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515023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04-1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4
저자 서문 8
I. 시작하는 말 14
II. 고대 기독교회의 신경들
1 사도신경 22
2 니케아 신경 30
3 아타나시우스 신경 40
4 칼케돈 신경 48
III. 종교개혁 이후의 개신교 신앙고백
1 아우그스부르크 신앙고백서(1530년)
1) 신앙고백서 작성의 역사적 배경 65
2) 신앙고백서의 교리적 진술 71
2 스위스 신앙고백서(1536, 1566)
1) 제1스위스 신앙고백 (1536) 87
2) 제2스위스 신앙고백 (1566) 93
3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1560)
1) 역사적 배경 125
2) 신앙고백서의 신학적 원리 127
(1) 신앙고백서의 특징
(2) 신학적 원리들
3) 핵심사상 142
4 벨직 신앙고백서(1561)
1) 역사적 배경 146
2) 신학적 특성과 진술 150
3) 영향과 평가 165
5 도르트 신앙고백서(1619)
1) 역사적 배경 169
2) 신학적 특성과 진술 177
3) 영향과 평가 203
6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1647)
1) 역사적 배경 207
2) 신앙고백서의 특징 214
(1) 신학적 특징
(2) 실천적 특징
3) 신앙고백서의 교훈 223
7 스코틀랜드 신앙고백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비교 평가
1) 일반적 평가 247
2) 구체적 평가 248
3) 종합적 평가 253
IV. 한국 장로교회(합동)의 12신조와 신앙고백에 대한 전방
1 12신조의 역사적 배경 258
2 12신조의 장점과 단점 262
3 12신조의 종합적 평가 270
V. 나가는 말 275
참고문헌 280
책속에서
역사를 거치면서 성경의 진리로부터 얻은 가르침과 교리들을 신조나 신앙고백의 형식으로 표현하고 보존하면서 교회는 성경의 진리를 변증하기도 하고, 이단으로 정죄된 잘못된 성경의 해석과 교리적 주장들의 오류를 명료하게 반박하고, 무엇보다 성경의 진리를 신자들에게 가르치며 기독교회를 든든히 세우고 지켜왔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2017년 개혁교회의 고백서를 찾아 그 신학적, 실천적 함의를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한국개혁신학은 기독교회가 보존하고 가르친 역사적 신앙고백과 장로교회라는 교회 정체성 위에 세워졌다. 개혁교회로부터 영국, 스코틀랜드 장로교회까지 이어지며 발전한 신앙고백서들을 통해 한국 장로교회는 그
신앙적 기반을 든든히 세울 수 있었다.
사도신경의 내용에서 많은 부분이 기독론에 대해 소개하며 정리하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사도신경의 구성에서 교회의 지도자들은 시대의 요구를 외면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초대교회 당시 문제가 되었던, 가현설적 그리스도 이해, 즉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심으로 인성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인성이 아닌 환영을 취해 육체가 있는 것처럼 보였다는 주장에 대해 사도신경은 명백히 반대한다. 사도신경은 그 당시 신학적 이단을 배격하고, 명확한 교리를 성도들에게 가르치기 위한 도구였다.
사도신경은 세례식에서 사용되는 기도로 그리스도인이라면 반드시 믿어야 하는 바를 고백하고 있다. 그것은 성령으로 잉태되어 마리아를 통해 탄생하신 그리스도의 진정한 인성을 고백하며, 그 진정한 인성을 가지신 참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달리시고, 부활하심으로 우리에게 생명을 주셨고, 장차 다시 오실 것을 고백하는 것이다. 사도신경은 복음의 요체를 성도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했던 것을 기억하며, 오늘날의 한국 개혁교회도 참된 교리를 정확하게 또 명료하게 가르치는 교회로 서 가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