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침과 침술 : 아주 오래된 오해

침과 침술 : 아주 오래된 오해

(옛날 사람들은 침으로 무얼하고 싶어했을까?)

홍도현 (지은이)
일취월장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050원
32,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침과 침술 : 아주 오래된 오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침과 침술 : 아주 오래된 오해 (옛날 사람들은 침으로 무얼하고 싶어했을까?)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91195763412
· 쪽수 : 796쪽
· 출판일 : 2022-07-21

책 소개

침과 침술의 본질을 찾아 동서와 고금을 오가며 탐구한 꽤 오랜동안의 여정을 4막 12장의 편제로 800쪽에 촘촘히 담아내었다. 침술에 대한 이른바 온고지신적 고찰이라 할 수 있겠다.

목차

프롤로그 •4

제1막―오래된 정원

1장 비전의 자극의학, 침술


1. 침법의 기원과 발전 •27
2. 조기치신의 방법론 •30
3. 함부로 전하지 마라 •43
4. 침술, 오래된 자극의학 •46

2장 침의 원류

1. 폄석: 침의 기원이자 철침의 전신•71
2. 도구혁명: 돌침에서 철침으로•101
3. 구침 — 규격화된 9종의 철침•107
4. 연결의 고리(탐색) — 폄석과 자석•112

3장 기록의 원류

1. 춘추전국시대•124
2. 진·한·삼국•134
3. 수·당시대•145
4. 송·금·원대•150
5. 명대•155

제2막―기 흐르는 신체

4장 반응하는 기능공간, 인체


1. 침의학적 인체관점: 심안과 혜안으로 체용을 함께 본다•166
2. 침의학적 인체구조•179
3. 다층 혼합구조로 구획화된 침의학적 반응공간, 인체•210

5장 여명의 기능벡터, 경락과 경혈

1. 경락과 경혈의 의미•260
2. 경락과 경혈의 기원과 형성•265
3. 경락계통의 구성적 실체•279
4. 경락체계(각론)•299
5. 경혈체계•325
6. 밝혀지는 경특성•367
7. 밝혀지는 경혈특성•393

6장 건강의 궤도이탈과 진단

1. 항상성과 왜(歪; bias)•407
2. 왜를 일으키는 3가지 원인•411
3. 병기: 인체 내의 병리의 진행과정•416
4. 왜의 외현: 망문문절의 4가지 진찰 방법론•418
5. 왜의 내재: 인체의 내적 변화•450
6. 변증: 왜의 교정을 위한 인체 상태의 귀납적 분별•457

제3막―선의들의 침술매뉴얼

7장 다기능 자극원 ― 침


1. 전통침의 제법과 공정특이성•469
2. 전통침의 자극원적 특성•485
3. 현대침(1회용 호침)의 제법•493
4. 죽은 침의 사회 — 전통침의 왜곡과 침전통의 단절•495

8장 선의들의 침의학적 프로토콜

1. 어디가 아파서 오셨어요?•506
2. 치료의 전제•514
3. 일반적 치료원칙•516
4. 선혈 및 배혈•536
5. 내경의 각종 자법•549

9장 단계별 자침과정

1. 자침전•556
2. 탐혈•562
3. 자입(진침)•571
4. 후기•576
5. 최기•577
6. 득기 — 통하였느냐?•578
7. 보사수기: 과부족과 치우침의 구체적인 조절 기법•582
8. 유침•582
9. 발침•585
10. 발침후•586

10장 감춰진 과학, 보사와 수기

1. 보사수기법의 분화와 형성•589
2. 자침전 수기법•594
3. 자입시점 보사수기•597
4. 자입후 후기·행기·최기의 수법•600
5. 자입후 보사수기•604
6. 침을 뺄 때의 보사수기•618
7. 침을 뺀 후의 보사수기 — 개합보사•620
8. 보사수기 의미고찰
— 적절한 질·량 자극의 선택 및 자극의 강화•620

제4막―온고지신 침술코드

11장 침을 놓을 때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


1. 강체(剛體; solid body)의 강제 진입에 의한 부피작용•644
2. 한열온량자극원의 항온장 진입•649
3. 화학전지(Battery) 극판의 전해질장 진입•651
4. 자성체(磁石)의 자기장 진입•664
5. 인위적 손상과 회복을 통한 치유•669
6. 혈액의 질적·양적 변동•674
7. 근육의 수축과 이완•679
8. 자침과 신경작용•681
9. 자침과 반응속도•705
10. 일침다역•712

12장 침술혁명

1.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721
2. 신 인체관점•723
3. 신 기술혁명•731
4. 신 도구혁명(삼태침)•758
5. 신 기법혁명•762
6. 고도를 기다리며•764

참고문헌 •769
에필로그 •779
찾아보기 •784

저자소개

홍도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에는 공학도로써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SK케미컬 중앙연구소에서 5년간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고분자 화학제품과 관련한 개발연구를 담당하였다. 그러던 중 아주 어려서 받았던 침술치료 인연과 주위로부터의 권유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한의학을 제대로 공부해보기로 결심하였다. 뒤늦게 진로를 바꿔 한의과대학에 진학하였으며 졸업하고 한의사가 된 이후 지금까지 오래된 한의학의 뿌리를 알고자 하는 열정과 온고지신溫故知新하고자 하는 변함없는 마음을 담고 현재 20년째 임상활동 중인 한의사이다. 저자는 그간 침 소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면서 과거와 현재의 침 소재에 대한 기능적 분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편의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특히 침구학에 관심이 많아 관련 도서를 섭렵하던 중, 지난 2012년에는 역사상 최고最古의 침구학 문서인《침구갑을경鍼灸甲乙經》을 번역하여 출간한 바 있고, 2016년에는 4년여의 끈질긴 노력 끝에 중요한 침구사적 의미가 있는《침구대성鍼灸大成》을 주해하고 완역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간한 바 있다. 몇 년 전부터는 출판사를 설립(일취월장)하여 국내에 전문가에 의해 번역되어 출간된 한의학 고전의 양적, 질적 제고 등을 목표로 또 다른 노력을 지속하고 있기도 하다. 〓 학력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991.공학사) ○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2003.한의학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2018.문학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실용중국어학과 (2021.문학석사) 〓 약력 ◇ SK케미컬 중앙연구소 연구원 ◇ 누가 한방병원 진료과장 ◇ 금강한의원 원장 ◇ 서울한의원 원장 〓 논·저 ■ 『침과 침술』 (2022, 일취월장) ■ 『주해완역 침구대성』 (2016, 일취월장) - 2017년 세종도서(학술부문) 선정 ■ 『한글 침구갑을경』 (2012, 의성당) ◆ 전통침의 製法특성과 전자기적 상관성 (대한침구의학회지 제30권 제5호) ◆ 强磁性 스테인리스鋼 磁化鍼의 개발 (대한침구의학회지 제31권 제2호)
펼치기

책속에서

소설 『지리산』의 작가인 이병주는 “역사는 산맥을 기록하고 나의 문학은 골짜기를 기록한다”고 하였다. 나도 옛 사람들이 행하고 전하고자 했던 치열한 고민들의 크고 작은 뭉치들이 우리의 성긴 관점과 사고의 그물로 건지지 못한 것이 무엇일까에 대한 지속적인 번뇌로 골짜기들을 헤매고 다녔다. 더 정확히는 그러기는 했다. 그러면서 능선에 오를 때마다 선학제현들이 닦아놓은 길에 크게 도움을 받았고 이를 제대로 그려내고도 싶었다. 그러나 맘속으로 그리려던 산에서 본 웅맹한 호랑이는 간데없고 어설픈 고양이 한 마리를 그려낸 건 아닌가하는 진한 아쉬움에 입맛을 다신다. (프롤로그)


이런 차원에서 나는 침의학을 “자극에 따른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의학적 패러다임”으로 재정립할 것을 제안한다. 나는 선구적으로 이를 “자극~반응 의학(Stimulus~Response Medicine)”이라고 거칠게 규정하고 침의학을 가급적 이러한 틀 속에서 설명하려고 한다. 살아있는 인체는 각종 자극에 반응하는 특성이 있으며, 따라서 전기적, 화학적 또는 기계적 변화를 일으키는 다양한 자극은 개별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에 대한 인체의 대응은 각기 다를 것인데 의학적으로 생물학적 자극이란 원래 ‘생체에 작용하여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일 또는 그런 작용의 요인’이거나 ‘유기체에 작용하여 반응을 일으킬 수 있거나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사상事象’을 의미한다. 침자극을 구조적, 기능적 작용으로 대입하더라도 오롯이 담아낼 수 있다고 보면 자극을 사상이라고 표현한 것은 탁월한 어휘선택이라 하겠다. (1장 비전의 자극의학 침술)


비슷한 연대의 과거 동양의학에서는 왜 15세기 다빈치나 16세기의 베살리우스가 그린 것과 같은 정밀한 해부도가 없는 것일까? 그들은 정녕 몸을 그림으로 표현하는데 대한 관심이 없었던 것일까? 왜 그들은 닭이나 소만 잡아도 쉽게 유추할만한 인체장부의 형상을 거칠게 그려내고 눈에 보이지도 않는 이상한(?) 그림만을 잔뜩 그려놓았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건 이들이 보고자했던 것이 달랐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래 전부터 행해졌다고 하는 여러 해부의 정황들이 역사적 기록으로 전해진다. 단적으로 2000년 전의 기록으로 인정되는 《영추》에는 “죽은 자를 해부하여 본다(其死可解剖而視之)”는 직접적으로 사체해부를 했다는 문장이 나온다. 뭘 보았는지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장부가 튼튼한지 육부의 길이가 어떤지 음식을 많이 먹는지 혈관의 길이는 어떤 지는 물론, 혈액의 상태는 어떤지 체액은 많은지 적은지까지 모두 살폈다고 되어있다. (4장 반응하는 기능공간 인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