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무예/무술
· ISBN : 9791194302063
· 쪽수 : 482쪽
· 출판일 : 2025-03-06
목차
제1장 서문 1
제2장 택견사 개론 17
제1절 수박手搏과 수박희手搏戱를 통해 본 택견의 관계 19
1. 들어가기 21
2. 수박, 수박희의 민중화 25
3. 수박과 수박희의 차이 38
1) 『고려사』 - 수박희手搏戱 38
2) 『고려사』 - 수박手搏 40
4. 수박, 수박희와 택견과의 관계 46
5. 맺음말 51
제2절 전통무예 ‘탁견’ 용어에 관한 연구 53
1. 들어가기 55
2. 문헌(1778~1964)에 나타난 ‘탁견 용어’의 담론 58
1) 탁견은 일반명사인가? 혹은 고유명사인가? 58
2) 탁견과 태껸 그리고 택견의 용어에 대한 소론 71
3) 탁견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해석의 의미에 대한 소론 77
4) 탁견의 한문표기와 의미에 대한 소론 82
5) 택견의 ‘이칭異稱’에 대한 소론 84
3. 맺음말 89
제3절 한국 전통무예의 다면성 93
1. 들어가기 95
2. 유희로서 무예와 아동대 99
1) 아이의 유희로서 무예와 국난國難시 군사 하위조직인 아동대 99
2) 수박과 택견 그리고 돈내기 110
3. 맺음말 114
제4절 택견의 수련계층에 관한 연구 117
1. 들어가기 119
2. 택견 수련자에 관한 담론 125
1) 석전石戰과 택견 129
2) 몰락한 양반 133
3) 군인과 택견 135
4) 왈자와 택견 138
3. 맺음말 144
제5절 서울의 무형유산 결련結連태껸과 석전石戰의 상관성 연구 149
1. 들어가기 151
2. 서울의 무형유산 결련태껸과 석전石戰의 상관성 155
1) 서울 결련태껸과 석전의 공시성 155
2) 서울의 결련태껸과 석전石戰에 참가한 신분과 인물 158
3) 서울의 결련結連태껸과 석전石戰의 편싸움방식 167
3. 맺음말 178
제6절 조선 말기 외국인의 기록을 통해 본 택견 183
1. 들어가기 185
2. 택견과 관련된 기록 188
3. 격투기와 관련된 기록 198
4. 맺음말 211
제7절 국외 항일 독립운동과 택견과의 관계 215
1. 들어가기 217
2. 국외의 항일 독립운동과 택견 220
1) 하와이와 멕시코의 광무군과 택견의 관계 220
2) 신흥무관학교 교과목의 유술柔術과 택견과의 관계 229
3. 맺음말 236
제8절 택견의 일제강점기 전후의 변천과 독립유공자에 관한 연구 241
1. 들어가며 243
2. 항일 독립운동과 택견 247
1) 일제 강점기 민족문화말살정책에 의한 택견의 변천과정 247
2) 독립 운동가와 택견과 관계있는 인물 259
3) 그 외 독립운동과 관련된 택견의 인물 267
3. 맺음말 270
제9절 북한의 조선사회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맨손무술에 관한 연구 273
1. 들어가기 275
2. 북한의 조선사회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무술련마와 체력 단련놀이 278
3. 북한의 조선사화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맨손무예 284
1) 북한의 수박과 수박희에 관한 인식 284
2) 북한의 날파람에 관한 인식 291
3) 북한의 태권도에 관한 인식 294
4) 북한의 택견에 관한 인식 297
3. 맺음말 299
제3장 택견 기술의 비교 연구 301
제1절 택견(태껸) 단체의 품밟기 동선과 용어에 관한 연구 303
1. 들어가기 305
2. 품밟기 동선의 원리 비교 310
1) 결련택견협회 313
2) 대한택견연맹(現, 대한택견회) 314
3) 한국택견협회 316
4) 현암위대태껸보존연구회(現, 세계위대태껸연맹) 320
3. 품밟기 용어의 비교 327
4. 맺음말 330
제2절 택견(태껸) 단체의 품밟기 원리에 관한 연구 333
1. 들어가기 335
2. 품밟기 원리의 비교 338
1) 결련택견협회 340
2) 대한택견연맹(現, 대한택견회) 343
3) 한국택견협회 344
4) 현암위대태껸보존연구회(現, 세계태껸연맹) 349
3. 맺음말 357
제3절 택견의 원형복원을 위한 자세의 원리 분석 359
1. 들어가기 361
2. 택견 자세姿勢의 분석 364
1) 택견 자세의 원리 비교 364
2) 택견의 원형복원을 위한 자세 분석 369
3. 맺음말 378
제4절 택견의 원형복원을 위한 손질 분석 379
1. 들어가기 381
2. 송덕기와 신한승의 손질 비교 분석 385
1) 송덕기 택견의 손질 분석 385
2) 신한승 택견의 손질 분석 394
3. 택견 단체의 기본 수련과정의 손질 비교분석 402
1) 택견 단체의 손질 분석 402
2) 택견 단체의 원형복원을 위한 손질 방안 405
4. 맺음말 406
제5절 택견의 원형복원을 위한 손질 원리 분석 409
1. 들어가기 411
2. 택견 손질의 원리 분석 414
1) 손질의 보폭步幅과 팔의 각도의 원리 분석 414
2) 손질의 효율성을 위한 짧고 바닥을 끄는 보법 415
3. 손의 모양에 따른 손질의 용도와 원리분석 422
1) 손의 모양과 손질 422
2) 송덕기 손질의 손 모양 425
3) 신한승 손질의 손 모양 433
4. 맺음말 436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개정 증보판에 붙이는 말
‘택견 근현대사’와 관련된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에 살을 덧붙여 이 저서를 출간한지 벌써 4년이 흘렸습니다. 그 동안 ‘택견사’와 관련된 새로운 천착이 빈약한 실정입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했듯이 택견의 미래를 위해서 택견사의 역사연구가 요구되는 바입니다. 역사를 정리하는 일은 과거와 현재가 소통하는 길이며, 더 나은 미래로 가는 길입니다. 택견문화는 역사입니다. 그 역사 속에 뿌리는 전통입니다. 그 뿌리가 튼튼해야 역사가 살고 문화가 꽃 피거늘 그 시대 사람들은 그 문화의 꽂을 보고 역사를 뒤돌아봅니다. 전통이란 역사적 생명력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재탄생해 나가는 것입니다.
백범 김구 선생의 애송시 ‘夜雪야설’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하야 눈 덮인 들길을 걸어갈 제不須胡亂行불수호란행하며 행여 그 걸음 아무렇게나 하지 말세라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은 오늘 남긴 내 발자국이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이니라 마침내 뒷사람의 길이 되리니
-이양연 野雲-
이 저서를 출간한 후 후속연구과정에서 고서古書의 연도표기 오기誤記를 그대로 인용하는 사례를 보면서, 백범 김구 선생의 ‘야설’을 생각하며 회한하고 반추하며 ‘개정 증보판’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출간한 후 경향신문(2022)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에 “일러줄거야. 네 남편에게... <청구영언>의 19금 노래가 보물이 됐네”란 제목 하에 아래 기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김천택의 『청구영언』(1728)이 가집의 전범이었습니다. 그 때문에 이후 타자가 엮은 가집의 책명을 『청구영언』으로 짓는 일이 잦았습니다. 그 중 육당 최남선(1890~1957)이 소장한 『청구영언』이 진짜 김천택 편 『청구영언』으로 소개되었습니다. 책명도 『청구영언』인데다가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서문과 발문을 그대로 끌어가 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육당본>은 김천택보다 100년 이상 뒤인 19세기에 편찬된 이른바 ‘유사청구영언’임이 밝혀졌습니다.
북한의 『청구영언』에서 ‘탁견’을 연구한 리재선, 선희창, 조남훈, 한중모는 ‘1727년’에 편찬한 것으로 기록하고, 조선대백과사전 등에 ‘17세기 말~18세기’에 청구영언을 편찬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 학자도 청구영언은 1728년 편찬하여 김민순의 ‘탁견’을 기록한 내용으로 보아 1700년 전후시기로 보기도 했습니다.
고서는 필사본과 목판본 등으로 전해지면서 탈자나 오자 등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여러 판본의 교차검증 작업을 통해서 사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택견의 기록은 정조 22년 이만영의 『재물보才物譜』(1798)가 최초의 기록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그 이전의 기록으로 이운영의 『임천별곡林川別曲』(1780년경), 未詳 『백화당가화당가』(1790년경) 그리고 ‘택견’으로 표기된 최초의 기록인 『국한회어國漢會語』를 증보하였습니다.
아직 택견의 어원에 대해서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한 문제가 남아있으며 탁견, 태껸, 택견 등 다양한 용어로 기록되어 있어 혼란을 주고 있습니다.
용어用語는 시대적 상황과 환경 변화의 흐름에 따라 가변적임이 분명하고 변용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이러한 현상은 분명 어떤 영향에 따른 통시적인 흐름이다.
이 책을 통해 좀 더 원형에 가까운 택견이 있다는데 관심을 가져 주시고, 더 많은 연구가나 학자들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봅니다.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의 박사 후 국내연수 지도교수로 아낌없는 지도편달을 해주신 나영일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그리고 택견의 이론과 실기를 아낌없이 새로운 지식을 사사해주신 고용우 선생님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택견서적 출판에 남다른 애정을 가진 도서출판 글샘 이기철 대표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