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의료 관련 과학 > 임상 공학
· ISBN : 9791196278861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19-12-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간담췌외과
1. 임상과 소개
2. 진단 방법
3. 간담췌 수술
2장. 방사선종양학과
1. 임상과 소개
2. 방사선치료의 발전 개요
3. 방사선치료 과정과 치료계획
4. 방사선치료의 기법
5. 방사선치료 장치
3장. 비뇨의학과
1. 비뇨의학과 소개 44
2. 비뇨생식기의 해부학 및 생리학적 이해
3. 대표적인 의료기기
4. 대표적인 비뇨기질환
4장. 산부인과
1. 산부인과 소개
2. 대표적인 질환
3. 대표적인 의료기기(활용, 시술 사례 등)
5장. 성형외과
1. 성형외과 소개
2. 대표적인 질환
3. 대표적인 의료기기 (활용, 시술 사례등)
6장. 소화기내과
1. 임상과 소개
2. 소화기 내시경 전반에 관한 이해
3. 소화관 종양의 내시경적 절제
4. 조기위암 및 위선종의 내시경적 치료(ESD)
5. 상부위장관 출혈의 내시경적 지혈술
6. 췌담도 분야 (pancreatico-biliary)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ERCP)
7장. 신경외과
1. 신경외과 소개
2. 뇌종양(Brain Tumors)
3. 뇌혈관 질환(Cerebrovascular Diseases)
4. 척추 및 척수 질환
8장. 심장내과
1. 심장내과 소개
2. 고혈압
3. 허혈성 심장질환 및 동맥경화성 혈관 질환
4. 부정맥
5. 심근 질환
6. 심장 판막질환
7. 심부전
8. 심장 종양
9장. 안과
1. 안과 소개
2. 해부학적, 생리학적 이해
3. 대표적인 질환
4. 대표적인 의료기기
10장. 영상의학과
1. 영상의학과란
11장. 이비인후과
1. 임상과 소개
2. 해부·생리학적 이해
3. 귀와 관련된 질환
4. 코와 관련된 질환
5. 인후두 및 두경부외과 질환
6. 이비인후과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의료기기
12장. 재활의학과
1. 임상과 소개
2. 재활치료 및 의료기기의 활용 분야
13장. 정형외과
1. 정형외과 소개
2. 정형외과에서의 진단적 측면에서의 의료기기
3. 정형외과의 부위별 해부학과 대표적 질환
4. 정형외과에서의 치료적 측면에서의 의료기기
14장. 치과
1. 치과 소개
2. 치아와 치식에 대한 이해
3. 치과 재료
4. 치과 의료기기
5. 주요 질환 및 치료에 대한 이해
15장. 피부과
1. 피부과 소개
2. 대표적인 질환
3. 해부학, 생리학적 이해
4. 대표적인 의료기기(활용, 시술 사례 등)
저자소개
책속에서
1. 임상과 소개
간담췌외과는 복부의 장기 중 간, 담도, 담낭 및 췌장 질환을 진단하고 수술하는 과이다. 최근에는 간담도 췌장의 해부학적 이해, 수술 전 진단과 수술 후 환자 치료의 발전등으로 수술 후 합병증 등이 줄어 들었지만 아직도 어려운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간담췌외과에서 주로 다루는 간질환, 담도/담낭 질환 및 췌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1-1. 간 해부학의 역사
간 수술 발전의 선행 조건인 간 해부간 해부학의 발전을 살펴보면 기원전3000년경의 바빌로니안 시대에 죽인 양의 간을 꺼내어 그 해부구조물의 모양을 보고 사용했다고 한다. 이후 기원전 300년 경 해부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Herophilus와 생리학의 아버지로불리는 Erasistratus 이후에 Galen과 Vesalius에 의하여 간 해부학이 발전 되었다. 1954년 Couinaud에 의하여 문맥의 분지 양상에 기초하여 간을 4개의 sector와 8개의 segment로 나눠 아직까지사용하고 있다.
1-2. 담도계의 해부담도계의 해부학
담도계는 위치에 따라 간내 담관 및 간외 담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기관에 비해 해부학적 변이가 매우 흔하기 떄문에 해부학적 구조를 잘 파악해야 한다. 간내 담관은 간세포에서 생산된 담즙을 간외 담관으로 배출하는 배관체계로간 말단부에서 담세관이 서로 합류하면서 간 문부의 총간관으로모아지는 형태이다. 간외 담관은 간문부, 총간관, 총담관, 팽대부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