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3869253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
들어가는 글
Chapter 1. 돈에 대한 이해
Chapter 2. 돈의 역사
Chapter 3. 인플레이션
Chapter 4. 법정화폐의 문제
Chapter 5. 돈과 정치
Chapter 6. 부패한 돈의 도덕적 결과
Chapter 7. 악한 돈은 어떻게 교회를 타락시켰나
Chapter 8. 비트코인, 더 도덕적인 돈
Chapter 9. 돈의 구원
감사의 글
감수 · 출판기획자의 말
옮긴이의 말
저자 소개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금으로 뒷받침되는 지폐는 금이 지닌 많은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화폐의 가장 중요한 속성인 희소성을 국가가 통제하도록 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져왔습니다. 예상대로 미국은 금고 속에 보유하고 있는 금보다 훨씬 많은 달러를 발행했습니다. 1971년에 미국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금의 태환을 “일시적으로” 중지함으로써 이 사태는 정점에 이르렀습니다. 이 일시적인 태환 정지는 곧 영구적인 조치가 되었습니다. 달러는 더 이상 금으로 교환되지 않지만, 여전히 각국 중앙은행의 금고에 준비자산으로 보관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이 부도덕한 조치는 돈과 금의 연결을 끊고 전 세계의 사람을 금융 노예의 길로 이끌었습니다. _ 돈의 역사
회계적으로 적자 상태가 되면 교회는 예산을 줄입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교회를 떠나게 되고 교회의 예산은 더욱 줄어듭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많은 교회가 느리고 고통스럽게 죽어갑니다. 따라서 이런 교회들은 헌금을 내는 성도를 최대한 많이 유지하려는 압박을 받습니다. 성도가 떠나는 것이 곧 악순환의 시작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교회는 다른 수단을 동원해 수입을 만들려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교회를 다른 목적으로 빌려주거나 심지어 건물 일부를 팔 수도 있습니다. 이런 행동을 하는 교회는 교회라기보다 은행을 위해 일하는 부동산 투기꾼에 가깝습니다. 교회가 사역보다 빚을 갚는 데 집중하게 되며, 이는 교회가 채권자의 노예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_ 악한 돈은 어떻게 교회를 타락시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