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지방자치
· ISBN : 9791196208882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19-12-13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제1부 지금 우리의 전남은?
농업의 중심 전남, 그러나 위기의 전남
경작 줄었는데도 과잉생산 위기인 쌀
직불제, 다시 생각해보자
육류 시장은 괜찮은가
해양쓰레기, 재난으로 다가오다
농업의 미래는 어디로 가야 하나
chapter 2 제2부 앞으로의 전남은?
제1장 달라지는 농어촌, 환경부터 구축해야
농촌 일자리 확대, 지금이 적기다
농어민 공익수당, 정부가 나서야
농산물 가격, 최저가격 보장제 확대가 답
지속가능한 농산어촌 융복합산업 지원체계 마련
제2장 4차 산업혁명과 농어촌의 미래
기후변화 대응 농업연구소를 설립하자
4차 산업혁명과 농어촌의 미래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
농어촌의 안정이 먹거리의 안전
드론과 빅데이터가 농업을 바꾼다
제3장 다원적 기능중심, 관광산업이 성장동력
서남해안 관광산업, 성장동력으로 만들 때
전남 중남해안 관광허브 전략
생산중심 농정에서 다원적 기능중심으로 재편
chapter 3 제3부 빛나는 코리아를 향한 도전
제1장 김승남이 바라보는 따뜻한 세상
‘부용산’ 그리고 ‘여순민중항쟁’
여성의 정치참여
비정규직 김용균 씨의 죽음
아, 윤한덕
농어촌지역 응급환자 치료·이송 체계 시급
제2장 빛나는 코리아를 향한 도전
양극화와 부유세 논쟁
청년 대책, 학자금 대출 제도부터 고쳐야
대한민국형 복지국가를 향한 도전
미·중 무역전쟁과 변화하는 세계경제
한·일 경제전쟁과 아베의 군국주의 부활
한반도 평화정착과 빛나는 코리아를 향한 도전
chapter 4 제4부 김승남이 걸어온 길
1987년 전남대 총학생회장에 선출
1987년 6월 항쟁과 광주
1988년 그해 내 이름은 169였다
구여재 불고독(狗與在 不孤獨)
첫 직장, 첫 출마
실패하는 것도, 참아내는 것도 정치
테크노파크(TECHNOPARK)에서 기업을 지원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편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가 ‘기회’로 재해석되고 있다. 화석연료 대신 지열과 목재 펠릿 등 저탄소 청정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환경친화적 영농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작목 전환도 새로운 대안이 되고 있다.
만약 해양쓰레기를 치우는데 많은 예산을 들여야 한다면, 어촌과 어민을 위해 지원되어야 할 수산업발전자금이 헛되이 소비되는 것이다. 쓰레기 처리를 위한 예산은 낭비일 뿐이다. 우리 스스로 쓰레기 치우기에 앞서 쓰레기 줄이기에 동참해야 하는 이유다. 필연적으로 수산업종은 버리지 않고, 안 쓸 수는 없다. 다만, 쓰레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재료를 적게 사용하도록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해양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시스템이 연구되고 보급되어야 한다.
푸드테크의 발전은 시대의 흐름이다. 민·관·학 협력을 통해 선진국들을 따라잡아야 한다. 기업은 투자에 나서고, 대학은 연구를 통해 기술을 융합하고 상용화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무엇보다 관(정부)의 역할이 막중하다. 더욱 효과적인 연구와 기술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소비자들의 식품선택과 섭취 습관, 인지나 태도 등 식생활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산업계에 제공해야 한다. R&D 투자 등을 통해 기업과 대학 등이 적극적으로 뛰어들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고, 이들을 연결해주는 역할까지 해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