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684814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05-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모든 아이는 자산가의 씨앗을 품고 있습니다
1장 부모의 금융지식이 아이를 위한 스마트한 자산을 만든다
은행 근무 워킹맘, “25세를 목표로 1억 원이 넘는 자금을 계획했어요.”
증권회사 근무 워킹맘, “주식으로 투자해주고 있어요.”
보험회사 근무 워킹맘, “노후까지 걱정 없는 연금 설계가 최고죠.”
은행 근무 워킹맘, “페이백 암보험으로 목돈도 모으고 암보험도 준비했어요.”
A 자산가,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10년 주기로 증여하고 있어요.”
B 자산가, “아이와 함께 생활 속 돈 공부를 실천하고 있어요.”
은퇴한 노부부, “스스로 자산 가치를 키울 수 있도록 증여를 선택했어요.”
2장 자산관리의 기본, 똑똑한 금융지식을 길러주는 돈 공부
돈 공부가 영어 공부보다 중요한 이유
기회비용과 매몰비용,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를 포기해야 해요
생활 속 세금, 아이스크림에도 세금이 포함되어 있다고요?
신용카드, 현금 없으면 카드로 계산하면 되지!
시장가격의 비밀, 편의점에서 알아보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
돈의 철학, 돈의 가치를 알아야 하는 이유
3장 원금보장 편, 차곡차곡 모을 수 있는 안전한 상품 고르기
아이들이 받은 세뱃돈, 어떻게 굴려야 하나요?
어린이 적금과 어른 적금은 무엇이 다른가요?
아이 이름으로 청약 통장을 꼭 만들어야 하나요?
태아일 때 보험을 꼭 들어야 하나요?
4장 투자상품 편, 아이의 미래를 위한 공격적 자산관리법
예금이냐, ELS냐, 무엇을 골라야 하나요?
코스트애버리징에 유리한 펀드
우리 아이도 애플 주식 사줘야 하나요?
달러 통장을 만들면 어떨까요?
5장 증여신고 편, 알뜰하게 절세하고 당당하게 상속하는 법
상속과 이혼, 돈에 얽힌 불편한 진실
2,000만 원이 모이면 증여신고부터 하세요
자녀 명의의 적립식 상품도 증여 신고 해야 하나요?
유학 비용이나 현금으로 준 돈도 증여인가요?
차명 계좌를 조심하자 - 금융 소득 종합 과세 산출 방법
6장 유학준비 편, 해외로 자금을 이동시킬 때 주의해야 할 것
환전할 때 수수료가 든다고요?
외화현찰을 찾는 데 수수료가 든다고요?
해외에서 알뜰하게 생활비를 관리하는 법
해외 주택을 구입하게 됐어요
해외 송금을 잘못했는데, 돌려받을 수 있나요?
부록 1. 한 줄 팁, 우리 아이 돈 관리, 이런 점이 궁금해요
부록 2. 인터뷰,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부록 3. 어린이 금융교실 활용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H 팀장은 명절이나 입학, 졸업 시즌이 되어 아이에게 용돈이 생기면 최소한의 돈만 남겨두고 증권회사 CMA나 펀드 통장에 넣습니다. 통장에 돈을 넣고 나면 아이에게 통장 내역을 꼭 확인시켜주고, 입금된 돈이 어떻게 불어나고 있는지도 수시로 알려줍니다. 단순히 저금통에 넣어두어 잠자는 돈과 통장에 입금해 살아 숨 쉬는 돈은 다르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알려주는 것이지요. 아이가 저축을 지루한 것으로 여기지 않도록 수시로 돈이 불어나는 모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_1장. ‘부모의 금융지식이 아이를 위한 스마트한 자산을 만든다’ 중에서
재테크 카페에 가입하면 봉투분할법이라는 용어를 꽤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봉투에 이름을 붙이는 것입니다. 봉투에 적힌 제목대로 용도에 맞게 돈을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수단과 목적을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봉투를 분할하는 목적을 늘 상기해야 합니다. 용돈을 봉투에 나눠 사용하는 데 너무 집착해 경제 관념이 망가지면 안 되겠죠. 봉투분할법은 효율적인 돈 관리 습관의 기본을 익히는 데 사용하면 좋습니다. 아이에게도 봉투나 저금통을 두어 개 준비하도록 시켜보세요. 하나는 원하는 장난감을 살 수 있는 돈, 다른 하나는 아이의 꿈에 다가갈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를 적게 하세요. 예를 들어 유튜버가 꿈이라면 ‘유튜버 ○○○’, 여행을 가고 싶다면 ‘여름방학 하와이 여행’이라는 제목을 저금통에 붙이고 본인 나름대로 계획을 세워 돈을 모아보도록 하면 좋습니다.
_2장 ‘자산관리의 기본, 똑똑한 금융지식을 길러주는 돈 공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