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95150250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1-09-13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저자 서문
I. 시작하는 말
II. 고대 기독교회의 신경들
1 사도신경
1)사도신경 읽어보기
2)사도신경 배경읽기
3)사도신경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2 니케아 신경
1)니케아 신경 읽어보기
2)니케아 신경 배경읽기
3)니케아 신경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3 아타나시우스 신경
1)아타나시우스 신경 읽어보기
2)아타나시우스 신경 배경읽기
3)아타나시우스 신경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4 칼케돈 신경
1)칼케돈 신경 읽어보기
2)칼케돈 신경 배경읽기
3)칼케돈 신경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III. 종교개혁 이후의 개신교 신앙고백
1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1530).
1)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 읽어보기
2)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 배경읽기
3)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2 스위스 신앙고백서(1536, 1566)
1)제1 스위스 신앙고백서 읽어보기
2)제1 스위스 신앙고백서 배경읽기
3)제1 스위스 신앙고백서 핵심 살펴보기
4)제2 스위스 신앙고백서 읽어보기
5)제2 스위스 신앙고백서 배경읽기
6)제2 스위스 신앙고백서 핵심 살펴보기
7)함께 더 생각해보기
3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1560)
1)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읽어보기
2)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배경읽기
3)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4 벨직 신앙고백서(1561)
1)벨직 신앙고백서 읽어보기
2)벨직 신앙고백서 배경읽기
3)벨직 신앙고백서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5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1563)
1)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읽어보기
2)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배경읽기
3)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6 도르트 신경(1619)
1)도르트 신경 읽어보기
2)도르트 신경 배경읽기
3)도르트 신경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7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1647)
1)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읽어보기
2)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배경읽기
3)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핵심 살펴보기
4)함께 더 생각해보기
IV. 한국 장로교회(합동) 12신조와 신앙고백의 전망
1 12신조 읽어보기
2 12신조 배경읽기
1)12신조는 왜 작성되었을까?
2)12신조의 특징과 목적은 무엇인가?
3)오늘날 1신조
3 12신조 핵심 살펴보기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책속에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라고 고백한다. 이 고백과 동시에 우리는 “그러면, 그리스도는 누구입니까?”라는 질문에 대답해야만 한다. 기독교 신앙은 단순한 감정적 동요를 넘어서, 진리를 향한 확고한 신뢰이다. 따라서 우리는 무엇을 믿는가를 알고 고백해야 한다. 우리가 앞으로 살펴볼 신앙고백서들은 바로 기독교 신앙을 명확한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기나긴 노력의 결과이다. 교리는 성경에 대한 체계적 정리이다. 그리고 신앙고백서는 교회가 성경에 근거한 교리들과 여러 신앙의 내용을 정리한 규범이다.
한국교회들이 보통 사용하는 사도신경에는 제외되어 있지만, 본래 고정된 형태로 전해진 사도신경에는 “음부(지옥)로 내려가사”라는 표현이 있다. 이 표현은 베드로전서 3장 19절 “그가 또한 영으로 가서 옥에 있는 영들에게 선포하시니라”에 대한 반영으로 보인다. 이 구절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4세기경으로, 루피누스의 글에서 나타난다. 이 구절은 지금까지도 세계 거의 모든 교회들의 사도신경 번역에 포함되어 있으며, 교회에서 고백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교회의 사도신경에는 왜 이 구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까?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는 왜 작성됐을까? 마틴루터가 비텐베르크 대학 게시판에 95개조 반박문을 붙임으로써 종교개혁이 시작되었다. 1517년, 이 작은 외침에서 시작된 종교개혁 운동은 개신교를 탄생시켰다.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회 사이의 신학, 교리 논쟁은 수 세기동안,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로마 카톨릭의 입장에서 볼 때 종교개혁은 교회의 분열이었지만, 그것은 분열이 아닌 참된 교회를 향한 개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