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96786090
· 쪽수 : 287쪽
· 출판일 : 2024-07-31
목차
그림 목차 8
역자 서문 9
4판 서문 12
일러두기 13
제1장 도입: 반쪽 루만 해석에 맞서 15
제2장 복잡성을 통한 계몽 25
2.1 체계 문제로서의 복잡성 28
2.1.1 목적 ― 행위 28
2.1.2 체계 ― 환경 30
2.1.3 의미 33
2.2 계몽의 방법론 35
제3장 체계들의 생성과 구분 41
3.1 체계들의 생성 43
3.1.1 이중 우연성 44
3.1.2 사회적 진화 46
3.2 일반적인 체계 구분들 52
6 루만 전체 입문 7
3.3 자기생산 체계들 54
3.3.1 자기생산 체계 개념 54
3.3.2 자기생산 체계의 구분들 62
3.3.2.1 심리적 체계들 62
3.3.2.2 사회적 체계들 64
(1) 사회적 체계들의 구분들 64
(2) 사회적 체계들의 특징 67
(a) 소통과 행위 67
(b) 상호침투: 심리적 체계들과 사회적 체계들 71
(3) 기능적 부분체계들 74
(a) 상징적으로 일반화된 소통 매체들 77
(b) 부분체계들의 기능성 80
(c) 코드화와 프로그램화 84
(4) 상호작용체계들 ― 조직체계들 87
(a) 상호작용체계들 87
(b) 조직체계들 90
(5) 사회 94
제4장 연동과 통합 101
4.1 연동 103
4.1.1 체계 관계들 또는 연동들? 104
4.1.1.1 체계 관계들 104
4.1.1.2 연동들 106
(1) 구조적 연동 106
(2) 느슨한 연동과 단단한 연동 109
4.1.2 체계 관계들은 체계화되어 있다. 112
4.2 통합 115
4.2.1 사회의 통합 117
4.2.2 사회 내 통합 120
4.2.2.1 체계 소속성 120
4.2.2.2 배제를 통한 포함 124
4.2.3 가치와 도덕을 통한 통합? 128
제5장 관찰이론 131
5.1 관찰과 관찰자 134
5.1.1 관찰 134
5.1.2 관찰자 139
5.2 1계-관찰과 2계-관찰 141
5.3 관찰함의 실재와 관찰된 실재 143
5.4 관찰 프로그램으로서의 체계이론 144
5.4.1 체계이론적 석재들 145
5.4.2 무엇-질문, 어떻게-질문, 왜-질문 148
제6장 패러다임 전환 155
제7장 루만의 체계이론에 대한 찬성과 반대 165
7.1 루만 찬성 168
7.2 루만 반대 174
참고문헌 182
루만 참고문헌 182
일반 참고문헌 222
인명 색인 271
책속에서
이 책은 원문 118쪽(번역본 200여 쪽)에 루만 이론의 기본 개념들을 구조화된 관점에서 압축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덕목과 효용은 흩어진 루만 개념들을 집중하여 다루어내고 있으며, 그 중 이론의 근본적인 내용을 고도로 압축적인 텍스트로 제시하고 있다는 데 있다. 특히 체계 개념과 사회적 체계 개념 및 이중 우연성에서 소통이 창발하는 과정에 대한 간결한 설명은 『사회적 체계들』의 복잡한 설명을 ― 경우에 따라서는 단하나의 그림으로 ― 선명하게 전달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기능적 부분체계들과 조직체계들 및 상호작용체계의 조합을 가지고 사회와 사회의 부분체계들을 설명하는 관점은 루만의 개별 저작에서 간과하기 쉬운 내용을 정확하고 간결하게 요약한다. 행위이론과의 비교 분석과 “연동과 통합” 장은 사회(societal)통합과 사회적(sozial) 통합의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대안적인
사회적(sozial) 통합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루만의 핵심 개념이면서 국내에서 아직 제대로 논의되지 않은 “구조적 연동”이 정확하게 어떻게 발생하는 것인지 그리고 서로 다른 기능체계들 사이의 교환관계가 정확하게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도 멋지게 설명하고 있다. 그 밖에도 관찰이론과 역설이론의 핵심 쟁점들은 루만이 1988년 헤겔 철학상을 수상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