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문헌정보학
· ISBN : 9791196102319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9-06-05
책 소개
목차
제1부 자료편목 이론 다지기
1장 목록의 기초 터잡기
1.1 자료조직이란 무엇인가
1.2 도서관에서 목록을 만드는 이유
1.3 편목규칙과 ISBD
1.4 서지기술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2장 목록의 요소 익히기
2.1 표목과 부출을 모르면 목록을 이해할 수 없다
2.2 표목의 형식은 왜 중요한가
2.3 전거제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2.4 주제편목과 주제명표목이란 무엇인가
3장 목록의 역사 돌아보기
3.1 서양 목록과 편목규칙의 발달과정
3.2 우리나라 목록과 편목규칙의 발달과정
4장 목록의 공동이용 둘러보기
4.1 세계서지제어(UBC)란 무엇인가
4.2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이란 무엇인가
4.3 국제표준도서번호(ISBN)란 무엇인가
4.4 종합목록이란 무엇인가
5장 현대의 목록 살펴보기
5.1 기계가독목록형식(MARC)이란 무엇인가
5.2 서지레코드의 기능상 요건(FRBR)이란 무엇인가
5.3 메타데이터란 무엇인가 : 더블린 코어와 MODS를 중심으로
제2부 자료분류 이론 다지기
1장 분류의 기초 터잡기
1.1 분류란 무엇인가
1.2 자료분류와 학문분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1.3 폭소노미란 무엇인가
2장 분류표 살펴보기
2.1 분류기호는 왜 사용하는가
2.2 자료분류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2.2 자료분류표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3장 분류업무 익히기
3.1 자료의 주제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3.2 자료분류의 일반규정 이해하기
3.3 자료분류의 특별규정 이해하기
3.4 재분류란 무엇인가
4장 분류의 역사 돌아보기
4.1 서양 자료분류의 발달과정
4.2 동양 자료분류의 발달과정
5장 한국 십진분류법 익히기
5.1 KDC의 본표와 보조표는 어떻게 사용하는가
5.2 분류기호는 어떻게 조합하는가
5.3 문학자료는 어떻게 분류하는가
6장 청구기호 익히기
6.1 별치기호란 무엇인가
6.2 도서기호란 무엇인가
6.3 저자명문자식기호법 : 엘러드 저자기호법, DDC 간략 저자기호법
6.4 열거식 저자명번호법 : 커터-샌본 저자기호표, 장일세 동양서저자기호표
6.5 분석합성식 저자명번호법 : LC커터기호표, 리재철 한글순도서기호법
6.6 도서기호의 중복은 어떻게 조정하는가
6.7 신규 도서관에서는 어떤 도서기호법을 사용할 것인가
6.8 자료는 어떤 방법으로 배가하는가
| 제1권을 마무리하며 |
| 참고문헌 |
| 도판출처 |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어떤 사람의 성명만으로는 다른 사람과 구별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구별하기 위해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의 부가정보가 필요하듯이, 어떤 저작의 표제나 저자명만으로는 다른 저작과 구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이를 구별하기 위해 발행처, 발행년, 판차, 크기 등의 부가적인 요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서류상에서 어느 한 사람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기 위해 이를테면 성명,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주소, 소속 등의 그 사람이 갖고 있는 사회적 속성을 나열하는 것처럼, 목록상에서 어느 한 문헌을 다른 문헌과 구별하기 위해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판사항, 발행사항, 형태사항 등의 그 문헌의 서지적 속성을 일정한 형식으로 나열하는 행위를 기술이라 합니다.
카드형목록을 경험하지 못한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 게, “표제와 책임표시사항에 기재했던 대표저자를 그대로 MARC의 1XX 필드에 입력하는 것이 곧 기본표목이다” 라고 여긴다는 점입니다.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재차 강조컨대, 기본표목은 기술부에 기재한 대표저자를 ‘복사’하여 1XX 필드에 ‘붙여넣기’하는 것이 아니에요.
2017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행동경제학자인 Richard H. Thaler 시카고대학교 교수가 선정되었습니다. 그의 저서인 『넛지』, 『승자의 저주』 등이 국내에 번역출간되는 과정에서 ‘Richard H. Thaler’라는 저자명이 넛지에는 ‘탈러’로, 승자의 저주에는 ‘세일러’로 표기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저자명을 그대로 입력할 경우 목록에서 ‘탈러’로 검색하면 『승자의 저주』가 검색되지 않고, ‘세일러’로 검색하면 『넛지』가 검색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이렇게 어이없는 결과를 만들지 않기 위해, 전거제어가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