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쿄 미학

도쿄 미학

(이키즘, 세련된 도시인의 멋)

최태화 (지은이)
책과함께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쿄 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쿄 미학 (이키즘, 세련된 도시인의 멋)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94263395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5-04-15

책 소개

일본에는 이른바 3대 전통 미학이라는 개념이 있다. 헤이안 시대 귀족의 미의식 ‘모노노아와레’, 에도 시대 지배계급의 미의식 ‘와비사비’, 그리고 서민의 미의식 ‘이키’다. 이 책은 그중 ‘이키’라는 미의식에 방점을 두고, 그 발현과 대중문화로서 지위를 획득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목차

시작하며: 도시에서 피어난 감수성, ‘이키즘’을 향한 항해

1장 일본의 3대 전통 미학: 모노노아와레, 와비사비 그리고 이키
1. 귀족의 미의식 ‘모노노아와레’
2. 무사의 미의식 ‘와비사비’
3. 서민의 미의식 ‘이키’

2장 ‘이키’의 공간과 그 주인공: 대도시 오에도와 에도 시민 에돗코
1. 에도의 탄생과 도시적 특수성
2. 참근교대와 소비사회의 형성
3. 재난의 아이러니, 화재는 에도의 꽃
4. 도시의 특징을 갖게 되는 시타마치 풍경
5. ‘이키’의 주인공, 에돗코의 탄생

3장 비일상의 일상, 일상의 비일상: 에도의 미, ‘이키즘’
1. 비일상의 일상, 유곽
2. 일상의 비일상, 가부키
3. ‘이키’로 표현되는 에도의 미
4. ‘이나세’ 스타일의 합체
5. 혼돈에서 태어난 쾌락: 대중문화는 왜 두려움이 되었나

4장 20세기 도쿄, 대중미학의 변화
1. ‘이키하고 이나세한’ 임협영화
2. 시대에 뒤처진 에돗코에 대한 찬가: 〈남자는 괴로워〉
3. 〈도쿄 러브스토리〉를 통해 본 20세기 후반 도쿄의 도시미학
4. 사라진 듯 남아 있는 것들: 광고가 기억한 ‘이키’

5장 21세기 에도도쿄로의 도시재생과 ‘모던 이키즘’
1. ‘쿨 재팬’ 프로젝트와 ‘이키’
2. ‘일본박’ 프로젝트와 〈히노요진〉의 ‘이키’, ‘이나세’
3. 도쿄의 중심으로 돌아오는 시타마치
4. 도쿄올림픽과 ‘모던 이키즘’

6장 한국 도시미학의 전개

나가며: ‘이키즘’에서 바라본 도시의 감수성


참고문헌

저자소개

최태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군산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도쿄대학교 대학원에서 일본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19세기 중반 일본 대중소설과 대중문화이며, 최근에는 도시문학과 소설 속 광고(PPL)의 미학과 효과에 주목해 일본·서양·한국문학을 아우르는 비교 연구를 진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 《슌스이닌조본 연구: 동시대성을 중심으로(春水人情本の研究: 同時代性を中心に)》, 함께 지은 책으로 《에도문학사전(江戸文学事典)》, 《닌조본입문(人情本入門)》, 《일본 요괴문화 상품이 되다: 더 파울린 프로젝트 2》, 《일본인의 질병대책과 의료현장: 더 파울린 프로젝트 3》, 《동아시아 문학 속 상인 형상》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군산안내1915》가 있다. 2016년에는 BK21플러스 우수인력 부총리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1장 일본의 3대 전통 미학: 모노노아와레, 와비사비 그리고 이키
“이성 간의 통로로서 설치되어져 있는 특수한 사회”라는 모호한 표현을 두 글자로 줄이면 ‘유곽’이 된다. ‘와비사비’의 공간이 차를 마시는 다실이었다면, ‘이키’의 공간은 술을 마시는 유곽이었던 것이다. 유곽이 문화의 중심이었다니, 우리나라 사람들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일 것이다. 하지만 분명 유곽은 에도 시대 평민문화의 중심 가운데 하나였다. 메이지 시대의 엘리트들이 에도의 대중문화를 서양인들에게 감추고 싶은 저속한 문화라고 여긴 것도, 그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는 면이 없지 않을 것 같다.


2장 ‘이키’의 공간과 그 주인공: 대도시 오에도와 에도 시민 에돗코
에도 시민들이 삶을 즐기려 했던 욕망은 대중문화예술을 더욱 정제되고 세련된 방향으로 나아가게 만들었다. 대중에게 멋있다고 공감을 받는 패션, 행동, 음식문화 등이 생겨나고 이를 추종함에 따라, 문화가 생겨나고 유행하고 사멸하는 사이클이 동작한다. 에돗코 문화는 도시적 세련미를 더해갔다. 에도는 문화의 중심지였고 에도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모든 종류의 문화적 유산은 정비된 도로와 발단된 출판시스템을 통해 일본 전역으로 퍼져갔다.


3장 비일상의 일상, 일상의 비일상: 에도의 미, ‘이키즘’
진짜처럼 보여야 하고 진짜처럼 보이지만 진짜가 아닌 사랑을 연기하는 비일상적 일상이 벌어지는 유곽과 현실처럼 보이지만 비현실적이고 비일상적이지만 일상처럼 벌어지는 연기(演技)를 하는 가부키 극장을 묶어서 나쁜 곳이라는 의미의 아쿠바쇼(悪場所)로 불렀던 것은 참으로 절묘한 표현이 아닐 수 없다. 유곽은 가부키와 함께 나쁜 곳이지만 없어서는 안 될 필요악으로서, 비일상적 상황을 다루는 일상적인 공간으로 존재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