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운동 > 요가/체조/스트레칭
· ISBN : 9791195897612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6-10-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불균형 관찰에 따른 체형 교정
- 요가의 길
- 특정 자세나 특정 방향이 안된다면?
- 요가 자세에서 나타나는 불균형 패턴
- 같은 자세에 대한 교정방법이 상반될 수 있는 이유는?
1부 관찰
1장 요가자세를 통한 불균형 관찰 방법
# 요가 자세의 기본패턴은 전굴과 후굴
# 관절운동의 기본패턴은 굴곡과 신전
# 균형자세와 불균형자세패턴
# 노선 불균형과 구간 불균형
# 단일구간과 복합구간자세
# 복합구간 전굴자세 관찰
# 복합구간 후굴자세 관찰
2장 알게 되면 보인다
# 척추를 보는 포인트: 만곡과 1,2차 커브
# 척추커브와 골반경사의 관계 알아차리기
# Q1골반경사와 고관절 굴곡/신전의 차이
# 그리고 골반경사 불균형의 의미는?
# 척추 골반의 균형을 좌우하는4가지 코어근육
# 요추 골반 리듬
# 구간불균형 = 척추 골반 근육 불균형 연결하기
2부 체형
3장 4가지 체형 (자세 타입)
# A타입과 P타입 구별하기
# A타입과 C타입 구별하기
# 4가지 자세타입
# 3가지 주요패턴
# 척추골반 불균형과 하지의 관절운동 패턴
4장 직립자세 불균형모델
# 직립자세 딜레마 : 불균형의 시초
# 이다, 핑갈라 에너지 채널
# 자세불균형과 호흡패턴
3부 교정
# 타입에 따른 교정의 특정 의도
# 타입에 따른 교정전략
# Q2: 균형과 불균형의 기준은 무엇인가?
# Q3: 유연성을 기르는 것이 균형회복에 어떤 도움이 되는가?
5장 P타입 교정
# P타입 교정의 의도
# P타입 전굴자세의 교정
# Q4무릎을 굽히면 후면노선 3번구간의 늘림을 방해하지 않나?
# P타입 후굴자세의 교정
# P타입 측굴 자세의 교정
6장 A타입 교정
# A타입 교정의도
# A타입 전굴자세 교정
# A타입 후굴자세 교정
# A타입 측굴 자세교정
7장 C타입 교정
# C타입 교정의도
# Q5 왜 C타입 교정에만 1차 의도와 2차 의도를 나누었는가?
# 나비자세 A와 B의 차이
# 거북이 / 잠자는 거북이자세
# Q6 전굴자세를 할 때 고관절과 요추굴곡의 적절한 비율은?
# Q7 요가수련을 하다보면 통증과 만나는 경우가 많다. 통증을 어떻게 보아야 하고 통증을 다루는 기본원칙은 무엇인가?
8장 사지의 정렬
# 태양맞이 시퀀스 (수리야 나마스까라)
# 골반경사와 하지 회전패턴의 연결
# 고관절 회전 불균형 관찰방법
# 고관절과 슬관절의 내회전과 외회전의 차이
# 아래로 얼굴 개자세 하지교정
# 위로 얼굴 개자세 하지 교정
# Q8 위로 얼굴 개자세를 할때 대둔근을 수축해야 하는가, 이완해야 하는가?
# Q9 상지의 안정성을 높이는 암밸런스 자세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자세들은?
# 견갑골과 어깨관절 불균형
# 아래로 얼굴 개자세 상지교정
# 특정의도 상지 교정자세들
부록 요가 자세 체형비교 방법
# 4가지 타입의 15가지 요가자세 비교
# 아사나 인덱스
# 감사의 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이 책이 요가 전통에 기반한 혁신적인 요가 연습방법론의 좋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구루지(쉬리 K 파타비조이스)는 “99%의 연습과 1%의 이론”이라고 말씀하곤 했는데,
바유는 1%의 전통 이론을 씨앗 삼아 매트 위의 99%의 연습을 통해 현대요가의 통상적인
사고방식의 한계를 깨는 혁신적인 이론들을 생명력 있게 전개하고 있다.
이 책이 보여주는 새로운 관점과 방법들이 현대의 요가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기 때문에 나는 이 책의 영문판이 하루빨리 출간되어
전 세계의 요가 커뮤니티에 널리 전해지기를 기대한다.
실제로 연습을 해보면 잘되는 자세와 방향을 더 깊이 잘 하기는 상대적으로 쉽지만 취
약한 자세와 방향을 교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잘 안될뿐 아니라 호흡도 불편하고 통증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소홀해지기 쉽다. 때로는 억지로 무리하게 연습하다가 부상을 입기도 한다. 이
러한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잘못된 연습 습관이 굳어지게된다. 원래부터 잘되는 자세와 방향
이 더 잘되는 것을 요가수련의 발전으로 오해하고 취약한 부분, 불균형한 부분은 그림자가 되
어 버린다. 느끼지 못하고 보지 못한다. 존재하지만 의식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오랜기간의 연습후에도 자신의 취약한 자세와 방향은 변화가 없게 되고 불균형이더욱 심
해지는 불행한 결과를 낳게 되기도 한다.
요가자세를 할 때 외적으로 드러나는 인체의 선을 전체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은 숲을 보는 것과 같다.
이와같은 인체의 숲을 직관적으로 보는 방법에 나무 하나 하나인 뼈와
관절 그리고 근육을 해부학적으로 보는 방법을 결합하면 요가자세에서
드러나는 불균형을 좀 더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드러나는 구간불균형을 보고 관절운동 불균형을 정확하게 읽기 위해서
는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적으로 이해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해부학이라고 해서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척추와 골
반 불균형의 형태와 원인을 근육의 불균형을 중심으로 좀더 자세히 살
펴보는 것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