나기타 구니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75년 지금의 효고 현(兵庫縣) 후쿠사키 정(福崎町)에서 태어나 1962년 8월에 심장쇠약으로 사망하였다. 일본민속학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민속학자뿐만이 아니라 고급행정관료, 문학자, 언론인으로서 다양한 삶을 살았다. 동경제국대학 법학대학 정치과를 졸업한 이후 1919년에 귀족원 서기관장을 사임하기 까지 법제국 참사관, 궁내 서기관, 내각서기관 기록과장 등을 역임하였다. 1920년 아사히 신문사에 입사하여 후에 편집국 논설위원으로 사설을 담당하였다. 1921년에 국제연맹 위임통치위원에 취임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하였다. 추밀원 고문관, 국립국어연구소 평의원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1949년에 발족한 일본민속학회 초대회장을 맡았으며, 미국인류학협회의 명예회원으로 추대되었다. 민속학뿐만이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이들 대부분의 저작은 『定本 柳田國男集』(전31권, 별권 5권), 『新編 柳田國男集』(전12권), 『柳田國男全集』(문고판, 전32권), 『柳田國男全集』』(전36권, 별권 2권) 등의 전집에 집대성되었다.
펼치기
야나기타 구니오의 다른 책 >
김용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남대 일어일문학과 교수이다. 전남대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일본 신화를 공부하였다. 일본 오사카대학 대학원에서 일본문화학(민속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일설화의 비교, 오키나와 문화, 일제강점기 한국문화의 변용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도노 모노가타리』(역서),『유로설전』(역서),『혹부리 영감과 내선일체』(저서),『일본설화의 민속세계』(저서),『일본의 민담』(역서),『일본의 스모』(저서),『오키나와 구전설화』(역서),『일본 사찰의 음식수행』(역서),『동중국해문화권』(공역),『저주하는 일본인 저주받는 일본인』(공역),『괴이와 신체의 일본문화』(공역),『日本文化の人類學異文化の民俗學』(공저),『國際化時代と遠野物語』(공저),『現代に生きる妖怪たち』(공저),『國境を越える民俗學』(공저),『妖怪文化の傳統と創造』(공저),『文學硏究の窓をあける』(공저), 『古典の未來學』(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본에서는 ‘선조(先祖)’라는 말을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이해한다. 대체로 이를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한쪽은 우선 문자를 통해서 이 말을 알게 된 지식인들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보통 맨 처음에 가문을 일으킨 한 사람만을 선조라고 생각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아주 오래 전 시대에 활약했던 사람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문자면에서는 조금도 무리가 없는 해석이며, 또 가끔 이야기에 등장하는 것도 그처럼 이름이 알려진 사람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가계도에 맨 처음으로 이름이 적힌 인물을 가리켜 ‘선조는 누구누구’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다른 한쪽, 어릴 때부터 이 말을 듣고 자라나 옛날 사람들의 심정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나중에 문자를 이해하고 그 용법을 배우게 되었더라도 결코 그런 식으로 선조라는 말을 이해하지는 않는다. 양자 사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후자에 속하는 사람들이 선조는 반드시 제사(祭)를 지내야 하는 존재, 그리고 자신들의 집에서 제사를 지내지 않으면 어느 누구도 제사를 지내주지 않을 영혼으로 간주한다는 점이다. 즉 선조는 반드시 각각의 집안에 속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 점에 대해 명백히 단언한 사람은 많지 않지만 그 심정은 언제나 이 말을 사용할 때에 드러난다. 그 점을 나는 아주 오랫동안 주의 깊게 듣고 있었다. 다음의 사례는 내가 최근에 경험한 일이다. 이바라기 현(茨城縣) 우치하라(內原)라는 곳에 있는 농민도량(農民道場)에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독농가(篤農家)들 중에서, 특히 구가(舊家)의 주인만을 각 현(縣)에서 십여 명씩 초대하여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들 중에는, 자신이 이십 몇 대째가 된다고 하는 사람의 경우가 오래된 편이고, 그 밖에는 대부분이 십오 대 또는 십팔 대가 고작이었다. 그런데 유독 한 사람만이 육십 몇 대째 내려오는 집안이라고 대답을 하였다. 깜짝 놀라 자세히 물어 보았더니 그 집안은 아주 상세히 기록된 가계도가 있어서, 간무 천황(桓武天皇) 시대부터 세대를 계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헤이시(平氏)는 간무 천황에서 비롯되었다. 일본 전국에 흩어져 있는 다이라라는 성(姓)을 가진 집안은 모두 그 후예들이라는 사실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는 외람되게도 천황의 조상이기 때문에 천황가의 적통 이외에는 간무 천황을 세대에 넣어서 헤아리는 집안도 없거니와 제사를 지내는 집안도 없는 것이다. 간혹 이 같은 혼동이 발생하는 이유는 바로 선조에 대해서 서로 다른 두 가지의 해석이 가해졌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문자 교육이 진전됨에 따라 전자의 의미가 강하게 침투하였지만 사실 이 같은 해설은 새롭고 단순하다. 그 때문에 나는 주로 다수의 국민들이 생각하는 선조, 어느 때부터라고 할 것도 없이 옛날부터 그렇게 정하고서 게다가 확실하게 그것을 기록하지도 않고, 따라서 세상이 변해감과 동시에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점차로 잘못 이해했을 지도 모르는 옛날 무학자들의 해석에 주력하여 설명해보고자 한다.
---「1. 두 가지 해석」중에서


일본에는 후지와라(藤原)라는 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헤이케(平家) 집안의 다이라(平) 성을 사용하는 사람들보다도 몇 배나 많다. 확실하게 증명할 수 있는 경우만도 몇 십만이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백만이 넘을지도 모른다. 예부터 후지와라 성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유력한 정치가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사례도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나라(奈良)에 있는 가스가 대사(春大日社)와 가와치(河內)에 있는 히라오카 대사(枚岡大社) 이 두 곳의 관폐대사(官弊大社)를 비롯하여, 이를 권청(勸請)하여 여러 지방의 신사(神社)에서 제사를 지내는 아마쓰고야네노미코토(天?屋根命)라는 신의 후예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신을 후지와라 집안의 선조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그뿐만 아니라 처음으로 후지와라라는 성을 조정에서 하사받은 가마타리(鎌足)가 저명하고 어떤 후지와라씨도 그 후예가 아닌 사람이 없을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가마타리를 선조로서 제사 지내고 있는 집안도 들어본 적이 없다.
---「2. 한 가지 작은 실제 사례」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