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96220907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7-11-03
책 소개
목차
PART 01. 새로운 경제 구조에 눈 뜨기
01 | 최고의 선택(doing the right thing)을 하기 위한 새로운 경제 구조, 가치 기반 경제란 무엇인가?
•가치 기반 경제는 가정에서부터 출발하여 문화의 영역으로 귀결된다
•집과 가정 사이
•가정은 또한 문화와 콘텐트를 나타낸다
•결국 관건은 문화이다 0
02 | 경제와 문화의 유기적 관계에 대하여
•문화의 역할에 대한 학자들의 시선
•비유로서의 개념,“ 대화 창(conversation)”
•문화, 경제, 경제학, 예술의 관계를 이해하는 여섯 가지 대화 창
03 | 가치를 실현 한다는 것
•다르게 보는 지혜를 가진 선구자들
•수단과 목적 구분하기: 좋음(the good)은 목적이어야 한다
04 | 가치의 실현과 프로네시스
•프로네시스는 다르다
•프로네시스의 과정을 구체화 해 보자
•일상 속에 숨어있는 프로네시스
PART 02. 개념적인 틀
05 | 가치란 무엇인가
•도전 과제(the challenge)
•핵심은 가까이에 있다
•일상을 움직이는 가치들
•가격이냐, 가치냐?
•가치의 개념에 대하여
•가치와 문화
•가치들을 구분하기
•덕은 행동과 연관 관계에 있는 가치이다
•가치는 상황, 물건, 실천, 사람과 연관된다
•외적 가치와 내적 가치
•사용 가치와 금전적 가치
•프로네시스와 가치
06 | 종이 한 장 차이, 재화의 소유와 공유
•정말 그러한 가?
•첫 번째 포인트: 소통과 동반자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로빈슨 크루소 이야기에서 출발한다. 왜 그런 요소들을 재화라고 하지 않는가?
•두 번째 포인트는 질문 한 줄로 함축된다
•재화란 무엇인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재화
•가장 중요한 재화는 공유재이다
•공유재는 보통 실천의 형태로 나타난다
•(창의적) 공동재 (Creative) Commons
•공유재의 오너쉽(소유권
•공유재의 가치 평가
•재화의 분류
•예술은 비매품이다
•예술의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
•재화의 생성과 소멸
•재화와 상품
•협동적이고 사회적인 행위 vs 이기적인 행위, 무엇이 일반적인 것인가?
•다시 말하지만, 사유재와 집합재는 도구적인 특성이 강하다
07 | 재화와 이상: 재화는 무엇에 유익한가?
•매슬로우의 피라미드를 넘어서…
•로펌의 거부 반응
•재화는 중요한 가치를 실현하는데 유익한가?
•목적, 텔로스(telos), 또는 이상과 가치 실현
•추구하는 이상과 재화를 구체화 하는 연습의 중요성
•프랙시스 : 부단히 추구하는 실천의 집합체
•재화는 네 가지로 분류된다
08 | 사회의 부를 형성하는 원천에 관하여
•우리는 가난한가? 아니면 부유한가?
•저량과 유량
•보유량에 대한 논의는 무엇에 대한 것인가?
•소스를 획득하는 방법
•좋은 삶을 위한 소스를 제공하는 생명의나무
•자, 그렇다면?
09 | 독불장군은 가치를 실현할 수 없다: 다섯 가지 영역의 유기적 모델링
•표준경제학적 도식
•가치 실현을 위해서는 영역의 확장 및 보완이 필요하다
•첫 번째 보완점 : 사회적 영역
•두 번째 보완점 : 문화적, 예술적 영역
•세 번째 보완점 : 오이코스, 집의 영역
•시장 영역의 옵션
•정부 혹은 통치 및 관리 영역의 옵션
•다섯 영역의 유기적 모델링
•영역들에 대한 역사적 고찰
•결론
10 | A. 5-Sp 모델 이해하기: 논리, 어조, 가치와 관계를 중심으로
•모델 도입의 시작 단계에 있는 이들을 위하여
•각 영역에서 찾아야 하는 것들
•1) 오이코스
•2) 사회적 영역
•3) 문화적 영역
11 | B. 모델 이해하기: 파급효과와 영역 간 교집합에 대하여
•4) 정부, 통치의 영역
•왜?
•어떻게 그리고 왜?
•G 영역에서 형성되는 관계
•소유권의 종류
•5) 시장 영역
•시장은 무엇에 유익하고 또 무엇에 유해한가?
•‘어떻게’ 라는 질문에 시장은 답이 된다
•관계들
•M 영역의 논리
•시장 영역의 어조
•극장의 예
•스필오버(spillovers)와 크로스오버(crossovers)
•시장 영역에서의 정부 및 통치의 논리
•오이코스 및 사회적 영역에서의 정부 및 통치의 논리
•시장 영역에서의 오이코스의 논리
•시장 영역에서의 사회적 영역의 논리
•오이코스와 사회적 영역에서의 시장 영역의 논리
•크라우딩 인, 크라우딩 아웃
•결론
12 | 새로운 관점으로 보는 현실
•양적 성장을 위하여
•이 책은 무엇에 기여하는가
•실용적으로 사용하려면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