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96739812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1-02-19
책 소개
목차
머 리 말
제1부 불교 이전의 인도사상
제1장 서 론
I. 불교란 무엇인가?
II. 진리에 대한 접근 방법
III. 초기불교의 정의와 범위
IV. 초기불교 자료론
1. 율장과 경장의 이전 단계
2. 현존하는 다섯 니까야
3. 현존하는 사아함
제2장 붓다시대의 역사적 배경
I. 붓다시대의 인도와 인도문화
1. 인도의 자연환경
2. 언어의 다양성
3. 힌두 문화의 형성
II. 붓다 이전의 인도 사회
1. 베다 종교의 출현
2. 정치적 과도기
3. 상업 발달과 도시화
III. 반바라문 사상운동의 태동
제3장 붓다시대의 종교사상계
I. 사문과 바라문
II. 유파와 무파
III. 육사외도 사상
1. 뿌라나 깟사빠(Pūraṇa Kassapa)
2. 막칼리 고살라(Makkhali Gosāla)
3. 아지따 께사깜발린(Ajita Kesakambalin)
4. 빠꾸다 깟짜야나(Pakudha Kaccāyana)
5. 산자야 벨랏티뿟따(Sañjaya Belaṭṭhiputta)
6. 니간타 나따뿟따(Nigaṇṭha Nātaputta)
IV. 붓다시대의 여러 인간관
제2부 초기불교의 기본교설
제4장 삼법인설(三法印說)
I. 삼법인설의 의의(意義)
II. 삼법인설의 기원
III. 삼법인설의 내용
1. 제행무상(諸行無常)
2. 일체개고(一切皆苦)
3. 제법무아(諸法無我)
4. 열반적정(涅槃寂靜)의 의미
IV.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
제5장 연기법(緣起法)
I. 연기의 의의(意義)
II. 십이연기의 연원(淵源)
III. 연기와 십이연기의 분기(分岐)
IV. 십이연기 각지에 대한 해석
V.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重因果說)
제6장 사성제(四聖諦)
I. 사성제의 의의(意義)
II. 고성제(苦聖諦)
III. 고집성제(苦集聖諦)
IV. 고멸성제(苦滅聖諦)
V. 고멸도성제(苦滅道聖諦)
제7장 오온설(五蘊說)
I. 오온설의 의의(意義)
II. 초기경전에 나타난 오온설
III. 오온을 설한 목적
IV. 오온설의 변천 과정
제8장 중도사상(中道思想)
I. 초기경전에 나타난 중도사상
1. 「전법륜경」에 나타난 중도
2. 「가전연경」에 나타난 중도
3. 「아지라경」에 나타난 중도
II. 중도의 실천적 의미
III. 중도사상의 전개 과정
제9장 무아와 윤회의 문제
I. 문제의 제기
II. 불교 이전의 윤회사상
1. 윤회의 의미와 기원
2. 윤회의 구성 요소
III. 불교의 윤회사상
1. 윤회의 의미
2. 삼계・육도의 의미
3. 윤회의 주체
IV. 업과 재생의 관계
1. 업설의 의미
2. 불교의 업설
3. 재생(再生)의 의미
제3부 초기불교의 실천수행론
제10장 초기불교의 수행론
I. 초기불교의 수행체계
II. 다양한 수행법과 수행의 단계
1. 다양한 형태의 수행법
2. 수행의 단계
III. 불교수행의 궁극적 목적
제11장 초기불교에서 본 깨달음
I. 붓다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II. 수행의 단계와 깨달음의 경지
1. 초기경전에 묘사된 아라한
2. 법을 본다는 의미와 점차적 수행
3. 선정 없는 지혜는 없다
제12장 초기승가의 조직과 운영 체계
I. 머리말
II. 초기승가의 성립
1. 교단과 승단의 차이
2. 승가의 성립과 구족계
III. 초기승가의 조직 체계
1. 승가의 이중구조
2. 바라제목차에 의한 승단 통제
IV. 초기승가의 운영 체계
1. 승가갈마에 의한 승단 운영
2. 승가의 궁극적 목표
V. 맺음말
제13장 결 론
I. 붓다의 신격화와 바라문화
1. 붓다의 신격화
2. 불교의 바라문화(婆羅門化)
II. 무아(無我)의 실천행
[부록1] 초기불교의 경제사상
I. 경제의 중요성
II. 재화의 획득과 소비
III. 불교의 직업관과 분배의 윤리
IV. 불교의 노동관
1. 노동의 개념
2. 불교에서 본 노동의 의미
[부록2] 재가신자의 실천윤리
I. 부모와 자식의 윤리[父子關係]
II. 남편과 아내의 윤리[夫婦關係]
III. 스승과 제자의 윤리[師弟關係]
IV. 친구와 동료의 윤리[朋友關係]
V. 고용주과 고용인의 윤리[主從關係]
VI. 출가자와 재가자의 윤리[僧俗關係]
약어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초기불교사상의 전체적인 윤관을 파악 할 수 있도록 기획된 개론서이다.
붓다의 가르침은 지적 만족이나 이론을 위한 이론이 아니다.
자신이 직접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초기불교를 공부하는 목적은 앎과 삶이 일치하는 성자(聖者)가 되기 위함이다.
불교란 '붓다의 가르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