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5002900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3-01-14
책 소개
목차
서문 3
1. 우리가 과소평가하고 있는 우리 민족의 우수한 자질 -15
1) 우랄알타이어족의 개척자 - 15
2) 반만년 동안 민족과 국가를 보전한 독립성 강한 민족 - 24
3) 불의에 항거하는 민중 행동가 - 32
4) 학문을 우선시 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성을 중시 - 56
5) 유전학적으로도 우수하여 지적 능력과 체력이 뛰어남 - 66
6) 세계최고를 끊임없이 추구하는 욕심 많은 한국인 - 72
7) 빠르고 부지런하다 - 79
2. 한국의 지정학적 측면에서의 숨은 경쟁력 - 88
1) 한국의 지정학적 환경 - 88
2) 한국의 지정학적 측면에서의 경쟁력 -99
3. 세계 주요 국가들의 숨겨진 약점 - 128
1) 미국의 강점과 약점 -128
2) 중국의 강점과 약점 -153
3) 일본의 강점과 약점 -177
4) 인도의 강점과 약점 -191
4. 우리가 모르고 있는 한국기업의 경쟁력 -208
1)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인적자원이 풍부하다 - 212
2) 우수한 사회간접자본으로 높은 원가경쟁력 - 223
3) 기간산업의 발달로 원재료와 부품의 조달이 원활 - 227
4) 소재와 기술의 일본과 최대 시장의 중국이 인접 - 231
5) 돈을 중요시하고 세계최고가 아니면 만족하지 못하는 기업가 정신 - 232
1. 사람은 무엇을 위해 사는가? - 237
1) 철학, 종교, 과학 - 239
철학과 과학 239 / 철학과 종교 240 / 철학의 영역 241
2) 사람이 사는 목적 - 243
서양철학에서 보는 인생관 243 / 동양철학에서 보는 인생관 253 /
종교 철학 261
3) 행복한 삶이란? - 266
종교에서 말하는 인생관 266 / 철학에서 말하는 인생관 268 /
공공선을 추구함으로써 행복한 인생관 272
2. 공공선을 통한 행복한 삶과 이를 위한 실천 항목 - 274
1) 법과 도덕윤리 - 275
2) 결혼과 독신 그리고 사랑 - 280
3) 사치와 절약 - 284
4) 이기주의, 이타주의, 정의, 선(善) - 290
5) 행복한 삶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 가치관들 - 294
3. 행복한 삶을 위한 실천 방안 -297
1) 직업의 선택 - 297
2) 결혼 -312
3) 직장생활 - 315
4) 자기집 마련 - 342
5) 자녀교육 - 350
1. 장기 가정 경제 계획의 수립 -355
1) 계획수립 4대 원칙 -357
2) 계획 수립 하기 -357
2. 10억 부자 되기 실천 방안 - 365
1) 먼저 자신을 닦아야 - 365
2) 투자와 소비를 구분하자 - 387
3) 소비성향을 낮춰라 - 392
4) 주거비를 낮추어라 - 399
5) 자동차는 중고차로 시작하라 - 405
3. 주식투자 -418
1) 왜 주식투자 인가? -418
다른 투자수단은 쉽게 접근이 어렵다. 418 / 임금 수입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420 / 주식은 제로섬 게임이 아닌 플러스섬 게임이다. 422 / 한국 기업은 투자 대상으로 매력적이다 422
2) 주식 투자 방안 - 424
장기 투자를 하라 -424 / 종목보다는 시기를 사라 - 426 / 오를 종목보다는 더 이상 빠지지 않을 종목을 사라 - 431 / 5종목 이상 분산투자하라 - 435 / 상시 일정한 현금을 보유하라 - 446 / 떨어지는 칼날은 잡지 마라 - 447 / 기관과 외국인 등 큰손의 동향에 편승하라. - 448
참고 도서 450
저자소개
책속에서
- 그러나 냉철히 따져 보자. 우리민족의 역량 즉, 인구 수와 농지가 적은 산악지역인 영토 등을 고려하고, 상대가 중국이라는 대국 임을 고려한다면 우리의 대외 정벌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음을 잘 알 수가 있다
- 우리가 대국이라 생각하는 중국도 최근 2000년 역사 중에 무려800여 년을 이민족의 지배 하에 있었다. 중국이나 유럽의 역사를 되짚어 본다면 우리가 침략을 300번 아니 900번 받고도 이렇게 굳건히 건재하다는 사실이 엄청난 것임을 새삼 알 수가 있다. 물론 우리 민족도 병자호란때 임금이 항복하는 삼전도의 치욕이 있었지만 이는 반만년 역사에 거의 유일한 경우이며 중국의 치욕사에 비하면 조족지혈이다
< 우리가 과소 평가하고 있는 우리의 자질 중에서>
- 미국은 9.11테러로 대변되는 이슬람권의 테러 위협에 많은 국력을 소비하고 있으며 그 기저에 뿌리깊은 이슬람권과의 종교적인 분쟁이 자리잡고 있어 단 시간 내에 해결이 어려워 보인다. 미국은 회사나 조직의 이익 보다는 개인의 사생활을 중요 시하는 문화를 가져 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진다. 미국은 의료비 지출이 세계 제일이다. 높은 의료비와 의료보험체계의 복잡성으로 의료혜택 사각지대가 많은 의료체계는 국민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소이며, 세계 최고의 국민 비만도는 사회적 부담이다.
- 중국은 수 천년의 역사에서 터득한 수 많은 권모술수가 책략으로 대접받는 사회다. 이런 권모술수는 모두 정도가 아니고 정의롭지가 않아서 사회에 불신이라는 폐해를 준다. 이런 풍조는 권모술수가 대접받는 오랜 역사에서 시작되었으며 중국에서 살고 있는 50여 개 이상의 민족의 말과 습관이 각각 다르다는 것도 한 이유다. 근년에 있었던 문화대혁명은 이런 불신의 문화를 더욱 심화시켰다. 중국의 역사를 보면 수 많은 병법과 책략이 풍미한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뇌물이다. 중국은 뇌물에 대해 죄악시 하는 경우가 없고 오히려 잘만 사용하면 최고의 수단이 된다고 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가들의 숨겨진 약점 중에서>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려면 삶의 목적과 방향을 정해야 한다. 그래야 언행과 생각의 주관이 서며 일관성 있는 삶을 살 수가 있는 것이다. 전통적인 동양사상인 유교에서는 사람이 살아가는 목적과 절차에 대하여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동 서양의 오랜 철학과 사상의 역사를 보면 주류가 공공선이나 절대선을 우선하는 인생관이다. 인류공동의 가치와 복지 행복을 추구하여 개인의 삶을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라 하고 있다. 동양의 유교가 그렇고 서양의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렇다. 근세나 현대에 와서도 공공선 우선의 철학이 주류다. 근세철학의 거두인 베이컨과 칸트도 공익과 도덕을 강조했으며 조선의 실학자인 정약용도 실질적 복지를 주장한다. 현대 미국을 이끈 퍼스, 듀이, 롤스도 실질적 이익과 공공의 정의를 말 했으며, 한국의 황장엽은 공익을 위해선 개인의 이익을 제한할 수 있다고도 한다.
<사람은 무엇을 위해 사는가? 중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