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집
· ISBN : 9791195550166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19-06-19
책 소개
목차
1. 入島祖_박정근
2. 사람없는 섬의 사람들: 귀도조가 쓰는 입도조 이야기_이나연
3. 누가 제주사람인가?_한진오
4. 정치생태학 관점에서 바라본 제주 자연과 入島祖 3세대_남수연
5. 거친 삶을 마주하는 정직한 연민의 시선, 박정근의 사진미학_남수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주의 자연이건, 사람이건, 혹은 조형물이건, 본디 제주 토박이라는 것이 있었던가. 사진 속 제주 입도조들은 이제 막 입도하여 제주 땅에 아직 뿌리를 박지 못한 채 이물감을 내뿜고 있다. 타이어가 점점이 박힌 중산간 소규모 테마파크에 있는 조악한 자유의 여신상, 그리고 해안가 신당에 있는 제주 사람들에게는 쓰레기에 불과한 현란하게 화려한 조화더미처럼. 시간이 경과하면서 청년세대 입도조도, 자유의 여신상도, 그리고 조화도, 야자수나 감귤이 원래 제주의 것으로 인식되는 것 마냥 제주 풍경에 붙박이로 스며들 것이다. 원래 그랬던 것은 없다.-박정근
의도적으로 발을 숨기거나 자르거나 어두움에 가려지도록 연출된 사진 속 입도조들의 초상은 하늘로 날아오르는 것인지 땅에 내려앉는 것인지 알 수 없는 어중간한 위치에 놓인다. 제주도의 특징적인 자연이나 인물이 속한 집이나 좋아하는 문화가 있는 공간에서 찍힌 초상은 제주로의 이주를 통해 자연과 문화를 바탕으로 본인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가시화하는 화면이다. 정치적인 유배를 한 1세대 입도조와 경제적인 이유로 제주로 온 2세대 입도조와는 다른 이유로 제주에 온 3세대 입도조들의 초상은 불확실한 이주의 이유만큼이나 불안정하다. 불안정함을 각오하고 찾아온 이 곳, 누군가는 아래로 내려와 점차 이 땅에 뿌리를 내리게 될테고, 누군가는 훌쩍 날아 다른 곳으로 떠나리라. 정착하지도 떠나지도 않은 이 상태의 불안감은 어쩌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동력이 될지도 모른다. 부족한 문화적 인프라와 거칠기만한 자연의 품에서 어떤 동력이 만들어지고 있는 중이다. 박정근이 포착한 입도조 시리즈의 초상들은 입도조이기도 하지만, 제주의 새 문화를 만드는 조상노릇을 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이미 박정근 작가가 스스로 그러하고 있는 것처럼._이나연
제주 땅에 뼈를 묻을 사람이야말로 제주사람이라고 말하고 싶다. 출생지 여부와 애정도가 아니라 제주가 아니면 더 이상 어떤 선택지도 없는 처지라면 제주의 현재와 미래가 자신의 인생과 데칼코마니처럼 겹치므로 남다르지 않을까? 기회의 땅도, 선택한 땅도 아닌 생존의 땅이며 내가 영원히 묻힐 유일한 곳이 이 메마른 섬땅인 사람이야말로 제주사람인 듯하다. 살다 힘들면 더 좋은 곳을 찾아 떠나고, 사회며 자연이며 세상이야 어쩌든 나만 잘살면 그뿐인 사람을 위한 제주는 없다는 생각을 곱씹으며 내가 묻힐 이 섬을 둘러본다. 제주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슴 속에 바람구멍 숭숭 뚫린 먹돌 하나씩은 멍울져 있을 것이며, 그 단단한 먹돌에 자신의 묘비명을 새기게 될 것이다._한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