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TV/라디오 > PD/탤런트/방송작가/성우
· ISBN : 9791195113729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5-10-26
책 소개
목차
Prologue
Case #01 _ 장근석 (Jang Keunsuk)
스타성공학 : 선택과 준비, 전략으로 성공 거둔 스타
아시아의 프린스
Case #02 _ 송혜교 (Song Hyekyo)
스타성공학 : 그녀의 성공 = 기회+노력+행운
청순미로 대륙을 사로잡은 ‘한류 여신’
Case #03 _ 손예진 (Son Yejin)
스타성공학 : 대중성과 흥행성, 연기력이 최고인 여배우 톱스타!
충무로 흥행 퀸
Case #04 _ 김태희 (Kim Taehee)
스타성공학 : 연기자로서 완벽한 성공을 위해 묵묵히 노력하는 스타!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그녀
Case #05 _ 장나라 (Jang Nara)
스타성공학 : 벼락스타에서 진정한 한류스타까지
명랑소녀, 중국 ‘소천후’가 되다
Case #06 _ 하정우 (Ha Jeongwoo)
스타성공학 : 배경 아닌 실력으로 일군 성공
마성의 매력을 지닌 ‘천만 배우’
Case #07 _ 이승기 (Lee Seunggi)
스타성공학 : 끊임없는 노력만이 성공 비결
최고의 트리플 크라운 스타
Case #08 _ 이민호 (Lee Minho)
스타성공학 : 아시아 최고 한류스타가 된 원동력은?
‘꽃보다 예쁜’ 남자
Case #09 _ 서인국 (Seo Inguk)
스타성공학 : 한 번의 기회를 놓치지 않은 준비된 스타
‘만능 엔터테이너’
Case #10 _ 수지 (Suzy)
스타성공학 : 스물한 살의 상상할 수 없는 성공의 원동력은?
‘국민 첫사랑’의 아이콘
Case #11 _ 김우빈 (Kim Woobin)
스타성공학 : 철저한 준비로 데뷔 2년 만에 성공한 스타
21세기 한국의 ‘제임스 딘’
Case #12 _ 나영석 (Na Youngsuk)
스타성공학 : 예능 트렌드를 선도하는 최고의 스타 연출자! 그 힘은?
예능계 ‘미다스의 손’
저자소개
책속에서
● 12인의 스타, 그들의 성공 비결은?
장근석 - “선택과 준비, 전략으로 성공 거둔 스타”
장근석은 대중문화의 트렌드를 읽어내는 탁월한 감각이 있다. 이 감각을 활용해 인기의 주류를 잡아내고 그 흐름을 잘 타는 스타로 정평이 나 있다. - “인기는 맥주거품 같은 것이다. 한창 높았다가 이내 사라질 수 있다. 인기는 순전히 내 책임이다.” 장근석은 이처럼 말을 하지만 대중문화의 맥을 잡고 이에 대응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송혜교 - “그녀의 성공 = 기회+노력+행운”
노희경 작가는 - “송혜교는 참 오랜만에 만난 진정성 있는 배우입니다. 드라마 극본을 집필하면서 수많은 배우와 스타들을 만났지만 송혜교만큼 성실하고 열심히 하는 배우를 본 적이 없습니다. 분명 연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지만 그 사실을 알고 개선하려는 노력은 눈물겹습니다”라고 말했다. 송혜교의 ‘성공의 원동력’ 중 하나가 노력이라는 것을 적시해준다.
손예진 - “대중성과 흥행성, 연기력이 최고인 여배우 톱스타!”
스타로서 대중성과 연기자로서 연기력을 고루 갖춘 손예진이 드라마와 영화계에서 최고의 스타로, 그리고 흥행을 담보하는 여배우로 자리를 굳건히 지키는 것은 첫 번째 기회를 잘 살려 성공을 거둔데다 그 성공과 인기에 안주하지 않고 계속 정진하며 강점은 더욱 강화하고 단점은 보완해 나갔기 때문이다.
김태희 - “연기자로서 완벽한 성공을 위해 묵묵히 노력하는 스타!”
연예인으로서 진정한 성공을 거두고 난공불락의 경쟁력을 갖추며 장수하려면 약점인 연기력을 갖춰야 한다. 이 때문에 김태희가 지난 2013년 방송된 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부터 눈에 띄게 연기력을 진화시키고 있다. 김태희는 말했다. - “‘최고의 미녀’라는 말보다 ‘연기를 참 잘하는 배우’라는 말을 시청자와 관객으로부터 듣고 싶어요.”
데뷔 15년차에 접어든 김태희가 이제 진정한 성공을 위해서 연기력을 갖추어 나가고 있다.
장나라 - “벼락스타에서 진정한 한류스타까지”
장나라만큼 단번에 스타가 된 경우는 매우 이례적이다. 그리고 장나라만큼 경쟁력과 생명력을 지닌 가장 이상적인 한류스타의 길을 걷는 스타도 드물다. 데뷔하자마자 스타로 부상했고 가장 바람직한 한류스타로서 명성을 쌓아가고 있는 장나라의 성공 비결은 무엇일까?
시대와 호흡하는 이미지 창출, 실력과 자질, 진정성 있는 전략, 그리고 팬을 아끼고 스타로서 대중에게 받은 사랑을 사회에 환원하는 자세가 오늘의 장나라를 있게 했다.
하정우 - “배경 아닌 실력으로 일군 성공”
실력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하정우의 연기자로서 자존심 때문이었다. 처음 딱딱하고 어색했던 연기는 강렬한 캐릭터에서부터 일상적 캐릭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하며 캐릭터의 변주를 잘함은 물론, 역할에 진정성을 불어넣는 연기자로 자리 잡았다.
이승기 - “끊임없는 노력만이 성공 비결”
이승기의 또 다른 성공 비결은 젊은 나이에 스타로 부상한 뒤 스타병에 걸려 추락하는 다른 연예인과 차별화된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겸손하고 반듯한 생활과 자세를 견지했을 뿐만 아니라 사랑나눔 등으로 긍정적 모델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한 것도 성공의 큰 원동력이다.
이민호 - “아시아 최고 한류스타가 된 원동력은?”
이민호의 오늘 성공을 있게 한 또 다른 원동력은 대중문화와 스타의 존재기반인 대중과 팬의 트렌드와 욕구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스타로서의 바람직한 자세를 견지한 것이다. 스타가 된 뒤 인기와 명성에 안주하며 작품 활동을 하지 않고 광고 모델로만 나서며 명성만을 상품화하는 스타가 너무 많다. 하지만 이민호는 연기자로서 가장 중요한 작품을 통한 대중과 소통을 꾸준히 해왔다.
서인국 - “한 번의 기회를 놓치지 않은 준비된 스타”
기회포착과 함께 서인국의 성공 비결로 꼽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대중문화 트렌드’와 ‘문화산업적 요구’에 맞는 ‘적절한 활동전략 구사’다. 가수 오디션 출신 연예인들이 음악활동에 매진한 것과 달리 서인국은 일찌감치 연기에 발을 디디며 활동영역을 확장시켰다. 물론 연기자로의 진출 역시 철저한 준비를 한 뒤 이어졌다.
수지 - “스물한 살의 상상할 수 없는 성공의 원동력은?”
수지는 음악, 드라마, 영화 등 연이은 작품의 성공과 그 작품들을 통한 대중이 선호하는 이미지 창출, 그리고 조형된 이미지를 극대화한 마케팅 전략구사를 원동력 삼아 스물한 살의어린 나이에 상상할 수도 없는 연예계 성공신화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김우빈 - “철저한 준비로 데뷔 2년 만에 성공한 스타“
연기자로 데뷔한 지 2년 만에 톱스타로 부상한 김우빈의 성공 원동력은 무엇일까. 소속사 마케팅에서부터 개성적 외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가장 큰 원동력은 기회가 왔을 때 잘 포착한 것이다.
나영석 - “예능 트렌드를 선도하는 최고의 스타 연출자! 그 힘은?”
이것은 그야말로 발상의 전환이었다. 많은 연출자들이 실패할 것이라고 도전하지 않는 것을 역으로 신선하게 도전해 높은 관심과 트렌드를 이끌어냈다. 발상의 전환 역시 나영석 PD의 성공의 비결이기도 하다. 그리고 대중의 취향과 트렌드보다 한걸음 앞선 감각과 기획으로 새로운 유행과 트렌드를 창출하는 탁월한 능력 역시 나영석 PD가 최고의 스타 연출자로 우뚝 선 성공비결 중 하나다.
-본문 중에서-
스타의 시대다. 스타는 대중문화의 핵심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대중의 인식에서부터 라이프스타일 심지어 사람들의 가치관과 세계관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화의 대리자 역할도 하고
이데올로기를 강화 혹은 전복하는 기호이기도 하다.
스타 마케팅의 기제이자 국가 경제의 견인차 역할도 한다. 스타의 언어는 대중의 언어가 되고, 스타의 몸짓은 유행을 창출한다. 미디어학자 아서 아사 버거(Arther Asa Berger)는 스타는 사람들에게 모방할 모델을 제공하며 그래서 사람들이 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했다.
《스타》의 저자 에드가 모랭(Edgar Morin)은 ‘스타는 지식 제공자일 뿐만 아니라 인격 형성자이며 대중을 선도하는 자’라고 말했다. 더 나아가 영화비평가 파커 타일러(Parker Tyler)는 스타는 현대의 종교에 의해 채워지지 않는 욕망까지 충족시켜준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스타의 역할과 영향력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
스타로 성공한다는 것은 많은 것을 의미하며 시사한다. 스타의 성공 비결은 숱한 절망과 실패에 굴하지 않고 도전하는 자세에서부터 단점을 장점으로 전환하고 실력과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키며 최고의 정상에서도 자기 혁신을 꾀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수백만 명의 지망생과 수십만 명의 방송·연예인 중에서 이민호, 이승기, 나영석 등 치열한 경쟁을 뚫고 정상을 밟은 극소수의 성공한 스타와 그들의 성공의 원동력은 대중문화계에서 성공하려는 연예인, 방송인, 가수 등에게는 중요한 지침서가 될 수 있다.
-프롤로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