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96194567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19-12-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첫 번째 노무 이야기 - 사장과 만남
01. 입사하려는 회사에서 근로계약서를 안 쓴다는데 어쩌죠?
02. 퇴직금을 월급에 포함하는 계약을 해도 되나요?
03. 근로계약서 외에 회사와 별도로 작성한 서류도 유효한가요?
04. 포괄임금제로 계약하는데 문제는 없나요?
05. 정규직과 계약직 근로자(노동자)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06. 입사할 때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인지 왜 확인해야 하나요?
2부. 두 번째 노무 이야기 - 사장과 동행
07. 아르바이트도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나요?
08. 수습기간에는 최저임금의 90%만 받나요?
09. 주휴수당은 무조건 받을 수 있나요?
10. 청소년도 노동법이 동일하게 적용되나요?
11. 식비는 무조건 추가로 받는 것 아닌가요?
12. 4대보험 미가입 사업장인데 사고 나면 어쩌죠?
13. 점심식사 후 바로 일하는데 휴게시간인가요?
14. 연장근무 수당, 제대로 받고 있나요?
15. 야간근무 시 당직수당을 받는데 맞는 건가요?
16. 근로자의 날(노동절)에 일하면 수당을 더 받나요?
17. 퇴직금 중간정산은 무조건 못 하나요?
18. 지각이나 조퇴를 3번 이상 하면 결근으로 처리되는데 맞나요?
19. 연차휴가 미사용 시 수당으로 받을 수 있나요?
20. 연차휴가를 사용하라고 통보를 받았는데 무엇인가요?
21. 연차휴가를 공휴일에 대체 사용해서 없다는데 맞나요?
22. 이제 일주일에 52시간까지만 일할 수 있나요?
3부. 세 번째 노무 이야기 - 사장과 헤어짐
23. 퇴사할 때 무엇을 챙겨야 하나요?
24. 월급을 못 받고 퇴사했는데 어찌해야 하나요?
25. 누구나 퇴직금을 받을 수 있나요?
26. 퇴직금을 기본급에 대해서만 계산해 준다는데 맞나요?
27. 1년 이상 근로(노동)했고, 퇴직금을 못 받았는데 어디에 신고하나요?
28. 미지급된 임금과 퇴직금은 언제까지 청구할 수 있나요?
29. 밀린 급여 지급을 미루는데 지연이자가 있나요?
30. 퇴사하면 누구나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4부. OX 퀴즈로 풀어 보는 알쏭달쏭 노동법
- 직원이 꼭 알아야 하는 노동법 8가지
Q1. 퇴직금
Q2. 최저임금
Q3. 주휴수당
Q4. 초과근무
Q5. 연차휴가
Q6. 공휴일
Q7. 산재보험
Q8. 강행법
에필로그
부록 - 근로자(노동자)가 꼭 챙겨 봐야 할 노무서식 5가지
1) 표준근로계약서(5종)
2) 표준취업규칙(2019. 3. 21. 기준)
3) 최저임금 공고문
4) 퇴직금 중간정산 신청서
5) 사직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근로계약서 작성은 사업주의 책임과 의무입니다. 근로자(노동자)를 1명 이상 고용한 모든 사업주는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작성, 교부해야 합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 및 미교부 시 사업주에게 최대 500만 원의 벌금이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 근로자(노동자)는 미작성에 따른 불이익이 없습니다. 다만 노무분쟁 발생 시 증명할 서류가 없으면 곤란할 수 있으니 입사할 때 사업주에게 근로계약서 작성을 요구해야 합니다.
- 「01. 입사하려는 회사에서 근로계약서를 안 쓴다는데 어쩌죠?」 중에서
월급에 포함해 받은 퇴직금은 원천적으로 무효 처리될 수 있습니다. 퇴사할 때 퇴직금이 포함되었던 월급을 기준으로 새로이 퇴직금을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근로자(노동자)가 이를 의도적으로 악용한다면 부당이득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 「02. 퇴직금을 월급에 포함하는 계약을 해도 되나요?」 중에서
최저임금과 단짝처럼 붙어 다니는 것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주휴수당은 1주에 15시간 이상 근로(노동)하는 직원에게 지급합니다. 해당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와는 무관하며 개인별로 대상자가 나뉩니다.
- 「09. 주휴수당은 무조건 받을 수 있나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