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상한/금궤/온병
· ISBN : 9791197024504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0-05-11
목차
I. 들어가기에 앞서 6
근본적인 문제 10
부록. 물리적 세계와 물리학적 세계관 77
비위론 서문 90
1) 하늘에 관하여 96
2) 땅에 관하여 109
3) 천지 변화의 묘미 115
4) 하늘 땅과 기운 124
5) 소천지 129
6) 건강 139
7) 팔풍지사 142
8) 비위 145
9) 의사들의 잘못 147
II. 본문 159
비위론 권상 161
비위허실전변론 161
서로 다른 언어에서의 대칭성 증명 187
장기법시승강부침보사지도 231
비위승쇠론 238
비위의 허약을 보하는 다섯 가지 처방 247
지이부지자, 소승망행, 소생수병, 소불승승지 275
한약 추출의 표준적인 데이터 328
폐지비위허론 341
군신좌사 348
의학입문의 고욕보사 349
표리허실 한열 군신좌사 완급 등에 관하여 371
분경수병제방 398
용약의금론 410
중경인내경소설비위 425
비위론 권상 끝 439
참고문헌 440
저자소개
책속에서
완전히 동일한 두 사람은, 혹은 두 세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만약 누군가 완전히 같은 두 사람이 동일한 세계에 있다고 상정한다면, <네 변을 가진 삼각형>을 상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다른 체계를 필요로 하는 말임과 동시에 이 세계에서는 틀린 말로 간주한다. 굳이 칸트가 말한 연장성이란 말을 들지 않더라도, <동일한 세계에 사는 완전히 같은 두 사람>은 존재할 수 없다.
수화미제괘水火未濟卦 로 예를 들어보자. 아래 세 줄은 수(水)이고 위에 세 줄은 화(火)이다. 아래 있는 것이 내괘內卦인데, 초효初爻부터 인진오寅辰午가 된다. 위에 외괘外卦는 사효四爻부터 유미사가 된다. 따라서 초효初爻부터 인진오유미사가 수화미제괘를 납갑納甲한 것이다. 이렇게 표만 볼 수 있으면 간단하게 납갑 할 수 있다.
기氣는 권형(權衡, 저울, 균등함)으로 돌아간다. 이게 그 유명한 의학입문의 장부총론에 나오는 장자, 장평야(臟者, 臟平也, 장은 평평한 것이다.)라는 말의 의미이다. 장이 평평하다는 것은 오장 자체의 정신명精神明이 알맞게 머물고 있다는 뜻과 오장 간의 균형이 맞는다는 뜻을 모두 포함한다. 장평하면 곧 장제신이정기유통야(藏諸神而精氣流通也, 모든 신神을 저장하고 정기가 유통되게 한다.)하게 된다. 오장 각각이 맡은 바 임무를 다한다.



















