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3738030
· 쪽수 : 170쪽
· 출판일 : 2025-01-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21
Part 1. 유대교 전통의 아브라함과 복의 개념
1장. 구약성서에 나타난 아브라함과 복(창 11:24-25:11) ★ 27
2장. 신구약 중간기에 나타난 아브라함과 복 ★ 41
Part 2.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아브라함과 칭의의 복
3장. 갈라디아 교인들의 회심과 바울의 선포(갈 3:1-5) ★ 53
4장. 대적자들의 복음과 아브라함의 할례(갈 1:6-10, 창 17:9-14) ★ 69
5장. 아브라함의 믿음과 율법의 저주(갈 3:6-14) ★87
Part 3.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아브라함과 약속의 복
6장. 아브라함의 자손에 대한 약속-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갈 3:15-22) ★ 109
7장. 아브라함의 두 아들과 자유의 복음(갈 4:21-31) ★ 127
8장.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의 아브라함 상(像) 비교 ★ 143
에필로그 ★ 153
참고문헌 ★ 158
저자소개
책속에서
갈라디아서의 ‘아브라함의 복’이라는 개념을 추적하여 바울의 복음의 신학적 함의 및 그와 갈라디아 교회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규명한다. 전통적으로 갈라디아서의 연구는 대적자들이 선포한 ‘다른 복음’에 집중해서 수행되어 왔으나 그것이 바울의 글 안에 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을 뿐이기에, 필연적으로 소위 ‘거울 읽기’(mirror reading)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다. 대적자들의 요구의 중심에 할례가 있었다는 점에서, 아브라함 모티프는 그들 복음의 핵심이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이에 따른 갈라디아서 3-4장의 반박 또한 주로 이 주제에 할애되고 있다는 점에서, 아브라함이라는 인물은 갈라디아서의 논쟁의 중심부에 있었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 프롤로그 -
아브라함 언약은 후손들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다. 그 영향은 하나님과 특별한 백성이라는 그에 대한 자기들의 정체성과 언약을 계승해 주는데 있어 분명한 확신을 준다. 아브라함 언약은 태초에서 아브라함, 아브라함에서 그리스도, 그리스도에서 우리에게까지 아브라함의 언약이 모두 다 성취된다.
- 1장 구약성서에 나타난 아브라함과 복(창 11:24-25:11) -
우리의 각별한 관심을 끄는 대목은, 갈라디아서 3장 외에도 로마서 4장에서 아브라함 모티프가 다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두 곳에서 모두 바울은 아브라함을 부인하지 않고, 아브라함을 신앙의 모범으로 제시한다. 왜냐하면 아브라함이 유대교에서 율법에 대해 순종을 할 뿐만 아니라, ‘믿음’의 모범 자체로 각인된 존재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믿음' 과 ‘행위'가 유대교에서 당시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 8장.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의 아브라함 상(像)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